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장례 절차와 관련해 교회는 어떤 자세와 마음을 가지고 준비해야 할까?. 교회는 장례식을 통해 복음전파의 사명을 감당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해드려야 한다.
교회 안에 장례위원회를 구성하라
대형교회는 장례위원 인원 구성에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작은 교회라 할지라도 인원수에 비례한 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준비사항은 행동지침에 관한 매뉴얼작성, 성가대 조직 및 운영, 각 교회에 적합한 장례용품(도구) 마련 등이다. 이를 사전에 준비해야 한다.
장례 발생시 초동조치부터 하관(화장, 매장)시까지 단계별로 개인 행동지침서 등 매뉴얼을 만들어 활용하는 것도 좋다. 매뉴얼 내용은 인원 구성, 복장 규정, 조가선정, 유의사항 숙지, 개인별 행동지침(순서지, 예식용 가운, 반주자, 지휘자, 헌화를 위한 꽃, 이동용 마이크 등 준비용품과 각 담당 편성 및 교육) 마련 등이다. 필자가 장례사역을 기획하면서 현장에서 느꼈던 것은 사전에 장례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가족들은 체계적인 예식을 진행했을 때 큰 위로를 받는다. 또 이를 통해 믿지 않는 가족들이 예수님을 알고 믿게 됨으로써 가족 구원의 계기가 되는 경우를 많이 봤다. 필자는 수원OO교회에서 사역시, ‘장례 소망성가대’를 30여명으로 조직해 운영했고, 각 예배 때마다 악기 팀을 구성하기도 했다. 이렇게 준비한 기독교장례 예식이야말로 복음 전도의 최고봉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사전에 위원회를 구성하고 장례식에 필요한 용품들을 준비해 성경적인 장례식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회 조기 및 명패, 안내판, 찬양 CD플레이어 등은 기본적으로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장례가 발생하면 이를 빈소에 설치하고 유가족들과 전반적인 장례 일정을 논의해야 한다. 학술적이고 논리적인 연구나 발표가 아니라 현장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한 기독교 장례사역을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한다. 필자는 기독교 장례문화의 성숙과 발전을 실현하고자 장례문화연구소를 개설하고 활동을 시작했다. 향후 교단 및 교파를 초월한 올바른 기독교장례 문화전파를 위한 세미나를 통해 장례 준비부터 종료까지의 모든 절차를 자세히 전해 진정 하나님께만 기쁨을 드리기를 소원한다.
전상헌 목사
녹산우리교회
총회 해외선교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