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우리의 이웃 생각하는 해외선교 위해

 

우리교단 해외선교회(이사장 문기태 목사, 회장 주민호 선교사, FMB)는 지난 10월 16~17일 대전 유성 계룡스파텔에서 5회 FMB 선교포럼을 진행했다.


“우리에게 다가온 이웃, 우리가 다가가야 할 이웃”이란 주제로 FMB 파송 선교사와 FMB 이사, 파송교회, 선교후원 교회 목회자 등 100여 명이 함께 한 이번 선교포럼은 보다 현실적인 상황에서의 국내 이주민 선교와 다문화 선교, 다음 세대 선교 등 선교의 폭을 넓히는 시간을 가졌다.


FMB 이사장 문기태 목사는 환영사에서 “매년 선교포럼을 진행하며 함께하는 선교의 틀을 마련하고 있는 것에 고무적”이라며 “복음을 향한 우리의 열정은 주님의 사명으로 따르며 나아가고 있음을 기억하며 이번 선교포럼을 통해 다시 한 번 선교적 교회의 사명을 세우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개회예배는 FMB 주민호 회장의 사회로 FMB 이사 김종성 목사(부산)가 기도하고 이종성 총회장(상록수)이 “서로 돌아보자”(히 10:24)란 제목으로 말씀을 선포했다.


이종성 총회장은 “우리도 부족하지만 서로가 서로를 돌아보는 것 만큼 힘이 되고 위로가 되는 일은 없다고 믿는다”며 “우리가 돌아보고 격려하는 것에 말로만이 아닌 기도로, 물질로 헌신하며 이뤄지는 것을 기억하며 우리의 형편과 처리를 보지말고 주님이 주신 것에 서로를 돌아보고 격려하는 삶이 되자”고 말했다. 


이어 이종성 총회장은 FMB에서 30년을 사역한 송장헌, 이진재, 장인식, 최신출, 최종국 선교사에게 30년 근속패를 전달했다. 


FMB 문기태 이사장(창원)은 매년 선교포럼에 참석한 정명진 목사(자유)와 조대식 목사(신태인), 정인환 목사(신촌중앙), 김영재 목사(제주오라), 이관형 목사(조이풀), 이영은 목사(아름다운), 김용혁 원로목사(대전노은)에게 ‘함께하는 선교인 상’을 수여했으며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가 격려사를, FMB 신갈렙 총무가 광고하고 김용혁 원로목사의 축도로 예배를 마쳤다.


개회예배 후 FMB 주민호 회장이 FMB에 대한 전반적인 사역을 소개하며 일정을 진행했다. 첫 번째 파트는 이주민 사역으로 “이주민 사역의 현황과 필요성”(문사진 선교사), “이주민 사역의 현황과 적용”(임무엘 선교사)이란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고 조별 토론을 이어나갔다. 


두 번째 파트는 무슬림 사역으로 “센터를 통한 이주 무슬림 사역”(정영섭 선교사)과 “nbound Expats Mission”(김영학 선교사)을 각각 발제하고 그룹 토론으로 첫날 일정을 마무리했다.


둘째 날은 세 번째 파트로 최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유대인으로 “유대인 복음화 현황과 한국 그리스도인의 참여”(정재석, 김진남 선교사)와 “늘사랑교회 해외선교 사례발표”(송호철 목사) 등을 통해 특수 선교 사역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폐회예배는 FMB 이사장 문기태 목사(창원)이 “빚진 자의 심정으로”(롬 1:14~15)란 제목으로 말씀을 선포했다.

대전·충청지방국장 
박영재 목사



총회

더보기
총회 현안에 왜곡․확대 해석은 공멸의 길
존경하는 3500여 침례교회 동역자 여러분! 무더운 여름의 끝자락에서 불철주야 목회의 사명을 감당하고 계시는 동역자들을 위로하고 격려합니다. 114차 총회는 115차 정기총회를 준비하며 교단의 현안을 제대로 바라보고 우리의 문제와 위기를 직시하며 모든 것을 하나님의 뜻으로 여기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총회를 비롯해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관련 현안에 대해 사실과는 다른 이야기로 왜곡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확대 해석되는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어, 총회장으로서 이 문제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침신대가 ‘평가 인증 유예’에 대해 대의원들이 알아야 할까요? 지난 2025년 6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에서 한국침신대가 ‘인증 유예’ 결과를 받게 됐습니다. ‘인증 유예’라는 생소한 단어 때문에 한국침신대를 사랑하는 모든 침례교 목회자들은 의구심과 혼란에 빠졌습니다. 더 안타까운 사실은 왜곡된 정보,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가 인터넷 언론과 SNS 등을 통해 무차별적으로 유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 침례교단은 과거 왜곡된 정보와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로 교단의 자랑이었던 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