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울 퀴어축제 반대

오는 7월 16일, 서울광장이 음란과 죄악의 장소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한국교회 내에서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최근 서울광장 일대에서 열리는 동성애축제(퀴어축제)를 조건부로 승인했다. 서울시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시민위)는 지난 6월 15일 회의를 통해,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가 신청한 서울광장 사용 신청 안건을 수정, 가결했다. 시민위는 애초 조직위가 신청한 행사 기간(7월 12∼17일)을 7월 16일 토요일 하루로 줄이고, 신체 과다노출과 청소년보호법상 금지된 유해 음란물 판매·전시를 안 하는 조건으로 광장 사용 신청을 받아들였다. 시민위는 무대 설치 등 행사 준비 시간을 주기 위해 행사 전날인 7월 15일 오후부터 조직위가 광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동성애축제가 처음으로 서울광장에서 열린 것은 2015년부터이다. 지난 3년간 코로나19 팬데믹 때문에 오프라인 집회가 금지된 기간을 제외하고 불허된 적이 없이 매번 시민위를 통해 사용신청이 통과됐다. 지난 2019년 당시 서울시의 다수의 공무원들이 서울광장 동성애 축제를 반대하며 발표한 성명서에 따르면 ‘서울특별시 서울광장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에서 ‘서울광장은 시민의 건전한 여가선용과 문화활동 등에 이용돼야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동성애축제는 그 음란성으로 인해 시민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건전함과 거리가 멀다. 또한 ‘서울특별시 서울광장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에 따르면 서울광장 내에서는 특별히 혐오감을 주는 행위, 영리를 목적으로 한 광고 및 판매행위를 일체의 모금·판매 행위를 해서는 안되고 소음도 기준 이해야 한다. 하지만 그동안 실제 행사장에서는 규칙 위반이 난무했다. 남성 성기모양의 자위 도구, 남녀 성기 모양의 비누가 등장하고 ‘레즈비언 섹스토이 사용만화’ 등 음란물도 버젓이 전시돼 판매된 사례는 이제 너무나도 유명해 더 이상 언급하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다시금 서울광장에서 동성애 축제가 열리도록 허용한 시민위의 결정에 우려를 금치 않을 수 없다. 한국 보수 기독교계는 보수적인 인사로 알려진 오세훈 서울시장이 최근 열린 서울시장 선거에서 승리하자, 이번에는 달라질 것이라 기대했지만 아무런 변화가 없어 크게 실망하고 있다.


사실상 동성애 축제 장소로 서울광장 사용을 승인한 것은 동성애를 인권으로 포장하며 절대 다수의 국민의 자유를 억압하는 일에 지나지 않는다. 동성애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동성애가 인권이라 주장하면서 동성애에 관한 어떠한 비판이나 반대도 혐오와 차별로 규정하면서 다수의 국민들의 학문과 표현, 양심과 신앙의 자유를 억압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평등법’이란 이름으로 정상적이고 전통적인 가정을 해체하고 우리 사회의 윤리와 도덕을 무너뜨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는 세상 언론의 관심이나 상업성을 내세운 서울 퀴어 축제를 반대한다. 서울광장을 그들에게 내어주는 것은 동성애에 면죄부를 주는 행위나 다를 것이 없기 때문이다. 한국교회총연합은 퀴어 축제 저지를 위한 분명한 메시지를 내고 행동으로 옮겨 주기를 바란다. 또한 일회성 항의방문이나 성명서는 그저 보여주기에 지나지 않을 뿐이기에 이를 뛰어넘는 조직적 행동으로 서울광장이 또 다른 소돔과 고모라가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주기를 바란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