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뿌리깊은 나무는 쓰러지지 않는다(2)

 

결과에 대해서 내가 책임을 질수 있는 것은 철저하게 지고 하나님께 원망과 불만을 토하지 말자. 하나님의 사람들은 이 시대의 뛰어난 주인공이 되라. 혼인잔치 집에 손님이 되지 말라. 구경꾼도 되지 말라. 뒷일이나 처리하는 자도 되지 말라. 다만 그 집에 주인공이 돼야 한다. (31:15)

 

내 시대가 주의 손에 있음을 알자. 바로 사는 것이 중요하다. 참되고 진실하게 살아야 한다. 거짓되고 허망하게 살지 말아야 한다. 아름답게 살아야 한다. 추잡한 인생을 살지 말아야 한다. 알차고 충실하게 살아야 한다. 텅빈 인생, 공허한 인생을 살이 말아야 한다. 보람 있고, 의미 있는 인생, 가치 있는 인생을 살아야 한다.

 

바른 인생을 살기 위해서는 버려야할 것들이 있다. 무기력한 사람은 생의 의욕이 없다. 적극적인 정신과 능동적 자세가 부족하다. 썩은 물고기가 탁류에 떠내려가듯이 인생을 무의도식 속에서 힘없이 살아간다. 그리스도인들은 맑은 눈과 기쁘고 환한 얼굴로 정열과 용기를 가지고 살아야 한다. 또한 무관심한 사람은 삶의 목표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무사안일 속에서 하루하루를 무의미하게 살 수는 없는 것이다. 자신의 대하여 열의가 없고 성의가 없다면, 불성실한 태도로 사는 것이다.

 

자각이 부족하고 노력이 부족하여 살려는 의지를 가지고 사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니까 사는 소극적이고 피동적 태도로 살게 될 것이다. 이런 사람은 패배자의 인생이다. 그리고 무책임한 사람은 방관자처럼 인생을 살고 있다. 내 힘과 내 노력으로 내 운명을 개척하고 나의 생을 창조하겠다는 독립심과 자신감이 없다. 비겁하고 나약한 사람이 되고 만다.

 

자신에 대한 주체의식이 없다. 자신의 미래와 운명을 주안에서 건설하겠다는 씩씩한 태도가 없다. 즉 책임감이 없다는 것이다. 자기 인생의 대하여 씩씩한 기력과 깊은 관심과 강한 책임감을 가지는 사람만이 보람 있는 인생을 창조할 수 있고 축복의 미래를 건설할 수 있다. 또한 반성과 계획의 생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반성은 뒤를 돌아보는 생활이요. 계획은 앞을 바라보는 생활태도다. 하나님의 사람들은 항상 자기 자신을 반성하며 살아야 한다.

 

나는 옳은 길을 걷고 있는 사람인가? 나는 스스로를 속이고 남을 속이지 않았는가? 나는 나의 책임과 직분을 다하고 있는가? 나는 남을 해치고 상처를 주지 않았는가? 나는 성실한 태도로 맡겨진 일의 최선을 다하고 있는가? 그리스도인은 자기 스스로를 준엄하게 꾸짖고 반설하고 비판해야만 한다. 양심의 거울과 전지하신 하나님 앞에 부끄러움 없는 인생이 되기 위해 깊은 반성이 있어야 한다.

 

반성 없이는 발전과 성장이 없을 것이다. 반성의 생활에서 스스로의 잘못과 부족을 깨닫고 그것을 고치겠다는 결심과 노력을 해야 한다. 진정한 반성이 자각을 낳고 새 생활을 출생시킨다. 그리스도인들은 날마다 새로워져야 한다. 날마다 성장해야 한다.

 

날마다 도전해야 한다. 그리고 계획적인 사람이 돼야 한다. 계획을 한다는 것이 미래를 위하여 준비하는 것이다. 자기가 가고자 하는 길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다. 목표를 세우는 것이고 이상을 품는 것이다.

 

계획은 생활의 방향을 세우는 것이다. 내 인생의 시간표를 작성하고, 내 인생의 계획표를 세우는 것이다. 행복이 설계도를 그리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이 계획을 세우더라도 이것을 이루게 하시는 분은 여호와시다. 예수님이 없이는 구원도 미래도 없다. 하나님 없이는 궁극적 목표도 결과도 없다. 예수님과 성령과 나와 연합이 있을 때 가능성이 있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