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문제를 다시 보기-1

심연희 사모
RTP지구촌교회(미주)

요즘은 감사관이라는 위치에서 상담기관이나 장애우 복지기관에 감사를 나가다 보니 늘 문제점을 찾아내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담기관이나 복지기관들 중에 어느 한 곳도 나쁜 의도로 시작된 곳은 없다. 나름대로 마음과 몸이 아픈 사람들을 돕고 섬기고자 하는 귀한 마음으로 시작된 기관들이다. 그곳에서 일하는 상담자나 사회복지사들 또한 더 없이 좋은 사람들이다. 그러나 좋은 마음으로 시작이 됐다고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좋은 의도로 설립이 된 기관이라고 해도 중간중간 스스로를 돌아보고 점검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서류상으로나 행정적으로 정부에서 요구하는 기준치에 못 미칠 때는 정부에서 지불했던 돈을 다시 토해내야 할 때도 있고 여러 과정을 거쳐 시스템을 뜯어고쳐야 할 때도 있다. 감사의 과정을 좋아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문제가 지적될 때 기분 좋아하는 사람도 없다. 그런데 싫으나 좋으나 찾아오는 정기적 감사와 문제 해결을 보는 관점은 그 상담기관이 어떻게 진화해 나가느냐에 큰 차이를 가져온다.


문제가 지적될 때 감정적으로 받아들여서 펄펄 뛰는 책임자들도 있다. 감사관이 나타나면 적대감을 스스럼없이 드러내고 가능한 한 어떤 요청에도 협조하지 않으려 한다. 심지어 화장실을 못 쓰게 하는 사람도 있다. 이쯤 되면 드러난 문제를 고쳐가는 과정에서 엄청난 감정적 에너지를 소모한다.


이런 책임자들은 한 두 해 후에 다시 감사의 계절이 돌아오면 이미 화가 나 있다. 전화나 이메일에 답도 하지 않는다. 싸움을 준비한다. 감사관은 물리쳐야 할 적이 된다. 문제를 해답 없는 골칫거리로 본다.
비슷한 문제가 반복될 가능성도 크다. 반면에 어떤 책임자들은 문제가 발견될 때 돕는 자로서의 자신을 다시 돌아보는 과정으로 삼는다. 기관의 행정과 실무를 다시 건강하고 안전하게 조정하는 기회로 본다.


감사관의 조언에 열려있기 때문에 수정도 효과적으로 이뤄진다. 감사관은 이 과정에서 자신을 도와주는 사람이 된다. 문제를 해결의 기회로 본다. 이런 경우 문제점은 점점 줄어든다. 이처럼 문제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는 해결의 속도와 효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삶에서 문제를 보는 눈은 문제 해결에 큰 차이를 가져온다. 집안에서 문제아로 지목된 가족이 있는 경우가 흔하다. 남편이나 아내 중 한 사람이 문젯거리든지, 아이들 중에 하나가 문제아로 뽑힌다.


때로는 그 아이의 문제만 해결되면 고민이 없을 것 같다. 그 한 사람만 정신 차리면 만사가 편안할 것 같다. 그 한 사람을 골칫거리로 볼 때, 그 문젯거리는 몇 해고 반복해서 계속된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한 사람이 조직에서 사라지면 다른 사람이 그 문제를 대신한다.



총회

더보기
115차 정기총회 목사 인준 대상자 교육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 목사)는 지난 6월 30일과 7월 1일 양일간 한국침례신학대학교(총장 피영민) 페트라홀에서 각 지방회가 목사 청원한 124명의 예비 목회자가 참석한 가운데 115차 정기총회 목사인준대상자 교육을 진행했다. 개회예배는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사회로 한국침신대 피영민 총장이 대표로 기도한 뒤, 이욥 총회장이 “베드로가 스카웃 받은 비결”(눅 5:3~11)이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욥 목사는 설교를 통해, “베드로는 부족함이 많은 사람 중 하나였지만 예수님께서 사용하셨던 크신 뜻이 있었기에 귀한 일꾼으로 사용받았다”며 “하나님은 외모나 성격, 학력과는 무관하게 하나님께서 택하신 뜻대로 사용하셨다. 이번 인준 교육을 받는 이들에게도 하나님의 부르심의 귀한 여정을 감당하며 놀라운 인도하심을 경험하기를 원한다”고 전한 뒤, 축도로 개회예배를 마쳤다. 이어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가 이번 교육 일정에 대해 설명하며 “목사 인준자 교육은 우리 교단 목회자로 인증을 받는 첫걸음이기에 침례교회의 사명감을 품으며 1박 2일 동안 다시금 사명을 재점검하고 확인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격려하며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했다. 첫 강의는 해외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