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목회자의 자아상-1

상담과 치유-41

심연희 사모
RTP지구촌교회

2년 전 즈음 엄청나게 빠른 성장을 이룬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의 한 대형교회 목사가 해임됐다. 미국에서도 규모로 치면 다섯 손가락에 꼽히도록 큰 교회의 성장을 주도한 목회자였다.


알코올 남용과 정신적 문제들, 그리고 가정불화가 원인이 됐다. 동성애를 반대하는 소신을 대외적으로 강하게 피력하던 또 다른 목사가 동성애자 파트너에 의해 마약 복용 및 동성애의 전력이 폭로되기도 했다. 미성년자와의 성매매가 발각되어 목을 매 자살한 목회자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미국이든 한국이든 잊을 만하면 교계에서 목회자의 외도나 성추행, 설교 표절 등의 가슴 아픈 소식이 들려오곤 한다. 주위 교회들과 사역자들의 귀감이 되고 선망이 됐던 목회자들의 불명예스러운 사임은 교회와 동역자들에겐 큰 충격과 실망이 된다. 사역하던 교회의 근간을 흔드는 폭풍이 된다.


외부에서 기독교를 바라보는 곱지 않은 시선에 더욱 거센 공격과 비아냥의 빌미를 주기도 한다. 그 유혹에서 자신을 지켜내지 못했던 목회자들을 보며 돌을 던지기보다는 같은 목회자나 사모로서 안타까움과 두려움을 금할 수 없다. 그 유혹에서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음을, 그 연약함에서 누구도 예외일 수 없음을 알기 때문이다. 그들의 분명한 잘못을 단호하게 책망하면서도, 잘못된 선택까지 이끌었던 인간의 약함이 누구 한 사람만의 이야기가 아님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자신의 잘못된 선택이 가정뿐이 아니라 교회와 교계에 두고두고 부정적 여파를 남길 수 있음을 누구나 다 알지만, 그 함정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태껏 이뤄온 모든 사역과 명예를 단 한 번에 잃을 만한 죄로부터 자신을 방어하지 못할 정도로 약해져 갔던 이유는 무엇일까? 물론 그 원인이 한두 가지로 간단히 설명될 수는 없다.


그러나 많은 이유 중 한 가지는 목회자에게 쏟아지는 기대와 부담감에서 출발한다. 목사나 사모의 자리는 분명 그 이름만으로 갖는 무게가 있다. 믿는 사람이든 아니든 목사가 무언가를 잘못했다는 기사가 신문에 뜨면 당장에 목사라는 사람이 그런 짓을 했다고 더 비난한다. 바람을 핀 남자가 다 직장을 그만둬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목사의 외도는 가정뿐 아니라 사역의 끝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만큼 기대치가 높은 것이다.


목회자나 사모의 자리만으로 이미 도덕적 잣대가 높게 책정되며, 도덕성은 사역의 승패와 직결되어 있다. 그러다 보면 다른 이들이 보는 나와 내가 보는 나 자신의 간격이 점점 벌어져간다. 여기서 오는 괴리감이 점점 더 목회자를 조여 오는 것이다. 사람들의 기대를 계속해서 충족시킬 수 없겠다는 두려움이 목회자로서의 자존감을 좀 먹어 간다.


그 부담감과 두려움에서 잠시라도 벗어나고 싶은 욕망이 목회자를 외도로, 표절로, 중독으로 이끌기도 한다. 목회자 자녀도 마찬가지다. 한 번도 목사 딸이고 아들이니 똑바로 살아야 한다는 말을 대놓고 한 적이 없어도 아이들은 이미 본능적으로 안다. 교회에 있을 때 자신에게 주어진 기대치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말이다.


그래서 같은 잘못을 해도 더 많이 혼나거나 비난받을 수 있다는 것을. 그래서 목회자 가정은 비밀이 많아 보이기도 한다. 가려야 할 것이 더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목회자라는 타이틀이 그저 평범한 우리들에게 있어서 꽤나 무거운 짐으로 느껴질 때가 있다. 벗어던지고 싶은 부담으로 다가오는 날이 있다. 감당이 안 되는 십자가처럼 짓눌릴 때가 있다.



총회

더보기
이욥 총회장 “성평등가족부 강행시 내년 지방선거 영향 있을 것”
우리교단 총회장 이욥 목사(대전은포)는 지난 9월 16일 국회의원회관 2소회의실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국회조찬기도회 개원예배에서 설교를 전했다. 이 총회장은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골 3:1~4)를 본문으로 삼아, 국회와 나라를 위해 예수 생명으로 사는 삶을 강조했다. 그는 어린 시절 가난과 고난을 회고하며 “물질이나 권력, 개인의 능력이 삶을 지탱하는 것이 아니다. 오직 예수님의 생명이 절망과 시련을 이겨내는 참된 힘”이라고 말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들을 향해 “사람의 힘만으로는 한계가 있지만, 예수 생명이 충만할 때 모든 결박을 끊고 국민을 살리는 길을 열 수 있다”고 권면했다. 이 총회장은 또한 최근 사회적 논쟁이 되고 있는 ‘성평등가족부’ 개편 논의와 차별금지법 제정 움직임에 대해 “‘성평등가족부’란 명칭은 교계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개념이며, 만약 강행된다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참패할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아울러 최근 법적 문제로 구속된 손현보 목사와 채상병 특검 수사를 받는 김장환 목사를 언급하며 “잘못이 있으면 수사하고 징계하면 될 일인데, 구속이나 망신 주기 식 조사는 부당하다는 것이 성도들의 생각”이라며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