위기 속 두 가지 선택

2024.05.22 10:45:25

모 일간지에 우리 교단의 소식이 실렸다. 우리 교단의 현 사태는 ‘교단 정치’가 원인이라는 내용이다. 해당 기사는 이번 사태의 핵심이 한국침신대 이사 파송이라고 지적한다. 양측 당사자들이야 거짓과 진실의 싸움이라며 자신들이 교단을 바로 세우기 위해 의롭게 나선 기드온의 용사라 칭하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보기에는 그저 정치 목사들의 이권 다툼일 뿐이다. 어떻게든 이번 사항을 확장시켜 자신들의 편을 늘리고 싶겠지만 많은 목회자들은 혀를 끌끌 찰 뿐 동조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이를 내버려만 둘 수는 없는 노릇이다. 점점 제대로 된 목회자는 교단에 관심을 끄게 될 것이고, 어느새 교단의 리더십들은 삯꾼으로 가득 찰 것이 뻔하다. 지금의 모습을 보면 우리에게 기독교한국침례회는 사치일지 모른다. 한국침례신학대학교를 책임지기에는 능력 밖일지도 모른다. 침례병원이 그랬던 것처럼 하나 둘 떠나보내다 주위에 아무것도 남지 않은 것을 깨닫는 순간이 올지도 모른다. 물론 그것을 깨달을 수 있을지도 사실 의문스럽다. 깨닫는다고 하더라도 또 누군가를 향한 손가락질만 하다가 하염없는 세월을 흘려보낼 것만 같다. 과한 표현 같은가? 교단에서 무언가 섬겨야 할 사람을 세울 때 “해야 할 사람은 안 하고, 하지 말아야 할 사람만 나선다”는 말이 괜히 나온 것이 아니다. 


부디 위기라는 것을 자각했으면 좋겠다. 여러분들이 그토록 차지하고 싶은 이권은 어느 순간 바닥을 드러내고 말 것이다. 특히 우리 교단은 타 교단과는 달리 가진 것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 교단에 무관심한 목회자들 또한 이런 정치세력들이 교단을 말아먹도록 계속 두고만 볼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지금 싸움에 열심인 각 진영들은 이제 뒤로 물러나시라. 어차피 소송은 진행 중이고 결론은 6월이라 그것을 기다리면 된다. 지금 당장 변화가 있더라도 어차피 너무 늦어 임시총회는 물 건너 갔다. 그냥 각자 소송에 집중하시라. 학교 문제도 어차피 이제 손쓸 방도가 없다. 대학기관평가인증의 불발로 그저 손가락 빨면서 벚꽃 지는 것을 지켜보는 것 외에 별다른 수가 없다. 다음 평가까지 학교가 살아있기를 기도하는 수밖에는 말이다. 
이 기회를 틈타 뭔가를 노리려는 분들도 자중하시라. 지금은 여러분들이 나설 때가 아니다. 그동안 싸움하느라 등한시했던 각자의 목양에 열심을 내는 시간을 가지시기를 부탁드린다. 


새로운 인물, 새로운 그룹이 나서서 교단을 처음부터 다시 세우는 작업에 들어가야 한다. 일명 비상대책위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식의 침례교 정체성과 규약이 아닌 진짜 침례교의 정신이 무엇인지, 어떤 교단 정치가 필요한지, 교단의 미래를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에 대해 교수와 각 지역별, 각 세대별 목회자, 그리고 평신도 리더들이 모여 의논하고 계획을 세워야 한다. 진심으로 어떻게 하면 교단이 살고 어떻게 하면 학교가 살 수 있는지 고민하며 나아가야 한다. 


물론 쉽지 않은 일이다. 모두 선후배 사이거나 누구와는 사돈 간이거나 누구와는 아버지와 아들 사이이다. 어떻게든 이해관계가 얽혀있기 때문에 무언가 조그마한 것 하나 바꾸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나 앞서 언급했던 고무줄 같은 “침례교 정체성”은 이미 초가집 2채를 지어 놓기에 충분한 보호막을 제공했다. 마지막 3채째의 초가집이 세워지기 전에 모든 것을 내려놓고 새로운 출발을 시작하기를 기대한다.

관리자 기자 bpress7@hanmail.net
- Copyrights ⓒ침례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7238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 76길 10, 11층 침례신문사 (02) 2681-9703~5 Fax (02) 2681-9706 bbbbb9191@naver.com l bpress7@hanmail.net 등록번호 : 서울, 다06725 | 등록일 : 1977년4월14일 | 발행인 : 침례신문사 강형주 | 편집인 : 강형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