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18년 한국교회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저물어간다.
현재 한국교회의 현실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교회는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지 못한 채 시대의 조류에 휩쓸려가고 있다. 대한민국 곳곳에서 보혁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정부의 정책에 대한 ‘반대를 위한 반대’가 난무하고 여전히 판치는 가짜뉴스로 목회자와 성도들은 갈피를 못 잡고 있다. 인권이란 이름아래 이단·사이비들은 성경의 진리와 말씀을 왜곡한다.


일부 진보를 자처하는 사람들은 동성애를 옹호하고 있다. 이러한 도전은 복음의 정체성을 크게 훼손하는 일이다. 한국교회는 순교의 각오로 복음을 지켜내야 하는 긴박한 상황과 직면해 있다. 교회는 잃어버린 영혼을 주님의 품으로 안겨야 하는 사명을 가지고 있다. 한국교회의 제사장적 역할과 예언자적 목소리가 다시 살아날 때 이 땅에 복음이 온전히 세워질 것이다. 세상에서 비판의 대상이 돼버린 한국교회가 세상과 타협하느냐 아니면 목숨 걸고 복음을 지켜내느냐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바뀔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때다.


100년 만에 가장 더운 여름을 보낸 올해의 한국교회는 목회자의 윤리문제와 송사 등 교회 내부 분쟁과 갈등으로 인해 사회적 지탄을 받았다. 교회를 흔드는 세력들은 종교인 과세시행과 관련한 재정 투명성 문제, 이단·사이비와 안티기독교의 교회 공격, 이슬람 문화와 양성평등 논란, 세습 문제 등을 집중 공격하면서 대형교회와 교회 내 이기주의를 집중 비판해 왔다.


공교회가 세상을 섬기고 이웃을 위해 헌신해야 하는 사명은 살아있는 동안 평생 해야 할 일이다. 일부이긴 하지만 정치 목사들로 인해 일부 개인의 명예와 부를 쌓는 것을 비친 모습은 단언컨대 결코 교회전부의 모습은 아니다. 그런 만큼 목회자의 행위와 사역이 이생의 자랑이 될 수 없기에 이 모든 것이 주님의 은혜로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한시라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성경은 진리와 진실은 반드시 세상에 드러난다고 했다. 교회내의 이러한 갈등과 분쟁이 교회 외적인 상황이 아니라 우리 안에서도 공공연하게 일어나고 있다. 아무튼 교단 결정과 정기총회의 결의가 정치적 논리로 해석 되어서는 곤란하다. 또 교회법 보다는 누가 옳은지 모든 문제를 세상 법정으로 끌고 가 해결하려는 노력도 보기에 볼썽사납다. 따라서 교회와 목회자는 성경대로 먼저 자복하고 철저하게 회개하는 것이 맞다.


현재로선 교단 중재와 해결은 총회 대의원들의 몫이다. 대의원들은 3000 여개 침례교회를 대표하는 대표자이다. 여기에 모든 권한과 권력은 우리 침례교회가 부여한 것이기에 교단 화합과 협력을 위해 사용해야 할 것이다. 안타깝게도 우리교단은 지금 상대에 대한 이해와 대화의 부족으로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더 늦기 전에 서로가 대화를 통해 현재 불필요한 모든 갈등들을 해결하기를 바란다.


아무쪼록, 우리는 복음의 한 길로 힘차게 달려온 모든 교회와 목회자에게 크신 하나님의 은혜가 함께 하기를 바란다. 또한 복음 전도자로서 쉼 없이 달려왔고, 건강한 영과 육이 있으니 올 해도 감사로 마무리하기를 기대한다. 2018년의 아프고 괴로운 기억들은 우리가 좀 더 성숙한 교단이 되고자 하는 하나의 발판이라 여겼으면 한다. 새로운 한 해에는 희망을 품는 교단, 미래를 준비하는 교단, 세상의 도전에 과감하게 응전하는 교단이 되기를 소망한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