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선교, 교단 차원 현실 대안이 절실
농촌목회 성공사례 공유 도농교회 협력 사업 확산 필요시골교회를 부임한 K 목사. 농어촌교회를 살려야 한다는 부푼 비전을 품고 도착한 교회에서는 시작부터 쉽지 않은 난관에 봉착했다. 예배에 나와야 하는 성도들 대부분이 70대 이상 고령으로 일일이 집까지 교회차를 운전하며 모시러 다녀야 했으며 예배에서는 농사일에 피곤한 성도들이 말씀 듣는 시간에 모두가 묵상하는 자세로 있었다. 거창한 환영식도 없었지만 쉽게 마음의 문을 열지 못하는 성도들의 모습을 지켜보며 부임 초부터 성도들의 여러 일들을 봐주면서 자신이 계획한 목회 계획 실행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성도들의 생산한 농산물이 판로가 어렵다는 얘기를 듣자 K 목사는 자신들의 동기나 자신이 사역했던 교회를 찾아가 직거래 장터를 요청하기도 했지만 들려오는 소식은 “가격이 맞지 않아 힘들겠다”는 소식이었다. 만 3년의 시간이 훌쩍 지나가버리고 자신의 목양을 정리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휩싸이고 더욱이 시골교회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내와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더 큰 고민에 빠져들었다.한국교회의 농어촌교회에 대한 성도들의 인식은 대부분 계속 돌보고 후원해야 하는 곳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농촌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