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찬송에 숨겨진 이야기> 완성되기까지 13년이 걸린 찬송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314/511)

작사: 엘리자베스 프렌티스

(Elizabeth Payson Prentiss, 1818-1878)

작곡: 윌리엄 도언(William Howard Doane, 1832-1915)

  

1.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엎드려 비는 말 들으소서

내 진정 소원이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더욱 사랑

2. 이전엔 세상 낙 기뻤어도, 지금 내 기쁨은 오직 예수

다만 내 비는 말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더욱 사랑

3. 이 세상 떠날 때 찬양하고, 숨질 때 하는 말 이것 일세

다만 내 비는 말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더욱 사랑

 

엘리자베스 프렌티스(Elizabeth Prentiss)는 많은 작품을 남긴 19세기 여류 시인이다. 에드워드 페이슨 목사의 딸로 독실하고 교양 있는 환경에서 자라난 그녀는 고향인 미국 포틀랜드와 여러 도시에서 교사로서 활동했다. 27세 때 장로교 목사인 조지 프렌티스와 결혼하면서 직장을 그만두었지만 연약한 몸에도 불구하고 쉴 새 없이 집필 활동을 계속했다.


그 당시 베스트셀러의 기준은 20만부가 팔리는 것이었는데, 프렌티스가 쓴 천성을 향하여’(Stepping Heavenward)의 판매량은 그 기준을 훌쩍 뛰어넘었다. 그녀의 다른 책 가정의 꽃’(The Flower of the Family)도 인기가 대단했다. 또한 123편의 시를 모아놓은 신앙의 시도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았다.


그녀는 두 아이를 기르며 행복한 가정을 이루며 살고 있었는데 갑작스럽게 불행이 덮쳤다. 결혼한 지 11년이 되던 해였다. 뉴욕을 중심으로 번져나가던 전염병은 삽시간에 많은 아이들의 목숨을 앗아갔고, 얼마 지나지 않아 프렌티스의 두 아이도 모두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연약한 그녀에게는 견디기 어려운 충격이었다. 숨쉬기조차 힘든 날들이 시작되었다. 모든 희망이 순식간에 산산조각이 난 것 같았다. “목회자의 가정에서 태어나 믿음을 지키고 살았는데, 하나님을 찬양하는 아름다운 시를 쓰며 헌신했던 나에게 이런 불행이 닥칠 수 있단 말인가그녀의 짧은 생각으로는 하나님의 뜻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다.


남편인 조지 프렌티스 목사는 깊은 실의에 빠진 아내를 위로했다. “여보, 많은 가정들이 아이들을 잃고 슬퍼하고 있소. 지금이 우리가 성도들에게 늘 가르쳐온 하나님의 말씀을 실천할 시간인 것 같소. 우리의 기쁨과 소망은 하나님이잖소.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의 크신 계획이 있을 것이오. 이럴 때일수록 아브라함과 같은 믿음을 가지고 하나님을 더욱 의지합시다. 아이들은 더 좋은 곳에서 우리 주님과 함께 있을 겁니다


남편이 믿는 하나님이 그녀에게 다가왔다. 하나님은 죄인을 구원하시기 위해 외아들인 예수를 이 땅에 보내셔서 십자가의 치욕을 받기까지 우리들을 사랑하신 것을 다시 깨닫게 되었다. 온갖 견디기 어려운 고난을 당하시고 죽기까지 인간을 사랑하신 예수님의 사랑을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었다. 엘리자베스 프렌티스는 주님에 대한 원망이 크신 사랑으로 다가오는 영감을 시로 적었다.


, 그리스도여, 주님을 더욱 사랑합니다이 시가 바로 찬송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이다. 이 찬송은 견딜 수 없는 슬픔을 말씀으로 극복한 후 주님에 대한 간절한 사랑을 표현하고 있다. 1절은 주님께 엎드려 비는 말은 오직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한다는 고백이다.


