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일본선교 침묵 NO

여의도의 창

군 복무 시절 정신교육 시간에 우리 군의 주적에 대해 “북한 주민을 제외한 군·당·정”이라고 교육을 받았다. 최근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제외로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거세게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주적의 개념을 놓고 볼 때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무조건으로 반일을 한다며 일본과의 모든 관계를 끊어야 맞는 지 쉽게 대답하기 어렵다.


개인적으로 일본인 모두를 적으로 돌리는 것보다 이 일을 야기시킨 일본 아베정권에 화살을 돌려야 하지 않을까 조심스레 문제를 제기하고 싶다. 일본선교에 소명을 품고 있던 나는 대학생 시절 매년 여름마다 통역을 위해 일본 오사카 부근에 있는 히라가타시(枚方市)의 한 교회로 단기선교를 떠났다. 분주한 일정이었지만 현지 교회의 일본인 목사는 강제징용된 조선 사람들이 모여 살던 마을로 우리를 인도하는 일정을 빼놓지 않았다. 일제가 당시 우리 국민들에게 어떤 죄악을 저질렀는지 빠짐없이 고백하며 무릎을 꿇고 우리에게 대신 사죄했다.


이 일본인 목회자의 진심어린 사죄를 통역할 때마다 일본선교에 대한 나의 마음은 커져갔다. 일본이 복음으로 변화되면 회개의 불길이 일어나 한일관계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할 것이고 여기서 더 나아가 중동과 더불어 인류의 화약고 같은 동북아에 예수 그리스도의 평화의 메시지가 울려 퍼질 것이란 생각이 강하게 들었기 때문이다.


현재 일본으로 파송된 선교사 수는 1504명(2017년 기준)이다. 일본의 인구(1억 2,700만명)와 면적(37만7973㎢)에 비해 일본 기독교 인구는 0.4%에 불과해 1504명이란 선교사 숫자는 결코 많은 것이라 할 수 없다. 이러한 광야와도 같은 곳에 주님의 복음을 전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일본 현지 선교사들이 현 시국으로 인해 불안해 하고 있음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일본복음선교회 대표 이수구 선교사는 “일본 현지 선교사들 뿐만 아니라 교인들도 불안함을 느끼며 주님께 이 사태가 잘 해결되길 기도하고 있다”며 “크리스천들이 양국 관계가 극단적인 상황으로까지 치닫지 않도록 화해의 중재자 역할을 감당했으면 좋겠다”고 털어 놓았다.


우리 침례교회는 물론 한국교회에 강권하고 싶다. 일본제품은 불매하더라도 일본선교의 불씨는 절대로 꺼뜨려선 안된다고 말이다. 오히려 지금 이 상황을 계기로 대한민국의 니느웨인 일본 선교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길 기대한다. 일본이 복음으로 변화될 때가 바로 과거사 문제는 물론 한국과 일본 양국이 발전적인 미래로 향할 수 있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범영수 차장



총회

더보기
총회 선거관리위원회 의장단 공개토론회
총회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홍석오 목사, 서기 윤찬호 목사)는 지난 9월 4일 여의도 총회빌딩 13층 대예배실에서 115차 총회 의장단 후보자 공개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공개토론회는 선관위 백남천 목사(천안중앙)의 사회로 시작해, 서기 윤찬호 목사(우리)의 기도와 홍석오 위원장의 인사말이 이어졌다. 홍 위원장은 “공개토론회를 열 수 있도록 마음을 모아 주신 데 감사드리며, 공정하게 선거운동에 임해 준 두 후보에게 진심으로 감사한다. 오늘 이 자리를 통해 어떤 후보자가 교단을 위해 총회장의 직무를 잘 감당할 수 있을지를 깊이 고민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은 선관위 부서기 서광선 목사(서광)의 진행으로, 기호 1번 김선배 목사(디딤돌 협동)와 기호 2번 최인수 목사(공도중앙)의 약력 소개 후 토론 방식이 안내됐다. 이어 공통질문으로 △총회장 출마 목적과 비전·정책 △임기 동안 우선 추진할 핵심 사역 △다음 세대 이탈 현상에 대한 대책 △은퇴 목회자 지원 방안 △미자립교회 지원 정책 △한국침례신학대학교 당면 과제 해결 방안 등에 대한 문답이 있었다. 후보자들은 각 질문에 대한 입장과 공약을 발표한 뒤, 상호 교차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