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도한호 교수의 목회와 상식’- 64

인간 구성 교리에 대한 오해

인간의 구성요인은 성경의 주요 교리와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과학은 인간을 육체와 정신으로 구성된 하나의 생명체라고 말하고; 성경은 좀 더 구체적으로, 인간은 하나님께서 흙으로 만든 육체에 생기(하임)를 불어 넣어 창조하신 생령(하야), 즉 하나의 유기적 생명체(네페쉬)라고 말한다(2:7). 그런데 인간의 정신적 실체인 영혼을 영과 혼으로 구분해서 삼분설(三分說)을 주장하는 이들이 종종 있다. 삼분설은, 성경에는 영(루아, 프뉴마, spirit)과 혼(네페쉬, 프쉬케, soul)이라는 별개의 어휘가 있고, 또 그것은 각각 독립된 실체로서, 영은 하나님과의 교제와 선한 일을 도모하며 혼은 육체에 기인한 지정의(知情意)에 속해 있어서 육의 소욕대로 살려고 하는 의지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라고 번역된 네페쉬’()프쉬케’()는 때로는 영으로, 때로는 영혼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삼분설의 주장과는 달리 네페쉬이 아니라 사람을 지적하는 경우가 많다.


몇 곳을 제시하면:

(1)“야곱의 집 사람(네페쉬)으로 애굽에 이른 자”(46:27), (2)“사람(네페쉬)은 내게 보내고 물품은 네가 가지라”(14:21), (3)“피를 먹는 그 사람(네페쉬)에게는”(17:10). (4)“각 사람(프쉬케)은 위에 있는 권세들에게 복종하라”(13:1) 등등이다.

또한, 성경에는 삼분설의 주장과는 달리 이 하나님과 교제하며 선을 도모하는 것으로 기록된 곳과 영적 문제의 권위를 에 둔 곳이 적지 않다. 예를 들면:

(1)예수께서 친히, “지금 내 마음(프쉬케)이 괴로우니 무슨 말을 하리요”(12:27) 하실 때,

(2)“인자가 온 것은 자기 목숨(프쉬케)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20:28) 하실 때,

(3)마라아가, “내 영혼(프쉬케)이 주를 찬양하며”(1:46) 했을 때는 모두 ’(프뉴마)이 아니라 ’(프쉬케)이 사용되었다.

또한 바울이, “육체의 소욕은 성령을 거스르고 성령은 육체를 거스르나니 이 둘이 서로 대적함으로 너희가 원하는 것을 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라고 한 것은(5:17) 사람은 성령의 소욕대로 살려고 애쓰지만 육체의 소욕에 이끌리면서 내적으로 투쟁한다는 의미이지 영과 혼이 각각 별개의 존재로 우리 안에서 서로 싸운다는 의미가 아니다.


만약 사람의 정신적 주체가 둘이어서 죄를 범하는 것이 혼, 선을 행하는 것이 영이라면 혼은 멸망당하고 영은 구원 받아야 할 것이다. 어떻게 한 사람 안에 두 인격, 즉 구원 받을 영과 멸망 받을 혼이 따로 존재한다는 말인가. 또한 삼분설의 주장대로라면 불신자에게는 영이 없어야 할 것이다.

성경과 신학은, 모든 사람은 물질인 육체와 정신인 영혼으로 구성된 하나의 유기체라고 말한다. 혼돈이 있어서는 안 되겠다.



총회

더보기
최인수 총회장 “희망과 변화를 이끌어내겠다”
115차 총회 81대 총회장 이·취임 감사예배가 지난 10월 24일 경기도 화성 라비돌리조트에서 총회 임역원과 교단 목회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1부 감사예배는 총회 전도부장 박한성 목사(세종꿈의)의 사회로 총회 군경부장 이길연 목사(새서울)가 대표로 기도하고 경기도침례교연합회 대표회장 이병천 목사(지구촌사랑)의 성경 봉독, 배진주 자매(공도중앙)의 특송 뒤, 이동원 목사(지구촌 원로)가 “깊은 데로 나아갑시다”(눅 5:1~6)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동원 목사는 설교를 통해, “침례교 목회자의 특징이라고 하면 단순하게 말씀을 사랑하고 가르치는 것이며 그 말씀을 붙들고 최선을 다해 복음 전도에 우선순위를 다하는 것”이라며 “침례교회가 다시 부흥의 계절, 아름다운 침례교회의 계절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오직 말씀에 순종하고 복음을 전하는 일에 전념하는 총회가 돼야 하며 새로운 교단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정직한 성찰과 회개로 과거를 극복하고 주님의 말씀만을 향해 나아가는 총회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2부 축하식은 사회부장 윤배근 목사(꿈이있는)의 사회로 81대 총회장 최인수 목사(공도중앙)가 80대 총회장 이욥 목사(대전은포)에게 이임패를 증정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