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람의 아내 사래는 출산하지 못하였고 그에게 한 여종이 있으니 애굽 사람이요 이름은 하갈이라(창 16:1)
16장으로 넘어가자마자 등장한 첫 구절이 아브람이 처한 현실을 정확하게 짚고 있습니다. 그 많은 약속과 확증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녀가 없었으며, 그 이유가 사래가 아이를 낳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입니다. 사래가 아브람의 아내로 남아 있는 한 아브람이 자식을 가질 수 없었는데, 믿음으로 이겨 보려 해도 도저히 이길 수 없는 사실이었습니다. 끝까지 믿음을 지키려면 이 현실을 뛰어넘어야 했는데, 애굽 사람 하갈이 변수로 떠오릅니다.
하갈에 대해 창세기가 주는 정보는 두 가지입니다. 사래의 시녀이며 애굽 출신이라는 점이죠. 16장 이전에 하갈이라는 이름이 전혀 등장하지 않은 것을 보아 하갈은 아브람이 애굽에서 선물로 받은 시녀였던 것 같습니다. 이 추측이 맞다면 하갈은 애굽 생활의 결과물 중 하나며, 아브람과 사래에게 애굽에 대한 기억을 끊임없이 되살려 주는 존재입니다. 아브람과 사래에게 애굽은 어떤 의미였을까요? 두 가지를 생각할 수 있는데요, 첫째는 자신에 게 유익이 되는 선택을 상징합니다. 이런 선택에서는 하나님의 약속이 중요하지 않습니다. 보이지 않는 약속보다 지금 손에 잡히는 현실이 더 중요하기에 상황이 이끄는 대로 따라가게 되고 이에 뒤따르는 위험도 스스로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됩니다. 아브람이 바로에게 사래를 빼앗길 뻔했던 상황이 이런 선택의 결과였죠.
두 번째 의미는 두말할 필요 없이 하나님의 구원입니다. 위기로 느껴졌던 상황이 기회가 되고, 재앙이 축복으로 바뀌는 경험이야말로 애굽에서 얻은 가장 값진 보물이었죠. 하갈은 하나님께서 아브람과 사래를 어떻게 구원하셨는지 보여 주는 살아 있는 증거였습니다. 이렇듯 애굽 사람 하갈은 아브람과 사래에게 두 가지 선택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나님 없이 내 방식대로 살 것인가, 아니면 하나님께 나를 맡길 것인가였죠. 안타깝게도 아브람과 사 래는 자기 방식대로 살기를 선택했고, 이내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되었죠.
사래가 아브람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내 출산을 허락하지 아니하셨으니 원하건대 내 여종에게 들어가라 내가 혹 그로 말미암아 자녀를 얻을까 하노라 하매 아브람이 사래의 말을 들으니라(창 16:2)
성경을 유심히 읽다 보면 성경에 등장한 이들이 처한 상황을 어렴풋이나마 헤아릴 수 있게 됩니다. ‘내가 이 사람이라면 어땠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그들의 마음이 되어 보는 거죠. 성경을 읽고 이해하는 일은 꽤나 만만치 않습니다. 글자 이상을 담고 있는 책이라 독서만으로는 이해가 잘 안 되기도 하고, 앞에서 읽은 이야기와 지금 읽는 이야기가 뒤엉키면서 머릿속이 하얗게 변하기도 하죠. 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오랫동안 읽고 연구했어도 성경이 여전히 두꺼워 보이고 어렵게 느껴지니까요. 그렇게 성경과 씨름한 지 20년이 넘다 보니, 이제는 성경이 저를 향해 조금씩 미소를 지어 보이기도 하고 가끔 말을 걸어오기도 합니다. 성경이 말을 걸 때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려면 한 번을 읽더라도 집중해서 주의 깊게 읽어야 하죠.
16장 2절에서 사래는 아브람에게 자식이 없는 이유가 하나님께서 약속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사래의 생각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입니다. 나에게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하나님이 일하시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주장이죠. 그래서 여태껏 아들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자신에게 문제가 있어 보여 억울하니 직접 나서서 억울함을 풀겠다는 겁니다. 사래의 주장에는 누구의 동의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아브람, 하갈, 심지어 하나님께도 선택권을 주지 않았으니까요. 결국 사래가 결정한 대로 일이 진행됐지만 안타깝게도 이 선택은 기근을 피해 애굽에 들어갔던 선택과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았습니다. 그 당시에는 아브람의 선택 때문에 사래가 위기에 처했다면 지금은 사래가 내린 선택으로 집안 모두가 위기를 맞은 점이 다를 뿐이죠.
하갈은 졸지에 벼락 맞은 듯한 상황이 됐습니다. 선택권이 없던 하갈 앞에 놓인 결과는 두 가지였습니다. 아들을 낳고 그 아들이 아브람을 계승해 가문의 어머니가 되는 좋은 길과 사래의 자리를 빼앗은 염치없는 시녀가 되어 온갖 괴롭힘과 수치를 당하는 나쁜 길이었죠. 할 수만 있다면 두 결과 모두 포기하고 예전 그대로 사는 것이 훨씬 나았겠지만, 지금으로서는 어떤 결과가 되든지 끝까지 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녀가 현명했다면, 그리고 이 모든 상황을 정확하게 이해했다면 지금껏 살아온 모습과는 전혀 다른 삶을 살아야 한다고 생각했을 겁니다.
살아남기 위해 더 강해져야 했고, 아브람과 사래, 그리고 다른 식구들 틈바구니에서 더욱 영리하게 행동해야만 했죠. 싫든 좋든 과거로 돌아갈 수는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사래와 하갈은 어떤 쪽이건 분명하게 태도를 정할 수 있었지만, 아브람의 심정은 복잡하기만 했습니다. 애굽을 선택했던 자신의 실패가 떠오르기도 했을 테고 여러 차례 찾아와 약속을 주셨던 하나님을 저버리는 행동이 아닌가 싶은 마음도 있었을 겁니다. 그래도 결국에는 사래를 따르게 됐죠. 애굽 이후로 급격하게 소원해졌을 사래와의 관계가 아무래도 영향을 줬을 겁니다. 애굽에서는 하나님 도우심으로 위기를 벗어났지만 사래를 볼 때마다 어딘지 떳떳지 않은 마음이 있었기에 단호하게 밀어붙이는 사래를 반대할 입장이 못 됐죠. 게다가 사래가 세간에 자식을 낳지 못하는 여인으로 알려져 큰 스트레스를 받는 모습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봤으니 그녀의 계획을 가로막을 엄두가 쉽사리 나지 않았을 겁니다.
유수영 목사
제주함께하는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