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창조(창1:2~2:3)

유수영 목사와 함께하는 창세기 여행 ③

 

창세기 1장 1절부터 2장 3절까지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신 이야기들이 보다 구체적으로 이어집니다. 성경은 이 과정을 7일로 나눠 각각의 날에 무엇을 창조하셨는지를 기록하고 있죠. 하나님이 어느 날 무엇을 창조하셨는지는 우리에게 큰 의미를 주지 않습니다. 다만 이 구절들을 통해 하나님이 어떤 방식으로 세상을 만드셨는지를 살피는 일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창조는 7일로 끝나지만 하나님이 일하시는 방식은 오늘날까지도 동일하게 우리에게 적용됩니다. 
창세기 1장에 제시된 7일 동안의 창조 과정을 읽어보면 매우 규칙적이면서도 질서가 있음을 알게 됩니다. 모든 과정이 하루 단위로 끊어서 진행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완벽한 작품을 만들기 위해 조금씩 단계를 두어 진행하신 것이죠. 만화나 영화에 등장하는 마법사들은 뭔가를 만들 때 단계를 거쳐 만들지 않습니다. 요술봉을 휘두르거나 주문을 외우기만 하면 완성된 작품이 순식간에 등장하니까요. 하나님은 그러실 수 없었을까요? 물론 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이렇게 단계적으로 창조하신 것은 하나님이 그렇게 하길 원하셨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왜 그러셨을까요? 하나님이 그렇게 하기를 원하셨다는 것이 부정할 수 없는 하나의 이유이고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에게 하나님의 질서를 알려주시고자 함이 또 다른 이유입니다.


하나님은 질서의 하나님입니다. 어떤 경우에도 자신의 계획을 세우고 계심은 물론 그 계획을 이루시는 과정에서 사람이 깨닫고 믿음을 가지길 원하시죠. 계단을 하나씩 올라가듯 7일 동안 단계적으로 세상을 창조하신 것, 그리고 그 과정을 창세기의 섬세한 기록으로 우리에게 주신 것은 세상이 완벽하게 하나님의 섭리 아래 있음을 우리에게 알려 주시려는 의도입니다. 첫째 날에 하나님은 혼돈과 공허에 빛을 비춰주셨죠. 빛이 생김으로 말미암아 자연스럽게 밝음과 어둠이 나뉘게 됐고 보이는 곳과 보이지 않는 곳으로 공간이 나누어짐은 물론 밝음과 어둠이 순환하는 시간의 질서가 생기게 됐습니다. 요한은 요한복음 1장 1절에서 태초에 말씀이 있었고 그 말씀으로 모든 것이 지음 받았다고 했는데, 창조 과정이 곧 하나님의 질서를 세우는 과정이었음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구절입니다. 질서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하나는 빈틈없는 설계고 다른 하나는 질서가 유지되게 하는 지속적인 의지입니다. 창세기 1장의 창조 이야기는 이 두 가지에 대한 하나님의 계시를 매우 정확하게 담아내고 있습니다. 그 계시는 섭리라는 이름으로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고요. 


둘째 날에는 물을 하늘(궁창, 창공) 위의 물과 하늘 아래의 물로 나누셨고 셋째 날에는 하늘 아래 물을 한 곳으로 모으셔서 육지와 바다를 구분 지으셨죠. 이날 육지에는 각종 식물이 자라게 됐습니다. 넷째 날이 되면 해와 달, 별을 만드셨고 이들이 움직이도록 하셔서 낮과 밤, 한 달, 일 년 등의 시간 순환이 생겨납니다. 이렇게 동물들이 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후인 다섯째 날에 물과 하늘에서 살아가는 각종 어류와 조류가 창조되고 번성합니다. 여섯째 날에는 이렇게 번성하게 된 식물과 조류, 어류들과 함께 살아가는 동물들이 나타났고 이 모든 것들을 다스릴 존재로 사람이 창조됩니다. 그리고 일곱째 날 하나님이 안식함으로써 창조 과정이 끝나게 되죠. 하루의 창조가 끝날 때마다 나타나는 ‘하나님 보시기에 좋았다’라는 표현은 이 모든 일이 하나님의 계획과 방식에 조금도 어긋남이 없음을 확인해 주시는 것입니다. 자신이 만든 세계를 다시 한 번 검증하고 평가하셨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네요. 


창조 이야기를 읽으며 놀라게 되는 또 한 가지는 이토록 장엄한 스토리를 어떻게 이런 평범한 단어들과 문장만으로 쓸 수 있느냐는 점입니다. 사람을 통해 쓰였기 때문에 당연하게 받아들일 수도 있겠지만 인간의 지성으로 하나님을 이해하게 해 주시려는 배려라는 생각도 듭니다. 창조 이야기는 매우 직관적입니다. 어린아이도 읽고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쉽고 분명하게 쓰였죠. 문제는 이토록 분명하게 쓰인 구절들을 읽으면서 불필요한 잣대로 평가하고 분석하려는 태도입니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법무법인 성현과 업무협약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 목사)는 지난 4월 2일 서울 여의도 총회에서 법무법인 성현(대표 최재웅 변호사)과 법률 지원에 대한 업무 협약을 진행했다. 이번 협약은 기독교한국침례회 총회와 관련된 법률적 조언을 비롯해 총회 업무와 관련한 법령 등 법규의 해석을 법무법인 성현이 지원하며 법률 분쟁에 대한 예방 및 대응방안 등을 공유하기로 하는 내용 등을 담았다. 이욥 총회장은 “침례교회는 총회 규약과 기관 정관 등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여러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특히 법적인 논쟁으로 인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이를 뒷받침 해줄 수 있는 법률 자문 기관이 필요하다. 이번 업무 협약으로 총회가 보다 사역에 집중할 수 있는 토대가 되리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법무법인 성현 최재웅 대표는 “이번 교단 총회와의 업무 협력 체결로 총회에 대한 법률적 지원은 물론 교단에 속해 있는 여러 교회와 성도들의 개인적인 법률 상담도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법무법인 성현은 2016년에 설립했으며 민・형사 사건은 물론 재개발・재건축, 기업인수・합병, 증권, 금융, PF에 관한 사건 등을 수임・처리하며 종합 로펌으로 성장했다. 대표 최재웅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