2절은 이 전에 세상의 낙을 기뻐했지만 이제는 예수님만 기뻐하겠다고 지나온 삶에 대한 후회와 새로운 다짐을 하고 있다. 여기까지 쓴 후 프렌티스는 더 이상 생각이 떠오르질 않아 글쓰기를 멈추었다. 시간이 흘러 두 아이를 잃은 지 13년이 지나갔다. 프렌티스는 쌓여있는 종이무더기를 정리하다가 미완성으로 남겨놓은 그 시가 적힌 메모장을 발견했다.


당시 뉴욕 유니온신학교의 교수였던 남편은 시를 마저 완성시켜보라고 아내를 격려했다. 프렌티스 부인은 아이들을 잃은 슬픔을 다시 들추어내는 것이 괴로웠지만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돌아가신 주님의 사랑이 주는 기쁨과는 견줄 수 없었다. 다시금 주님의 크신 사랑이 밀물처럼 몰려왔다.


그녀는 미완성으로 남겨진 3-4절을 써내려갔다. “슬픔이 찾아와도, 절망과 고통이 밀려와도, 감미롭고 감미로운 주님 말씀이 나를 노래하게 합니다.” 그녀는 이제 더 큰 슬픔이라도 오려면 오라고 강하게 외친다. 그 무엇도 주님께서 주시는 기쁨을 빼앗아 갈 수 없다는 적극적인 고백이다. 한국찬송가에는 원문의 3절이 생략되었다.

 

슬픔이 찾아와도, 절망과 고통이 밀려와도

Let sorrow do its work, come grief and pain;

주님의 말씀은 감미롭고 감미롭습니다.

Sweet are Thy messengers, sweet their refrain,

주님의 말씀은 나를 이렇게 노래하게 합니다.

When they can sing with me:

, 그리스도여, 주님을 더욱 사랑합니다.

More love, O Christ, to Thee;

더욱 사랑합니다, 주님을 더욱 사랑합니다!

More love to Thee, more love to Thee!

 

그리고 마지막 절을 이어나갔다. “이 세상 떠날 때 찬양하고, 숨질 때 하는 말 이것일세. 다만 내 비는 말,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더욱 사랑합니다숨질 때에도 주님께 사랑을 고백하리라는 위대한 찬송이다. 나의 예수님, 더욱 사랑합니다! 더욱 사랑합니다! 더욱 사랑합니다!


김남수 교수

침신대 교회음악과

 



총회

더보기
“생명의 복음을 전하는 침례교회로 세워지길”
기독교한국침례회 115차 정기총회가 9월 22일 전주새소망교회(박종철 목사)에서 “일어나 함께 가자”란 주제로 1581명의 대의원이 등록한 가운데 개회했다. 오후 3시부터 시작된 개회예배는 총회 전도부장 이황규 목사(주우리)의 사회로 호남제주침례교연합회 회장 장길현 목사(성광)가 대표로 기도하고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성경봉독, 새소망교회 청년들의 특송(소프라노 이주영, 플롯 이용희, 피아노 안인경)이 있은 뒤, 우리교단 74대 총회장을 역임한 박종철 목사(새소망)가 “생명의 말씀을 전하라”(빌 2:14~18)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박종철 목사는 설교를 통해, “우리의 복음 사역을 통해 많은 생명들이 살아나는 역사가 일어나기를 소망하며 거룩한 성령의 역사가 일어나야 할 때”라며 “침례교회의 목회자와 성도들이 헌신하고 희생하며 오직 생명을 다해 복음을 전하는 사역에 매진하며 하나님 앞에 죽도록 충성하는 교회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교단 77대 총회장을 역임한 고명진 목사의 축도로 개회예배를 마쳤다. 2부 환영 및 축하는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의 사회로 이욥 총회장(대전은포)이 환영사를, 미남침례회 한인교회 이태경 총회장과 문화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