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모임에 참석했던 News Now지 기자인 찰리 버트즈의 제목대로, “남침례교인들은 칼빈주의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는 것에 일치를 보았다.” 샬롯의 남부복음주의신학대학원(Southern Evangelical Seminary) 총장인 리차드 랜드의 언급처럼, “하나님이 모든 사람을 사랑하시고 구원하시기를 원하신다는 것에 우리는 일치했다. 하지만 왜 오직 몇몇 사람들만 결국 구원받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우리는 다르다. 하지만 그러한 차이가 분열의 충분조건이 되지 않으며 다가올 세계에 복음을 전하려는 (우리들의) 아주 중요한 협동하려는 노력을 방해하면 안될 것이다”라는 주장에 양 진영이 동의했다. 한 마디로 보고서의 요지는 비록 선택(예정)에 대해서는 신학적으로 일치하지 않지만, 그러한 불일치가 역사적으로 침례교인들이 협력하고 헌신해 왔던 복음 전파와 선교에 방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 위원회 보고서 이후, 대체적인 분위기는 신학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복음 전도와 선교라는 대위임명령을 수행해야 하는 목적에 서로 연합해야 한다는 것에 일치를 보았다. 이러한 일치를 가능하게 했던 것은 모든 남침례교인들이 따르고 있는 신앙고백서(Baptist Faith and Mes
전통주의자들의 선언서는 배교의 가능성을 제외하고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칼빈주의 신학노선과 정반대였다. 곧바로 칼빈주의 진영의 반박이 시작됐음은 물론이다. 몰러는 “Southern Baptists and Salvation: It’s Time to Talk”라는 글에서 전통주의자들의 선언서는 신학 논쟁을 불러일으킬 의도로 작성됐다고 비판하고, 자신의 견해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복음 전파는 모두에게 당연한 의무이며, 전통주의자들은 절반-펠라기우스주의(Semi-Pelagianism)로 기울었고, 교단 안에 여러 신학 전통이 존재하는 것이 오히려 건강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교단의 대표적인 칼빈주의 신학자인 네틀즈도 최근 비-칼빈주의(Non-Calvinist) 침례교인들이 칼빈주의 구원론이 아닌 “나쁜 종교로 나아가고 있다”고 곧바로 공격하고, 전통주의자들의 성명서가 인간의 자유의지를 강조한 나머지 칼빈주의 5대 강령 가운데 하나님의 효과적인 사역, 선택, 속죄, 부르심 등 네 가지를 거부했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칼빈주의들의 주장에 대해 전통주의자 진영의 프랭크 페이지(Frank Page, 2012년 교단 실행위원회 회장)는 침례교인들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공
우리와 늘 함께 따라다니는 너 네가 따라다니지 말라고 뛰고, 뛰어 심장이 입 밖으로 나올 때까지 달려도 너는 여전히 옆에 있고 없어지지 않지 달리다가 급기야는 심장이 터져 죽게 되는구나 그러나 너는 우거진 숲이 있는 그늘에 들어가면 없어지고 마는데 아아! 우리의 고통과 아픔이 그림자처럼 따라다닐 때 십자가 그늘로 가면 되는구나 주님께서 위로해주고 평강을 주는구나.
2025 APEC(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이 경주에서 열렸다. 그래서 오늘은 잠시 경주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경주’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지금의 청년 세대는 황리단길(경주 황남동과 이태원의 경리단길이 합쳐진 단어)이나 ‘드라켄’이나 ‘스콜&하티’와 같은 스릴 넘치는 롤러코스터의 성지인 ‘경주월드’가 떠오를 것이다. 반면에 기성세대를 포함 대부분은 ‘천마총과 불국사와 첨성대, 성덕대왕 신종, 동궁과 월지 등’을 관광했던 수학여행의 장소를 떠올린다. 또한 한편으론 역사를 조금 안다는 사람은, ‘신라를 비롯하여 화랑, 골품제도, 법흥왕, 진흥왕, 선덕여왕’ 등 역사적 사실에 대해 떠오를 수도 있다. 이 외에도 경주에 대해 떠오르는 ‘사람, 장소, 추억 등’ 저마다의 추억거리가 있다. 경주는 신라의 수도로서 신라의 처음과 끝을 함께한 도시다. 고구려와 백제가 계속 수도를 옮겼음을 생각하면 참으로 이례적이다. 신라 시대에는 ‘금성 혹은 서라벌’이라 불렸다. 또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4점, 국가 지정 문화재 360점 등을 보유한 한반도 문화유산의 보고이자 도시 전체가 박물관이다. 동해와 접하지만, 일반인들은 경주가 ‘해안 도시’란 걸 잘 모른다.
