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비트겐슈타인 “말로 할 수 없는 것들”

비전 묵상-27

한재욱 목사
강남비전교회

“영어를 공용어로 쓰지 않는 비영어권 102개국 4만 명에게 70단어를 제시하고 정감이 가는 단어를 고르게 했더니 1위가 어머니(mother), 2위는 열정(passion), 3위는 미소(smile)였다. 그 밖에 사랑(love), 영원(eternity), 환상(fantasy), 목적(destiny), 자유(freedom, liberty), 고요(tranquility) 등의 단어가 꼽혔다고 한다. 여기에 제시된 단어들 중 어머니를 제외한 모든 단어들은 추상명사다.” 최복현 저(著) ‘여유’(프리스마, 138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우리가 가슴 깊이 아름답고 여기는 것들은 추상 명사가 많습니다. 아름다움은 말로 다 담을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현대 철학의 새로운 흐름을 제시한 언어 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은 세계를 언어로 명제화 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런 전제에서 그는 언어를 최대한 명확하게 다듬는 것이야말로 세계에 대한 우리의 경험적 가능성을 확고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한계를 느꼈습니다.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 있다는 것을 느낀 것입니다. 비트겐슈타인은 다른 철학자들의 책을 읽지 않은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런 그가 가장 탐독한 책 중의 하나가 키에르케고르의 책입니다. 그는 도저히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삶의 절대적 역설을 강조한 키에르케고르를 좋아했습니다. 그리하여 비트겐슈타인은 그의 명저 ‘논리철학 논고’의 마지막 구절을 철학사에 남는 유명한 말로 장식합니다.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Wovon man nicht sprechen kann, daruber muß man schweigen.)
말로 할 수 있는 것이 있고, 말로 할 수 없는 것이 있습니다.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 확실하게 말할 수 있다고 할 때, 오만과 월권이 발생합니다. 무엇보다도 삶에서 가장 아름다운 언어들, 이를테면 사랑, 그리움, 자유 등은 과학적 언어로 담을 수 없는 그 무엇입니다. 우리 이성의 한계, 언어의 한계는 뚜렷합니다.


 ‘하나님’은 더욱 그러합니다. 우리가 설교로 말로 표현하는 하나님과 하나님의 사랑은 지극히 일부일 뿐입니다. 말로 다 담을 수 없는 하나님이 우리의 언어 속으로 들어오신 그 사랑과 배려에 감사할 뿐입니다.      
“그들을 주신 내 아버지는 만물보다 크시매”(요10:29상).



총회

더보기
“생명의 복음을 전하는 침례교회로 세워지길”
기독교한국침례회 115차 정기총회가 9월 22일 전주새소망교회(박종철 목사)에서 “일어나 함께 가자”란 주제로 1581명의 대의원이 등록한 가운데 개회했다. 오후 3시부터 시작된 개회예배는 총회 전도부장 이황규 목사(주우리)의 사회로 호남제주침례교연합회 회장 장길현 목사(성광)가 대표로 기도하고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성경봉독, 새소망교회 청년들의 특송(소프라노 이주영, 플롯 이용희, 피아노 안인경)이 있은 뒤, 우리교단 74대 총회장을 역임한 박종철 목사(새소망)가 “생명의 말씀을 전하라”(빌 2:14~18)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박종철 목사는 설교를 통해, “우리의 복음 사역을 통해 많은 생명들이 살아나는 역사가 일어나기를 소망하며 거룩한 성령의 역사가 일어나야 할 때”라며 “침례교회의 목회자와 성도들이 헌신하고 희생하며 오직 생명을 다해 복음을 전하는 사역에 매진하며 하나님 앞에 죽도록 충성하는 교회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교단 77대 총회장을 역임한 고명진 목사의 축도로 개회예배를 마쳤다. 2부 환영 및 축하는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의 사회로 이욥 총회장(대전은포)이 환영사를, 미남침례회 한인교회 이태경 총회장과 문화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