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교단의 건강한 미래

지난 1월 13~14일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에서 총회가 주관하는 교단발전협의회가 열렸다. 교단 총회와 함께 주요 기관에 대한 보고, 협조사항, 협력 방안 등이 논의된 이번 협의회는 지난해 총회에서 진행한 기관보고에서 미진했던 부분을 추가하고 실제적이며 현실적인 교단의 상생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였다.


무엇보다 윤재철 총회장이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협력 사역에 기관들이 동참하며 교단발전을 위해 모두가 한 목소리를 내고 한 뜻을 모으자는 의미였다. 그리고 기관의 현실과 상황을 전국교회를 대표하는 지방회 회장단들이 공유하며 총회와 기관, 지방회(개교회) 등의 3각 협력·협동 체제를 이뤄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지난 기관보고에서 제109차 총회는 기관들이 보다 현실적이며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무조건적인 재정 지원만을 요구하기보다 재정 지원을 위한 설득력 있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강조했으며 무엇보다 기관의 고유 사역들이 분별력 있게 정리되고 기관 이사회 정상화, 기관 운영의 투명성과 효율성 등을 지적했다.


이번 총회 허브·교단발전협의회는 교단을 대표하는 기관과 지방회, 개교회가 보다 유기적인 관계성을 유지하고 협력·협동하는 총회가 되기 위한 밑거름을 그린 시간이었다. 10개 기관과 총회가 2020년에 계획한 사역들이 함께 동참하는 사역, 함께 기도하며 헌신하는 사역을 마련하는 길이 이번 협의회에서 보다 활발하게 논의됐다.


윤재철 총회장이 총회가 함께 하고 협력하는 방향성을 제시하면서 총회가 일방적으로 교단 사업을 전개하고 주도적인 입장에 서는 것이 아니라 기관의 상황과 형편, 협조를 요청한 것이다. 보다 건설적이며 발전적인 미래를 위해 교단이 선결해야 할 부분은 바로 협력이다.


그동안 우리 교단 내에 협력보다는 긴장과 갈등의 연속이었다. 총회의 결의 보다 총회의 결정사항에 대해 기관은 총회의 결의에 반하며 기관 자체적으로 대응했다. 이런 일들이 지속적으로 이뤄지면서 결국 기관과 총회는 협력의 장보다는 서로의 이해관계가 먼저였다.


이제라도 교단이 바로 설 수 있도록 총회와 기관이 유기적인 협력관계로 교단 발전을 위해 서로의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목회자의 건강하고 활기찬 목회를 위해, 예비 목회자들을 위해 교회를 개척하고 교회 성장시키기 위해, 고령화와 은퇴 목회자들의 증가로 인해 교단 미래 복지를 위해, 다음세대들이 침례교 정체성으로 미래 침례교회 지도자로 세워지기 위해, 수많은 선교지에서 생명을 걸고 헌신하는 선교사들과 선교지를 위해, 이 나라와 민족이 더욱 복음으로 온전히 세워지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


이를 위해 기관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기득권을 과감히 내려놓기를 바란다. 보다 투명하고 공정한 기관 운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보다 유기적으로 총회와 기관이 협력해야 한다. 기관의 사업과 총회 사업이 보다 협력 관계로 이뤄질 수 있도록 조율해 나가야 할 때이다. 특정인의 기득권이 우선시 돼선 안될 것이다.


총회는 총회답게, 기관은 기관답게 맡은 사명을 바로 감당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교단의 건강한 미래를 위해 총회와 기관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혜택과 특성들을 잘 활용해 교단에 유익이 될 수 있는 분야에 적극 협력하고 뜻을 모아야 한다. 이번 교단발전협의회 이후 교단의 새로운 미래 역사가 쓰여지는 현장으로 모두 함께 나아가기를 소망해 본다.



총회

더보기
이욥 총회장 직무정지 가처분 2심도 기각
김OO 목사, 차OO 목사, 김OO 목사 3인이 이욥 총회장을 상대로 제기한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이 항고심에서도 기각 판정을 받았다. 서울고등법원 제25-1 민사부는 지난 3월 25일 사건번호 2025라2147 직무집행정지가처분에 대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은 보전할 권리와 그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소명이 부족해 이유 없다. 그뿐만 아니라 가처분 채무자의 적격을 그르쳐 부적법하다고 보아야 한다. 이와 결론을 같이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을 기각한 1심 결정은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채권자의 항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모두 기각하며, 항고비용은 패소한 채권자들이 부담하기로 한다”고 판결했다. 채권자 3인은 법원에 1심 결정을 취소하고 총회장 선출결의 무효확인 사건의 본안판결 확정시까지 이욥 총회장의 직무를 정지시켜달라고 재차 요구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원은 “이 법원도 채권자의 가처분명령신청은 그 피보전권리에 대한 소명이 부족하고, 보전의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도 없다고 판단한다”며 판결 이유를 설명했다. 채권자들이 항고 이유로 들고 있는 주장들이 1심에서 내세운 주장과 실질적으로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법원은 “대표자의 선임 결의 효력에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