사도바울에게 안수해서 눈을 뜨게 한 아나니아 선지자처럼 한 시대 부흥을 일으키고 사라져간 많은 주의 종들을 기억합니다. 그 중에 한 사람이 저희 아버지 염충섭 목사님입니다.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 안에서 주님께 쓰임받고 세상의 시간 속으로 사라집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 세상 있을 동안 주님을 위하여 가치있게 쓰임 받았다는 것이 얼마나 영광스러운 일이며 자랑스러운 일인지요. 큰 교회든 작은 교회든 상관없이 귀한 일입니다. 그 대단한 모세도 광야 40년 주님을 위해 사환으로 일했고 가나안 땅을 멀리 보고서 그의 인생을 끝냈습니다. 우리는 아무리 이 세상에서 대단하다 해도 겸손히 하나님 앞에서 피조물인 것을 자각합니다. 매일 매순간 세월을 아끼며 복음전하는 사명을 위해 살아갑니다. 그리고 때가 되면 조용히 주님의 주권 속으로 들어갈 것입니다. 우리가 이전 세대를 기억하지 않듯이 이후 세대도 우리를 기억하지 않을 것입니다. 다만 주님이 우리를 기억하시고 영접하시며 상을 주실 것입니다. 우리는 주님을 기대합니다. 아버지! 천국에서 다시 만날 것을 기대합니다. 염정옥 사모 백양로교회(장근철 목사) 전국사모회 회장
바람에 날려가지 않으련다 떨어진 나무 아래 소복이 쌓여 남은 온기로 뿌리 덮어주고 거름되련다 평생 가족 위해서 일하다 은퇴했다고, 집 안에만 붙어있다고 비 젖은 나뭇잎이라 비아냥 듣는 노년 남자들 신록으로 싱그러움 안겨주고 녹음으로 쉼터 꾸며주며 과일 탐스럽게 익혀준 우리와 마찬가지 낙엽됐는가
이후 대표적으로 전통주의자 진영의 핵심 모임인 The John 3:16 Conference(2008, 하나님은 모든 사람을 구원하시기를 원하신다고 믿는다)의 상무이사(Executive Director)인 릭 페트릭(Rick Patrick)도 6개의 단체들을 운영하고 있는 칼빈주의 진영에 비해 단 하나의 단체라도 전통주의 진영에서 운영해야 하며, 교단에는 두 개의 건강한 날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구원론에 대한 전통주의 역사 뿌리는 16세기 아나뱁티스트, 영국의 일반침례교회, 18세기와 19세기 미국 남부 샌디 크릭(Sandy Creek) 전통과 멀린스, 허쉘 홉스(Herschel Hobbs), 아드리안 로저스(Adrian Rogers), 피셔 험프리스(Fisher Humphreys), 폴 로버트슨(Paul Robertson), 빌리 그래함(Billy Graham)이 주장한 구원의 교리에 두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전통주의자들의 신학 전통이 침례교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계속됐다고 주장했다. 페트릭은 이러한 신학에 “전통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결국 전통주의자들의 핵심은 침례교는 역사적으로 시작부터 어느 특정 신학(그것이 칼빈주의든
구원의 본질 (칼빈주의 절대 예정론 vs 전통주의 일반 예정론) 구원의 본질을 두고 교단 안에는 ‘새로운 칼빈주의자’로 불리는 사람들과 ‘전통주의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있다. 전자는 인간의 회심 이전에 하나님의 절대 예정에 따른 강권적인 은혜로 거듭남(중생)이 선행된다는 (인간의 의지를 완전히 배제한) 칼빈주의 주요 신학을 따르고 있다. 