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 세계 영화제 50관왕 ‘그대 어이가리’ 3월 국내 개봉

전 세계 영화제에서 작품상, 감독상, 연기상 등을 섭렵하며 50관왕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운 ‘그대 어이가리’가 오는 3월 국내 개봉을 앞두고 있다.


이창열 감독이 각본을 쓰고 연출한 ‘그대 어이가리’는 노부부의 사랑에 관해, 삶과 죽음에 관해, 우리 인생에 관해 묵직한 주제 의식을 내포하고 있으면서도 무겁지 않게 또 호들갑스럽지 않게 그렸다. 우리의 남도소리와 노동요, 육자배기의 흥타령, 상여소리가 이 영화의 제 2의 주인공이다. 제목 “그대 어이가리”는 극중 동혁이 아내 연희에게 하는 말이다. 극중 아내인 ‘연희’가 불치의 병에 걸리며 일상이 무너진 남편 ‘동혁’의 애절한 러브 스토리다. 연극부터 드라마, 영화 등 쉬지 않고 활동하며 깊은 연기 내공을 가진 선동혁, 정아미 관록의 두 배우가 삶과 죽음에 대한 고찰을 그려냈다. 특히 국악과 창(唱)을 통해 한국적인 미를 자랑할 뿐 아니라 우리 모두가 살면서 겪을 수밖에 없는 상황을 현실적으로 집요하게 응시한 연출로 해외에서 먼저 작품성을 인정받으며 이름을 알렸다.


‘그대 어이가리’는 일찌감치 제50회 남부 영화 예술 아카데미 영화제 6관왕을 시작으로 전 세계 47관왕이라는 놀라운 수상 릴레이를 이어갔다. 특히 제42회 파이브 콘티넨츠 국제영화제에서는 단일 영화사상 최초로 11개 전 부문 수상을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다.


또한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촬영상, 사운드 디자인상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열린 제23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관객들과 첫 만남을 가졌다.


3월 개봉 소식과 함께 공개한 티저 포스터는 무엇보다 전 세계 영화제에서 수상 행렬을 이어간 작품답게 수상 이력이 전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 마치 한 폭의 수묵 채색화를 연상시키는 비주얼과 부드러우면서도 응축된 힘이 느껴지는 붓글씨 타이틀이 서로 어우러져 눈길을 사로잡는다.


붓글씨의 주인공은 태극서법의 창시자이자 매년 신년 휘호를 쓰는 세계적인 서예가인 초당 이무호 선생의 작품이다. 극이 안겨주는 묵직한 울림에 감동한 선생이 영화를 위해 직접 쓴 글씨다. 여기에 “사랑의 품격을 보여준 영화”(블랙스완 국제 영화제), “놀랍도록 치밀하고 아름다운 앙상블의 영화(리치몬드 국제 영화제)라는 리뷰까지 더해져 ‘그대 어이가리’를 향한 궁금증과 기대감을 동시에 자극한다.


한편 독실한 침례교인인 이창열 감독은 40여 년을 대전에 연고를 두고 하나님을 섬겨오며 영화 그대 어이가리를 각본과 감독에 제작까지 혼자 해 냈다. 이 감독은 이 모든 영광이 오롯이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이루어진 결과물이라며 주님께 감사를 표했다.

범영수 부장



총회

더보기
FMB, 7회 선교포럼 통해 미전도종족 선교 비전 공유
우리교단 해외선교회(이사장 김종성 목사, 회장 주민호 목사, FMB)는 지난 10월 13~15일 2박 3일간 천안 소노벨리조트에서 ‘7회 FMB 선교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선교포럼은 “아직도, 아무도 선교하지 않은 곳! 미전도, 비접촉종족”이란 주제로 파송·후원 교회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구체적인 방향성을 공유하고,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우리 교단이 감당해야 할 새로운 선교의 길을 모색했다. FMB 이사장 김종성 목사(부산)는 환영사를 통해 “선교포럼이 시작된 이유는 선교 인프라를 좀 더 확장하기 위함”이라며, “이제 다양한 미래 환경의 도전 앞에 머리를 맞대고 주님의 인도와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개회예배는 FMB 주민호 회장의 사회로 시작했다. 김종성 이사장의 기도 후 우리교단 총회장 최인수 목사(공도중앙)가 “보냄을 받은 예수 그리스도”(요한 12:1~2)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최 목사는 설교를 통해 “우리가 붙들어야 할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구원의 이름이라는 사실”이라며 “이 믿음이 성령을 통해 각자의 영혼에 담겨, 예수 잘 믿는 선교포럼으로 이어지기를 축복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는 격려사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