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저스 제주

여의도의 창

한 선교단체가 제주선교 110주년을 기념해 제주도에서 선교대회를 개최했다. 5일간 선교대회를 열고 이후에는 제주도 각 지역에서 봉사활동을 펼쳤다. 단순히 행사만 열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지역을 위해 사랑을 전하는 모습을 많은 이들에게 알리고 싶었으리라. 하지만 대회 현장 사진 하나가 문제가 됐다.


무대 뒤편에 위치한 새별오름에 ‘지저스 제주’(Jesus Jeju)라는 글이 영어로 새겨져 있던 것이 알려지자 사람들은 전후사정은 일단 제쳐둔 채 “개념 없는 기독교인이 새별오름에 몰래 올라 조형물을 설치했다”며 분개했다.
그들의 모습은 마치 대단한 건수를 잡은 듯 했지만 사실 반응은 미미했다. 제주 예멘난민 이슈에 묻힌 것도 있지만 보통의 사람이라면 산을 깎아 내린 것도 아니고 자기들끼리 북을 치든 장구를 치든 무슨 상관이겠는가. 이를 이용해 자신들의 이름을 알리려는 이들도 눈에 띄긴 했지만 이슈화는 실패한 느낌이다.


안타까운 점은 글자가 ‘지저스 제주’가 아닌 다른 문구였다면 이렇게 반응했을까하는 점이다. 진보라는 이름으로 덮어놓고 기독교를 공격하는 무리들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저스’라는 이름이 문제가 되는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이 슬프게 다가온다.


최근 ‘신은 죽지 않았다3’라는 영화를 봤다. 영화는 교회가 세운 어느 대학교가 주정부에 팔린 이후 대학 이사회가 교회당 자리를 철거하고 학생회관을 건립하려 하고 해당 교회에서 사역하고 있는 목사는 이에 반발해 법정다툼한다. 영화를 보면서 솔직히 이사회의 경우 이윤을 중요시 여기기 때문에 그들의 행동은 어느정도 이해가 가는데 학생들 중에 “교회가 학교 안에 있으면 안 된다”며 시위를 벌이는 모습이 이해가 가지 않았다.


새별오름의 ‘지저스 제주’라는 글에 분개하는 이들이 이해가 가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말이다.
영화는 이런 분쟁의 해결책으로 ‘희생’을 제시한다. 결말을 보면서 사실 뒤통수 맞은 느낌이었다. 지금껏 교회를 향한 공격에 분노하며 반박하기만 했던 우리의 모습이 어쩌면 ‘지저스 제주’를 공격하도록 빌미를 제공한 것은 아닌지 고심하게 했다.


희생하지 않았던 한국교회, “한 알의 밀알이 되어”라고 외치면서도 그 한 톨이 아까워 알맹이 없는 빈 강정만 뿌려댄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그 답이 물론 ‘희생’만은 아닐 수도 있으나 어쩌면 가장 기독교다운 선택이 아니겠는가. 이를 통해 부디 자신 있게 예수 이름을 높일 수 있는 그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


범영수 차장



총회

더보기
총회 선거관리위원회 의장단 공개토론회
총회 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홍석오 목사, 서기 윤찬호 목사)는 지난 9월 4일 여의도 총회빌딩 13층 대예배실에서 115차 총회 의장단 후보자 공개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공개토론회는 선관위 백남천 목사(천안중앙)의 사회로 시작해, 서기 윤찬호 목사(우리)의 기도와 홍석오 위원장의 인사말이 이어졌다. 홍 위원장은 “공개토론회를 열 수 있도록 마음을 모아 주신 데 감사드리며, 공정하게 선거운동에 임해 준 두 후보에게 진심으로 감사한다. 오늘 이 자리를 통해 어떤 후보자가 교단을 위해 총회장의 직무를 잘 감당할 수 있을지를 깊이 고민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은 선관위 부서기 서광선 목사(서광)의 진행으로, 기호 1번 김선배 목사(디딤돌 협동)와 기호 2번 최인수 목사(공도중앙)의 약력 소개 후 토론 방식이 안내됐다. 이어 공통질문으로 △총회장 출마 목적과 비전·정책 △임기 동안 우선 추진할 핵심 사역 △다음 세대 이탈 현상에 대한 대책 △은퇴 목회자 지원 방안 △미자립교회 지원 정책 △한국침례신학대학교 당면 과제 해결 방안 등에 대한 문답이 있었다. 후보자들은 각 질문에 대한 입장과 공약을 발표한 뒤, 상호 교차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