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언약, 약속

나의 생애를 여기까지 이끌어 온 주님의 말씀은 창세기 15장의 언약(covenant, 뻬리트)와 야고보서 112절에서 말씀하신 약속하신 약속(God has promised, 에펭게일라토)이라는 말씀이다.

그 해 장마는 왜 그렇게 길고 오래 많은 비가 왔는지? 지금 추억해 보면 시인 김소월의 시 왕십리의 시 한 구절을 떠올리게 한다. “가도 가도 왕십리 비가 오네.” 열한 살 어린 소년이었던 나는 낮선 마을 고모네 집에서 장맛비가 그칠 때까지 아버지와 함께 기다려야만 했다. 비 그치기를 기다린 날이 아마 네 닷세는 족히 됐는데도 그 장맛비는 그칠 줄을 몰랐다.


비 그치기를 기다리던 아버지께서 단호한 목소리로 일아 오늘이 약속 된 날이라서 가야해그래서 슬그머니 창밖을 내다보니 비는 여전히 내리고 있었다.

어린 마음에 아버지 비 그치고 가면 안 될까요?” 그러자 아버지는 일아 오늘 수요일 저녁 설교하기로 약속 된 날이란다. 가야지하신다. 비닐 우비를 입고 허리를 동이고 단봇짐을 지고 장대같이 내리는 빗길을 아버지를 따라 나섰다.


오랜 장맛비로 계곡물은 불어나 다리라는 다리는 계곡의 범람으로 다 휩쓸려 떠내려가고 찻길에는 언제 차가 다녔는지 바퀴자국이 다 쓸려 내려가고 움푹 패였던 자국은 퉁퉁 불어 물이 고여 있다. 아무리 뒤돌아봐도 운행하는 차는 한 대도 없고 가는 곳마다 다리란 다리는 모두 휩쓸려 떠내려 가버렸고 계곡을 건널 수 있는 방법은 아무것도 없었다. 산 계곡 물은 마치 성난 파도보다 더 거칠게 넘실대며 마치 너희 부자가 건너려면 한번 건너봐 라고 하는 것 같았다.


그래서 길을 버리고 길도 없는 산등성을 넘고 또 넘고 말없이 아버지 뒤만 따라 수 십리를 따라가다 보니 빗길에 발은 불을 대로 불어 발에 신발이 턱없이 작아져서 발은 아파오고 초라한 우비로 가린 옷은 젖을 대로 젖어 여름 장마인데도 한기가 온몸을 휘감는데 졸음은 왜 그렇게 쏟아 붓는지. 그래서 다시 한 번 기어들어가는 목소리로 아버지 꼭 오늘 가야만 하나요.” 그러자 아버지께서 정일아,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분명히 건널 길을 예비해 두셨을 거야, 예배는 하나님과 약속이란다.”그러시면서 묵묵히 앞장서 가신다.


천근만근이 된 다리를 이끌고 산등성이를 또 하나 넘는데 저 계곡 아래 마침 떠내려가지 않은 외나무다리가 그 거친 계곡 물살을 온몸으로 버티며 비틀거리며 서있었다. 겨우 생소나무가지를 베어다 늘어놓고 그 위에다 뗏 잔디를 파다가 엎어 놓은 다리가 꿈틀거리면서 기적같이 떠내려가지 않고 버티고 있었다. 어린 내 눈에는 저 다리를 건너는 것은 곧 죽음과 같은 공포였다.


그런데 아버지는 우리 하나님께서 예비하셨구나! 일아 기도하자 하시면서 하나님, 이 다리를 예비해 주셔서 감사하며 우리 부자 안전하게 건너도록 인도해 달라고 기도하며 오늘 약속된 예배에 늦지 않도록 인도해 달라고 간절히 기도하신 후 아버지께서 먼저 포복하는 자세로 엎드려서 건너기 시작하셨다. 나 또한 아버지께서 건너시는 방법으로 엎드려 건너기 시작했다.


