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무엇이 진짜 애국인가?

 

영국에서는 넬슨제독의 기념탑보다 셰익스피어의 고가(古家)를 더 사랑한다. 독일에는 괴테와 뮐러의 동상 그리고 베토벤의 데스마스크가 신격화되었다. 파리의 중심은 루브르 박물관이며, 곳곳에 문화의 유적들이 있다.

 

우리의 정서와 정신을 지배하고 있는 것은 정치적인 애국자나 영웅들이다. 한 줄의 시를 쓰는 것보다 한 뼘의 땅을 지키기 위해 피 흘리는 투쟁을 한다. 한 가락의 노래를 창작하는 것보다 하루를 우환없이 지내야만 하는 것이 이 나라에서 살아가는 우리의 현실이다.

 

시가(詩歌)에서 나타난 은 애인이 아니라, “임금이며 나라. 연가(戀歌)는 천한 기생이나 읊는 것으로 기억되고 있다. 이 몸이 죽고 죽어 일 백번 고쳐 죽어....”의 그 애국 충정이 더 절박했고 귀중한 것으로 믿어왔다. 삶의 대한 충정보다는 죽음의 대한 찬가를 부르며 살아왔다.

 

같은 충신이라 할지라도 생육신보다는 사육신쪽이 더 훌륭한 것으로 여기며 그렇게 믿어왔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산 사람은 모두가 죄인이며, 죽은 자 만이 영웅이라는 편견도 있다.

 

이준 열사가 만약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병사하지 않고 살아 돌아 왔더라면 아무도 그의 이름을 기억하지 않았을 것이다. 한국인의 애국은 혈서의 애국이다.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흘려야 열녀가 되었던 것처럼 언제나 를 흘리는 것이 애국이며 손가락을 깨문 애국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세금을 낸다든지 자기가 맡은 직분을 지킨다든지 조국의 초목을 아낀다든지 하는 것은 별로 애국이라고 생각지 않는다. 플랜카드를 들고 거리에 나오는 것은 애국이지만, 실험실 속에서 플라스크를 흔든다거나, 강의실에서 책을 읽고 공부하는 것은 애국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다.

 

멸사봉공(滅私奉公)으로 과장된 그 애국은 언제나 결사적이란 말을 앞세운다. 조용한 애국이 아니라, 시끄러운 애국이며 창조적인 애국이 아니라, 방어 하는 애국이다. 입에 거품을 품고 눈에 핏발을 세운 애국, 한국에서는 참으로 살아서 애국하기가 어려운 나라다. 유관순의 피 묻은 치마 자락만 찬양하다가, 거문고 타던 황진이의 사랑의 손길은 잊었던 것이다.

 

그것도 수천 수만의 유관순의 얼굴이 아니라, 외로운 언덕에 홀로 우뚝선 청송 같은 모습이다. 성삼문처럼 애국자는 많았어도 그것은 밀림 같이 한데 어우러진 수풀이 아니라 모두가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 같은 것, 백설이 천지를 덮을 때 독야청청하는 고립된 애국자들을 원하는 것이 아니다.

 

이제는 목적이 같은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협동하는 정신이 필요한 때다. 마음을 같이 하고 뜻을 같이 하여 주신 사명을 감당해야 한다.



총회

더보기
115차 정기총회 목사 인준 대상자 교육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 목사)는 지난 6월 30일과 7월 1일 양일간 한국침례신학대학교(총장 피영민) 페트라홀에서 각 지방회가 목사 청원한 124명의 예비 목회자가 참석한 가운데 115차 정기총회 목사인준대상자 교육을 진행했다. 개회예배는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사회로 한국침신대 피영민 총장이 대표로 기도한 뒤, 이욥 총회장이 “베드로가 스카웃 받은 비결”(눅 5:3~11)이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욥 목사는 설교를 통해, “베드로는 부족함이 많은 사람 중 하나였지만 예수님께서 사용하셨던 크신 뜻이 있었기에 귀한 일꾼으로 사용받았다”며 “하나님은 외모나 성격, 학력과는 무관하게 하나님께서 택하신 뜻대로 사용하셨다. 이번 인준 교육을 받는 이들에게도 하나님의 부르심의 귀한 여정을 감당하며 놀라운 인도하심을 경험하기를 원한다”고 전한 뒤, 축도로 개회예배를 마쳤다. 이어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가 이번 교육 일정에 대해 설명하며 “목사 인준자 교육은 우리 교단 목회자로 인증을 받는 첫걸음이기에 침례교회의 사명감을 품으며 1박 2일 동안 다시금 사명을 재점검하고 확인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격려하며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했다. 첫 강의는 해외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