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들풀 예찬(1)

 

시내산 예벨 무사(Jebel Musa) 북서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성 캐더린(St. Caatherine) 수도원에는 닐루스라는 수도사가 수도하면서 살고 있었다.

 

작은 체구에 깡마른 몸은 그가 얼마나 많은 수도에 전념했는가를 잘 반영해주고 있었고, 학식과 지혜, 인품과 덕망을 두루 갖춘 수도사였기에 많은 젊은 수도사들로부터 존경을 받고 있었다.

 

이 노수도사가 어쩌다 한마디 던지는 말이 수도사들의 영혼을 뒤집어 놓는 까닭에 항상 젊은 수도사들이 그의 주변에서 떠나지 않고 그를 존경하고 따르고 있었다.

 

5월이 지나고 6월의 길목으로 접어 들어가는 어느 날, 테오나스라는 젊은 수도사가 노 수도사에게 질문을 했다.

 

선생님 수도원에 정원을 만들고 싶습니다. 어떤 꽃을 싶으면 좋겠습니까?” 말없이 젊은 수도사를 바라보던 노 수도사는 나 같으면 들꽃들을 심겠네라고 대답을 했다.

 

젊은 수도사는 황당하다는 표정으로 노 수도사를 바라보았다. 그러자 노 수도사는 다시 말했다. “자네 마음에 안 들면 백합과 장미를 심게하고 말을 끝냈다.

 

젊은 수도사는 열심히 정원을 조성했다. 그리고 장미와 백합을 나누어 심었다. 얼마의 시간이 지난 후 장미와 백합은 꽃을 피웠고,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동시에 찬사를 받게 되었다.

 

그런데 이게 무슨 변이랴! 그해 가뭄이 지독해 모두가 고사하고 말았다. 실망한 젊은 수도사는 다시 노 수도사에게 찾아 왔다. 그리고 저번처럼 다시 물어보았다.

 

다시 정원을 만들고 싶습니다. 선생님 가뭄을 이기는 꽃을 싶고 싶습니다

그래 그러면 이번에는 들풀을 심어보게

 

젊은 수도사는 노 스승의 말대로 이름 모를 들풀을 심기 시작했다. 그리고 훌륭히 가꾸었다. 그러자 이번에는 장미와 백합에서 볼 수 없엇던 소박함과 아늑함이 정원에서 피어나기 시작했다.

 

웬만한 가뭄이 와도 죽지 않고 잘 자라고 있었다. 설사 죽었다고 하더라도 비가 오면 다시 싹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제야 젊은 수도사는 노 수도사의 말을 깨닫게 되었다.

 

인생을 오래 살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얻어진 값진 교훈은 돈을 주고 살 수 없는 보화와 같은 것이기에 어른들의 경험을 무시하지 말고 나의 삶의 적용할 줄 아는 지혜가 있어야 진정한 성공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총회

더보기
“생명의 복음을 전하는 침례교회로 세워지길”
기독교한국침례회 115차 정기총회가 9월 22일 전주새소망교회(박종철 목사)에서 “일어나 함께 가자”란 주제로 1581명의 대의원이 등록한 가운데 개회했다. 오후 3시부터 시작된 개회예배는 총회 전도부장 이황규 목사(주우리)의 사회로 호남제주침례교연합회 회장 장길현 목사(성광)가 대표로 기도하고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성경봉독, 새소망교회 청년들의 특송(소프라노 이주영, 플롯 이용희, 피아노 안인경)이 있은 뒤, 우리교단 74대 총회장을 역임한 박종철 목사(새소망)가 “생명의 말씀을 전하라”(빌 2:14~18)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박종철 목사는 설교를 통해, “우리의 복음 사역을 통해 많은 생명들이 살아나는 역사가 일어나기를 소망하며 거룩한 성령의 역사가 일어나야 할 때”라며 “침례교회의 목회자와 성도들이 헌신하고 희생하며 오직 생명을 다해 복음을 전하는 사역에 매진하며 하나님 앞에 죽도록 충성하는 교회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교단 77대 총회장을 역임한 고명진 목사의 축도로 개회예배를 마쳤다. 2부 환영 및 축하는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의 사회로 이욥 총회장(대전은포)이 환영사를, 미남침례회 한인교회 이태경 총회장과 문화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