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하나님의 시

비전 묵상-49

한재욱 목사
강남비전교회

“엄마가 그냥 섬에 굴 따러 가면 산문이 되고, 엄마가 섬 그늘에 굴 따러 가면 시가 된다.”
이외수 저(著) ‘절대강자’(해냄, 31쪽) 중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허리띠 매는 색시 마음같이”하면 설명문이 되고, 김영랑 시인이 표현한 것처럼 “허리띠 매는 시악시 마음실 같이”하면 시가 됩니다. 시인은 좋은 시를 위해 한 단어를 놓고 밤을 하얗게 태웁니다. 김훈은 ‘칼의 노래’를 저술하면서 “꽃은 피었다”와 “꽃이 피었다”를 놓고 몇 달을 고민했습니다.


한 작가가 있었습니다. 친구들이 소풍을 가자고 해도, 작품 때문에 갈 수가 없다고 해서 친구들만 다녀왔습니다. 작가는 일을 많이 해서 기분이 좋다고 했습니다. 친구들이 기대 속에 원고를 보았는데, 소풍 가기 전 본 것과 달라진 것이 없었습니다. 도대체 무슨 일을 했느냐고 묻자 작가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종일토록 쉽표(,)를 쌍반점(;)으로 바꿨다가 오늘 다시 쉼표로 바꿨다네. 정말 열심히 일했네…”
‘보바리 부인’의 작가 귀스타브 플로베르(Gustave Flaubert)의 일화입니다. 위대한 작품은 쉼표 하나도 허투루 찍지 않는 치밀함과 정밀함 속에서 탄생한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가리켜 하나님의 걸작품 시라고 했습니다.
“우리는 그가 만드신 바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선한 일을 위하여 지으심을 받은 자니” (엡2:10a).


이 구절에서 ‘만드신 바라’라고 번역된 헬라어 원문은 ‘포이에마’입니다. 포이에마에서 영어의 ‘poem’ 즉 ‘시’가 나왔습니다. 우리는 대충 던져진 존재가 아닙니다. 최고의 시인이신 하나님의 최고의 고심 끝에 이 땅에 보내진 포이에마, 걸작품 시입니다. 그렇기에 나만이 나타낼 수 있는 하나님의 영광이 있습니다.


꽃은 꽃이 됨으로써, 나무는 나무가 됨으로써, 그리고 나는 내가 됨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립니다. 달팽이는 빨리 달리는 노루를 부러워하지 않고, 바다를 느긋하게 유영하는 해파리는 빠르게 하늘을 나는 종달새를 부러워하지 않습니다. 내게 주신 것에 감사하고 내게 주신 것에 집중할 때 하나님의 시다운 삶을 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