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C채널방송 ‘6·25전쟁 70주년 특별 영상’ 무료 배포


C채널방송은 오는 6월 1일부터 6·25전쟁 발발 70주년 특별 영상을 제작해 한국교회에 무료로 배포한다.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한국교회를 위해 C채널방송이 미디어 선교의 역할을 감당하고자 마련된 이번 특별 영상은 총 2편으로 제작됐다.


1편 ‘지켜야 할 교회’(6분용, 3분용)는 6·25전쟁의 아픔과 부산을 중심으로 전쟁 속에 펼쳐진 기도회가 이끈 희망의 메시지를 생생하게 전한다. 2편 ‘두고 온 교회’(3분용)는 북한에 고향을 둔 원로 목회자들의 기억을 통해 전쟁의 아픔과 북한교회 재건을 위한 회복의 소망을 담았다.


6·25전쟁 공식 사망자 수는 137만 명이다. 집계되지 않은 수를 더한다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생명이 희생됐다. 전쟁이 일어난 지 3일 만에 수도 서울이 함락돼 구름 같은 피난민들이 모여든 부산을 중심으로 한국교회 역사는 큰 전환점을 맞게 된다.


피난촌에 십자가를 세우고 예배를 드리기 시작한 피난민들로 서울과 평양 중심의 복음의 진원지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 그 당시 목회자들과 성도들의 마음에 ‘회개’가 불일 듯 일어났고, 부산초량교회와 부산중앙교회를 중심으로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 때와 같이 통회 자복하는 일이 일어나며 2주일 간 기도회가 이어졌다.


초량교회의 한상동 목사와 고려신학교 교장 박윤선 목사를 중심으로 진행된 기도회에서 박윤선 목사는 자신의 신사참배를 회개하며 눈물로 기도했고 이것을 들은 기도회 참석자들은 한사람씩 뜨거운 회개 기도를 이어갔다.


당시 초량교회 성도였던 정금준 장로는 “기도하다보니 기도문이 열려서 밤새도록 기도가 끊어지지 않았다”고 회고했다. 고신대학교 이상규 명예교수는 “구국기도회가 끝난 마지막 날 새벽기도회 후에 발행된 ‘인천상륙작전 성공’이란 제목의 호외였다”며 이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장신대학교 탁지일 교수는 “6·25전쟁은 민족적으로 매우 아픈 시기였지만 서울과 평양중심의 기독교가 전국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C채널방송이 제작한 6·25전쟁 70주년 특별 영상은 C채널방송 홈페이지(http://www.cchnnnel.com/)에서 6월 1일부터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으며, 영상을 제공 받은 교회는 설교 자료와 주일학교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범영수 차장



총회

더보기
“생명의 복음을 전하는 침례교회로 세워지길”
기독교한국침례회 115차 정기총회가 9월 22일 전주새소망교회(박종철 목사)에서 “일어나 함께 가자”란 주제로 1581명의 대의원이 등록한 가운데 개회했다. 오후 3시부터 시작된 개회예배는 총회 전도부장 이황규 목사(주우리)의 사회로 호남제주침례교연합회 회장 장길현 목사(성광)가 대표로 기도하고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성경봉독, 새소망교회 청년들의 특송(소프라노 이주영, 플롯 이용희, 피아노 안인경)이 있은 뒤, 우리교단 74대 총회장을 역임한 박종철 목사(새소망)가 “생명의 말씀을 전하라”(빌 2:14~18)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박종철 목사는 설교를 통해, “우리의 복음 사역을 통해 많은 생명들이 살아나는 역사가 일어나기를 소망하며 거룩한 성령의 역사가 일어나야 할 때”라며 “침례교회의 목회자와 성도들이 헌신하고 희생하며 오직 생명을 다해 복음을 전하는 사역에 매진하며 하나님 앞에 죽도록 충성하는 교회가 되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교단 77대 총회장을 역임한 고명진 목사의 축도로 개회예배를 마쳤다. 2부 환영 및 축하는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의 사회로 이욥 총회장(대전은포)이 환영사를, 미남침례회 한인교회 이태경 총회장과 문화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