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네팔의 고난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CTS, 네팔 지진피해 재난 특집 방송 편성


 

지난 425, 진도 7.9의 강진이 발생한 네팔에 CTS기독교TV(회장 감경철, 이하 ‘CTS’)는 특별취재단을 현장에 급파하고, 55일부터 11일까지 67일간 재난 현장 취재를 진행했다.


특별취재팀이 네팔 현지에 도착했을 당시에는, 한인 선교사 협의회 재난대책 본부를 중심으로 긴급구호가 이뤄지고 있었고, 당시 언론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카트만두는 교통 · 통신 지진 피해 이전 상황을 상당 부분 회복되어 가고 있는 중이었다. 또한 인도와 중국의 긴급구호팀이 철수하고, 한국 등 해외 취재진도 대다수 철수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CTS 특별취재팀은 국내외 외신 및 언론이 단 한 번도 접근하지 못한 대규모 피해지역인 신두발촉를 시작으로 카트만두, 누와코트, 다닝의 취재를 진행했다.


신두팔촉 꾸매솔 마을은 124개 가옥 중 2개를 제외하고 전파되었고, 사망자가 11명이 발생했다. 비포장 산악도로로부터 능선을 따라 두어 시간이 걸어야 접근이 가능한 이 마을은 폭격으로 초토화된 듯 삶의 흔적을 거의 발견하기 어려웠다.


다행히 살아남은 사람들은 삶의 위안으로 삼을 뿐, 죽은 자에 대해 슬퍼하거나 통곡할 기력도 없는 상태였다. 자신들의 삶의 기반이었던 주택이 전파된 상태라 밭이나 언덕길 노견에 급하게 마련한 천막이나 양철 함석으로 임시 거처를 마련해 비와 해를 피해 구호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었다.


또 누와코트. 다딩 등 지진 최다 피해지역은 도로 유실 및 산사태로 외지인의 피해 현장 접근이 원천적으로 어려운 만큼 정확한 지진 피해 현황 집계가 어려워 실질적인 사상자 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보였다.


CTS는 이번 네팔지진심층취재를 통해 현지의 상황을 정확하게 알리고, 1단계 긴급구호에서 2단계 네팔재건의 방법을 한국교회와 성도과 함께 모색하고, 긍휼사역에 동참 및 중보 하고자 네팔지진피해 재난특집방송을 518일부터 22일까지 한 주간 7000미라클을 통해 방송했다.



총회

더보기
총회 현안에 왜곡․확대 해석은 공멸의 길
존경하는 3500여 침례교회 동역자 여러분! 무더운 여름의 끝자락에서 불철주야 목회의 사명을 감당하고 계시는 동역자들을 위로하고 격려합니다. 114차 총회는 115차 정기총회를 준비하며 교단의 현안을 제대로 바라보고 우리의 문제와 위기를 직시하며 모든 것을 하나님의 뜻으로 여기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총회를 비롯해 한국침례신학대학교 관련 현안에 대해 사실과는 다른 이야기로 왜곡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확대 해석되는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어, 총회장으로서 이 문제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침신대가 ‘평가 인증 유예’에 대해 대의원들이 알아야 할까요? 지난 2025년 6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에서 한국침신대가 ‘인증 유예’ 결과를 받게 됐습니다. ‘인증 유예’라는 생소한 단어 때문에 한국침신대를 사랑하는 모든 침례교 목회자들은 의구심과 혼란에 빠졌습니다. 더 안타까운 사실은 왜곡된 정보,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가 인터넷 언론과 SNS 등을 통해 무차별적으로 유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 침례교단은 과거 왜곡된 정보와 제한된 정보, 진영에 입각한 해석에 근거한 정보로 교단의 자랑이었던 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