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예수의 복음이 새겨진 그의 만 칠천 키로미터의 여정

뮤지컬 <바울>

  

주최 MJ컴퍼니장소 대학로 예술마당 3전석 40,000

공연시간 평일 8(수요일 공연 없음) | 토요일, 공휴일 3, 7| 일요일 5

 

뮤지컬 <바울>이 지난 419일부터 630일까지 뮤지컬 <마리아 마리아> 최고 크리에이티브 진과 함께 대한민국 공연의 심장부, 대학로로 귀환했다. 프로듀서 최무열, 작가 유혜정, 작곡가 차경찬, 연출 성천모까지. 뮤지컬 <마리아 마리아> 초연부터 브로드웨이 진출까지 성공적으로 이뤄내며 대한민국 뮤지컬 작품상을 거머쥔 드림팀이 완벽히 돌아왔고 이는 2011년 첫 선을 보인 뮤지컬 <바울>의 새로운 제 2막이 열렸음을 보여준다.

 

연출 성천모의 합세는 <바울>에 새로운 반향을 불러일으킨다. 오프닝 만 칠천 키로미터는 실제로 26km를 걸었던 바울의 전도여행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며 극을 이끄는 핵심으로 자리잡았다. 무자비한 사울의 모습이 드러났던 스데반의 순교 장면은 바울의 죄의식으로 조명되어 그의 여정을 더 탄탄하게 만들어준다. 유혜정 작가 또한 수 차례 수정작업을 걸쳐 누구나 쉽게 바울의 여정에 공감할 수 있는 대본을 완성했으며, 차경찬 작곡가의 새로운 곡과 최무열 프로듀서의 극적인 요소들이 가미되어 바울의 사역이 한 층 더 감동적이고 깊이 있게 다뤄질 전망이다.

 

다소 출신의 바울은 유대교의 깊은 신앙심을 품은 자로 대제사장의 명령에 따라 예수쟁이들을 잡아들이는데 앞장을 서게 된다. 바울은 엘루마와 함께 다메섹으로 이들을 잡으러 가는 도중 사막에서 예수를 만나게 되고, 이 후 예수를 위해 살기로 결심을 하게 된다.

 

그 후 바울은 고향 다소에서 십 여년 동안, 천막쟁이 일을 하며, 예수를 전도하게 되고, 다소를 찾아온 바나바와 함께 루스드라, 마케도니아, 빌립보등 험하고 먼 전도여행을 다니게 된다. 그러나, 가는 곳마다 이교도 혹은 이단 취급을 받아 매를 맞거나 바울을 추적하는 엘루마의 협박으로 생명을 위협을 받을 뿐 아니라, 고린도 교회와의 갈등으로 괴로움을 겪기도 한다.

 

예루살렘으로 들어온 바울은 대제사장들의 위선과 부정을 비난하여, 신성 모독죄로 체포되고 로마로 압송된 후, 사형에 이르게 된다. 바울은 자신의 신앙고백을 수많은 편지를 통해 남긴다. ‘나는 선한 싸움을 다 싸우고,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습니다. 누가 하나님의 사랑에서 우리를 끊을 수 있겠습니까? 어떠한 핍박이나 환란 앞에서도, 어떠한 굶주림이나 칼의 위협 앞에서도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에서 절대로 우리를 끊을 수 없습니다’”

 

성경에는 그의 죽음이 정확히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뮤지컬 <바울>에서는 그가 먼 전도여행을 하고 돌아온 예루살렘에서 죽음을 맞게 된다. 듣고 읽는 것만으로 만족했던 성경구절을 바울이 직접 대사로 표현하고, 상상만 해왔던 앉은뱅이가 일어나는 모습 등이 눈 앞에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울이 죽기 직전 하나님 앞에서 울며 읊었던 하나님이 나의 증인은 듣는이들에 가슴을 울린다. 말로 표현하는 설교가 아닌, 보고 들으며 체험할 수 있는 성경이야기가 된 것이다. 바울은 기독교인이라면 누구나 닮고 싶어하는 하나님의 제자 중의 제자이다. 그는 실제로 성경안에서 26km를 걸으며 하나님의 복음을 전했고 그 증거로 그는 신약성경에 많은 책들을 남겼다.

 

어떤 이보다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는데 힘썼던 그를 뮤지컬 <바울>을 통해 실제적으로 만나 그의 삶을 대면해 다시 한 번 하나님과의 진정한만남의 계기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

 

한편, 뮤지컬 <바울>20114, 9개월 동안 약 3만 명 관객동원이라는 성과를 이루었고 걸어서 사역했던 바울을 본 받아 찾아가는 바울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이를 통해 전국 교회와 대학교는 물론, 전형적인 전도축제 시스템의 한계를 뛰어넘어 공연을 찾는 모두에게 감동과 함께 하나님의 복음을 전했다. ‘찾아가는 바울은 공연이 올라가는 시즌이 아니라도 기획사와 날짜 조율이 가능하다.

 



총회

더보기
“우중에도 우리의 기도는 멈추지 않는다”
세찬 비바람이 몰아치는 충남 강경 옥녀봉에서 찬송과 기도의 부르짖음이 울려 퍼졌다.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 목사)는 지난 5월 10일 강경 옥녀봉 ㄱ자 복원교회에서 신사참배거부 교단기념일 감사예배를 드렸다. 이날 예배는 81년 전, 1944년 5월 10일 일제총독부 함흥재판소에서 신사참배를 거부한다는 이유로 교단이 폐쇄된 날을 기리고 믿음의 선진들의 뜻을 되새기는 행사로 진행했다. 1부 감사예배는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사회로 평신도부장 김태욱 목사(두란노)가 대표로 기도했다. 이어 전국여성선교연합회 글로리아합창단이 찬양하고 총회 여성부장 하숙현 권사(범일)가 성경을 봉독한 뒤, 이욥 총회장이 “하나님 말씀 순종에 목숨 건 사람들”(렘 38:5~6)이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욥 총회장은 설교를 통해, “예레미야는 제사장의 아들이자 선지자로 무너지는 유다 왕국의 마지막을 보며 애통한 선지자였지만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 백성들의 불순종과 왕국의 멸망을 예언하며 다시 하나님께로 돌아오라는 메시지를 선포했다”며 “우리 믿음의 선진들이 일제 강점기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오직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면서 고난과 수난을 겪으며 오늘에 이르렀다는 사실에 교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