반면에 후자는 회심 이전에 일어나는 인간 본성의 필연적인 내적 변화 없이도 모든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사랑과 복음 전파를 통한 성령의 역사에 사람은 하나님께 긍정적으로 충분히 반응할 수 있다는 구원에서의 인간의 의지(선택)를 인정하는 신학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결국 이 논쟁의 핵심 신학 문제는 구원의 주도권이 오직 하나님에게만 있는가 아니면 인간의 역할이 일부 허용되는가를 두고 벌어진 것이었다. 이 논쟁은 필연적으로 복음을 전하고 선교사를 파송하는 당위성 문제로 확장됐고(모든 것이 하나님의 절대 예정의 결과라면, 인간의 선교나 전도의 노력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남침례교인들에게는 소위 ‘방 안의 코끼리’(elephant in the room) 문제로 불렸던 주제였다. 모든 사람이 알고는 있지만 그 누구도 먼저 이야
점점 악하여 가는 이 세상과 대인관계보다는 휴대전화 안의 세상에서 서로 소통하는 이 세대에게, ‘너 하나님의 사람아!’라는 어린이 캠프의 주제와 디모데전서 6장 11~12의 주제 말씀은 하나님께서 이 세대를 향해 다시 일으키실 회복의 역사에 대한 소망과 기대감을 줬습니다. 하나님의 새 역사를 기대하며 이를 위하여 교사들과 함께 ‘하나님, 우리 아이들 만나주세요! 하나님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고, 하나님 자녀로서의 삶을 끝까지 살아가는 우리 아이들 되게 해 주세요!’ 간절히 기도하며 캠프에 참여했습니다. 아이들을 향한 사랑과 열정으로 준비된 캠프 일정을 통해 하나님께서는 우리 아이들을 한 명 한 명 만나주셨습니다. 특별히 오직 하나님만을 향한 뜨거운 찬양을 통해 아이들의 마음의 문은 활짝 열렸고, 그 마음 밭에 뿌려진 말씀을 붙들고 하나님께 전심으로 회개하며 ‘하나님만을 사랑하겠노라’ 자신의 고백을 올려드렸습니다! 집회 때 뜨거운 눈물과 함께 하나님께 올려드린 자신의 마음 담은 고백은 아이들의 눈빛을 변화시키고, 부모님의 하나님이 아닌 나를 만나주신 하나님을 고백하게 하셨습니다. 할렐루야! 일을 시작하신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이루셨습니다! 금번 캠프를 통
1895년 5월, 미국성서공회(American Bible Society, ABS)는 알렉산더 A. 피터스를 권서인(勸書人, 권서: 성경 보급을 위한 책 판매자)으로 임명하여 조선에 파송했다. 피터스는 인천 제물포항을 통해 입국했고, 이후 무어 선교사와 함께 짧은 적응기를 거친 후, 한양을 벗어나 전국을 홀로 다니며 복음을 전파했다. 특히 1896년에는 6개월 동안 2,000권이 넘는 책을 판매했다. 이 판매는 단순한 상업적 거래가 아니라, 복음의 메시지를 전파하는 선교적 사역의 일환이었다. 이러한 활동은 당시 조선 사회에서 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한국 근대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장을 차지한다. 그의 헌신적인 사역은, 무엇보다 그가 한글에 능통해지도록 이끌었다. 다른 선교사들은 한글 배우기가 고역이었지만, 그는 스스로 ‘한글을 습득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고 보고할 정도로 나름 수준급이었다. 무엇보다 성경을 빨리 번역해 사람들이 읽도록 해야겠다는 뜻이 간절했다. 그래서 그는 조선에 온지 불과 2년 만에 한글을 완전히 통달하게 됐다. 이후 1898년, 한국 기독교 역사에 중요한 한 걸음이 찍혔다. 바로 ‘시편촬요’의 간행이다. ‘촬요’라는 이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