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데이터연구소는 ‘청빙, 한국교회를 좌우한다’란 주제로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에서 목회자와 성도 모두 바람직한 청빙 방식으로 ‘추천제’(각각 60%, 58%)를 가장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공개모집’은 목회자 27%, 성도 35%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전국 담임목사 500명과 교회 출석 성도 1000명을 대상으로 5~6월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됐다. 목회데이터연구소는 “향후 10년 내 한국교회 담임목사 3분의 2가 교체될 전망”이라며 “청빙 방식의 변화가 교회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변수”라고 설명했다.
담임목사 후보 평가 기준으로는 ‘성품·인성·도덕성’(54%)이 가장 높았으며, ‘목회 철학과 비전’(36%), ‘소통 능력’(31%)이 뒤를 이었다. ‘설교 능력’은 26%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학력·경력보다 인격과 관계 중심의 리더십을 중시하는 성도들의 의식을 반영한다.
청빙위원회 구성 시점은 ‘은퇴 전 6개월~1년 전’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절반을 차지했고, 구성원으로는 ‘장로’(75%)와 ‘안수집사’(53%) 외에도 ‘청년’(38%)과 ‘남녀전도회 대표’(39%)를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성도 76%는 외부 전문가의 참여에도 긍정적이었다.
한편 성도의 79%는 청빙 대상자의 학력에 “상관없다”고 답했으며, ‘대형교회 목회 경험이 없어도 무방하다’는 응답도 81%에 달했다. 새 담임목사 연령으로는 ‘50대 초중반’(38%)이 가장 선호됐다. 사모 면접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46%가 ‘필요하다’고 답했고 34%는 ‘불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에 코멘트를 한 조성돈 교수(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는 “청빙은 민주적 절차에서 합리성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추천제와 외부 전문성을 결합한 새로운 청빙 문화가 확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범영수 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