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우리의 말을 위한 기도

키르케고르의 기도(2)

우리의 말이
오늘 들에 있다가
내일 아궁이에 던져지는 꽃과 같지 않게 하소서.

 

비록 그 꽃의 화려함이
솔로몬의 영광을 능가한다 할지라도,
그 꽃과 같지 않게 하소서.

 

—3367, II A 308 n.d., 1838년 12월 24일, NB DD:182

 

키르케고르는 이 기도를 쓴 것은 1838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이브였습니다. 아마도 그는 크리스마스 이브에 많은 생각을 했던 것 같습니다. 그 중에 마태복음 6장 29~30절을 묵상하며, 이 기도를 일기에 남겼을 것입니다.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솔로몬의 모든 영광으로도 입은 것이 이 꽃 하나만 같지 못하였느니라. 오늘 있다가 내일 아궁이에 던져지는 들풀도 하나님이 이렇게 입히시거든 하물며 너희일까보냐 믿음이 작은 자들아”

 

주일날 교회에 오면 목사님의 설교를 듣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감동적으로 전하는 설교자를 보고 찬사를 보냅니다.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을 이렇게 감동적으로 전할 수 있는지 그 설교자를 칭찬하기도 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들어보라고 권유하기까지 합니다. 문제는 무엇입니까? 정작, 그 말씀을 행하는 데에는 아무 관심이 없을 때, 그리하여 그 설교자의 설교가 찬사로 끝날 때, 우리는 그 말씀을 망각하고 맙니다. 그때, 이 1연의 기도는 무엇보다 강렬합니다. 이 기도는 이 설교자의 설교가 내일 아궁이에 던져지는 꽃과 같지 않게 해달라고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 기도의 2연은 더 충격적입니다. 그 설교자의 설교가 아무리 화려하다 해도, 그 설교자의 감동이 심지어 솔로몬의 영광보다 더욱 크다 해도, 그런 꽃과 같지 않게 해달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설교뿐이겠습니까? 여러분들의 화려한 말은 무엇이 있습니까?


또한, 우리는 이 기도를 한 번 더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키르케고르의 작품을 읽은 수 많은 사람들에게 대해 경각심을 일깨우는 기도일 수도 있습니다. 즉, 그의 작품을 읽고 수많은 찬사를 쏟아내는 사람, 그리하여 그의 작품을 읽고 감동받고 있는 사람에 대한 염려의 기도일 수 있습니다. 그들이 키르케고르의 작품을 읽고 감탄만 하고 끝난다면, 그때 그의 작품은 내일 아궁이에 던지지는 꽃과 같은 신세가 된 것은 아닐까요? 여러분은 이 기도에 감탄만 하고 있는 건 아닌지요?


결국 이 기도는 말의 순간적 화려함을 경계하고, 그것이 참된 영원성과 연결되기를 소망하는 키르케고르의 간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는 철학, 신학, 심지어 아름다운 문학적 표현조차도 진리와 연결되지 않으면 단명하는 꽃과 같은 것이라고 보았으며, 인간의 말과 행위가 진정성 있는 신앙과 연결되기를 기도한 것입니다.

이창우 목사
카리스 아카데미



총회

더보기
115차 정기총회 목사 인준 대상자 교육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 목사)는 지난 6월 30일과 7월 1일 양일간 한국침례신학대학교(총장 피영민) 페트라홀에서 각 지방회가 목사 청원한 124명의 예비 목회자가 참석한 가운데 115차 정기총회 목사인준대상자 교육을 진행했다. 개회예배는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사회로 한국침신대 피영민 총장이 대표로 기도한 뒤, 이욥 총회장이 “베드로가 스카웃 받은 비결”(눅 5:3~11)이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욥 목사는 설교를 통해, “베드로는 부족함이 많은 사람 중 하나였지만 예수님께서 사용하셨던 크신 뜻이 있었기에 귀한 일꾼으로 사용받았다”며 “하나님은 외모나 성격, 학력과는 무관하게 하나님께서 택하신 뜻대로 사용하셨다. 이번 인준 교육을 받는 이들에게도 하나님의 부르심의 귀한 여정을 감당하며 놀라운 인도하심을 경험하기를 원한다”고 전한 뒤, 축도로 개회예배를 마쳤다. 이어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가 이번 교육 일정에 대해 설명하며 “목사 인준자 교육은 우리 교단 목회자로 인증을 받는 첫걸음이기에 침례교회의 사명감을 품으며 1박 2일 동안 다시금 사명을 재점검하고 확인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격려하며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했다. 첫 강의는 해외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