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호국보훈의 달

한 해를 시작한 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6월이다. 6월은 우리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6월 6일은 현충일이고, 한국전쟁도 6월 25일에 발발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6월을 호국 보훈의 달이라 부른다. 호국보훈(護國報勳)이라 함은 나라를 지키고 나라를 위해 힘쓴 사람들의 공훈에 보답한다는 의미다. 그런 만큼 해마다 6월이 오면 전 국민이 나라를 지키기 위해 피 흘렸던 순국선열들을 기리기 위한 마음가짐을 품고 일치단결하게 된다.


조지 버나드 쇼는 “역사가 되풀이되고 예상치 못한 일이 반복해서 일어난다면 인간은 얼마나 경험에서 배울 줄 모르는 존재인가”라고 말한 바 있다. 때문에 우리는 역사를 반면교사 삼고 과거를 교훈 삼아 새로운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그렇다면 6월의 역사에서 우리가 얻어야 할 교훈은 무엇일까?


과거 한반도는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으로 인해 혼돈에 휩싸였다. 이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군인 26만 명, 민간인 100여만 명(추정)이 피해를 입었고 공업기반의 절반이 무너졌다. 이는 흡사 예레미야애가 4장에 펼쳐진 광경이 한반도 전역에 펼쳐진 것이라 할 수 있다. 휴전 후 미소 주도의 냉전 체제가 가속화됐고 분단 고착화와 남북 체제 대결 심화와 수많은 이산가족이 발생했다.


특히 우리 침례교단의 경우 교단 역사의 시작인 원산을 북한에 빼앗겨버린 통한의 사건을 경험하게 됐고, 타교단의 경우에도 동방의 예루살렘인 평양을 떠나야만 했다. 그만큼 전쟁은 우리 민족은 물론이고 한국교회에도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크나큰 상처를 입혔다. 이에 우리는 호국보훈의 달인 6월에 순국선열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다시 한 번 되새기는 동시에 전쟁의 참화가 다시는 이 땅 가운데 일어나지 않도록 주님께 간구해야 할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은 북한의 핵 위협 등으로 미래가 불투명하다. 한반도 주변국중 일본이 전쟁가능 국가로의 회귀를 꿈꾸고 있으며 중국 또한 미국과의 경제전쟁으로 한반도 상황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대한민국 안에서는 북한과 지금이라도 당장 전쟁을 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는 보수집단과 ‘민족자주’란 구호를 내세워 주한미군철수 등을 외치는 급진 세력과의 남남 갈등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국민적 반대에도 불구하고 ‘양심적 병역거부’ 허용의 수순으로 ‘대체복무’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젊은 세대의 경우 “꼭 통일을 해야 하느냐”는 분위기가 팽배해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 미국 주도의 세계사 재편으로 인해 유럽과 아시아 등이 큰 갈등상태에 있고 한반도는 다시 열강의 힘겨루기 장이 되고 있다.


한국교회가 국가 내부적인 갈등 치유는 물론 한반도를 둘러싼 세계열강들을 화해시키는 중재자 역할을 잘 행하기를 기대한다. 한반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미국에서 가장 큰 교단임과 동시에 세계적으로도 개신교의 주류 교파로 손꼽히고 있는 침례교야말로 각국의 갈등을 지혜롭게 풀어 낼 수 있는 화해 중재자 역할을 훌륭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제 우리는 성경말씀을 토대로 인간적인 오만이 아닌 주님께서 허락하신 지혜로 화합을 이뤄내도록 기도해야 할 때다. 특별히 우리는 호국보훈의 달인 6월에 북한에 억류돼 있는 침례교단 선교사들의 조속한 석방과 함께 북녘 땅에 복음이 들어갈 수 있도록 전국의 침례교회가 합심해 기도하기를 바란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