눈 아래에는 성난 물결이 나를 삼킬 듯이 포효하며 흘러가고 있다.

마침내 아버지께서 맞은편에 먼저 건너시고 허리춤쯤 흐르는 물살을 거슬러 내손을 잡고 부자가 맞은 편 땅을 막 밟는 바로 그 순간 언제 그 자리에 외나무다리가 있었느냐는 듯이 철퍽하고는 외나무다리가 우리 시야에서 순식간에 사라져 버렸다.


긴장이 풀어지자 배고픔과 함께 온 몸은 한기로 이빨이 딱딱 마구 마주치며 온 몸을 휘감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래서 나는 어른이 돼서도 비오는 날을 매우 싫어한다. 그래도 우리 부자는 약속된 그 시간에 예배하며 설교말씀을 증거하기 위해 걸음을 재촉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으로 천신만고 끝에 예배 전에 우리 부자는 도착할 수 있었고 아버지는 부임지에서 약속한 첫 예배를 인도할 수 있었다.


그래서 그분의 아들인 나는 ! 약속은 이런 상황에서도 지켜야 하는 것이로구나!’ 내가 자라면서 어른이 되어서도 약속하면 7년 전에 먼저 주님의 품으로 가진 선친이 생각나며 36년을 목회하면서 약속을 할 때마다 그 여름의 장맛비가 생각난다.

그리고 약속을 헌신짝처럼 던져버리는 오늘날의 교계와 또 적지 않은 목회자들과 그리스도인들을 보면서 어린 소년의 날 넘실대던 계곡물에 사라져 버린 외나무다리를 생각한다. 모든 기록은 깨기 위해 있는 것이지만 약속은 지키기 위해 있는 것임에도 오늘 우리 목회현장과 그리스도인들의 삶을 보면 약속도 깨기 위해 하는 것 같은 민망함을 보게 된다.


하나님의 사랑, 자비 구원의 은혜 정말 귀한 말씀이 많지만 그분이 언약, 약속을 지키시지 않으셨다면 그 모든 주님의 은혜는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 아니겠는가? 36년의 목회 가운데서 약속이 헌신짝 같이 버려지는 차마 못 볼꼴들을 참 많이도 보아왔다.

박완서 선생에게 선생님께서 다시 젊어지신다면 무엇을 하시겠습니까? 라고 물었더니 나는 결코 다시 젊어지고 싶지 않다. 지금 이대로가 좋다. 내가 젊어져서 다시 그 꼬라지들을 보라는 말이냐?”라고 했다는 말이 기억난다. 나 또한 그렇다 지금의 내가 좋다. 자기 이권을 따라 약속을 헌신짝처럼 버리는 우리들의 현실을 바라보며. 해아 언덕에서


이정일 목사 / 청하교회



총회

더보기
총회 현안에 왜곡․확대 해석은 공멸의 길
존경하는 3500여 침례교회 동역자 여러분! 무더운 여름의 끝자락에서 불철주야 목회의 사명을 감당하고 계시는 동역자들을 위로하고 격려합니다. 114차 총회는 115차 정기총회를 준비하며 교단의 현안을 제대로 바라보고 우리의 문제와 위기를 직시하며 모든 것을 하나님의 뜻으로 여기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총회를 비롯해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관련 현안에 대해 사실과는 다른 이야기로 왜곡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확대 해석되는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어, 총회장으로서 이 문제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침신대가 ‘평가 인증 유예’에 대해 대의원들이 알아야 할까요? 지난 2025년 6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에서 한국침신대가 ‘인증 유예’ 결과를 받게 됐습니다. ‘인증 유예’라는 생소한 단어 때문에 한국침신대를 사랑하는 모든 침례교 목회자들은 의구심과 혼란에 빠졌습니다. 더 안타까운 사실은 왜곡된 정보,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가 인터넷 언론과 SNS 등을 통해 무차별적으로 유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 침례교단은 과거 왜곡된 정보와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로 교단의 자랑이었던 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