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 전염병이 주는 신학적 의미-1

기획연재 코로나 팬데믹 시대의 목회·신학의 조명-7

 

코로나19의 상황에서 교회는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하는가? 교회가 역사적으로 급성전염병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처하여 왔는지 살펴보는 것은 해답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초기 교회의 전염병에 대한 해석과 대처

 

로마제국이 통치하던 첫 3세기 동안 두 번의 국제적 전염병이 있었다. 첫 번째는 165년경부터 189년까지 창궐한 “안토니우스 역병”으로 로마제국 전체 인구의 1/3 혹은 1/4를 죽게 만든 전염병이었다. 고대 도시는 인구 밀도가 매우 높아 질병이 기승을 부릴 수 있는 환경이었다. 바울이 로마에서 사역하던 1세기 중반 로마시의 인구는 약 45만 명 정도이며, 1,220평 당 302명이 살았을 것으로 추산되는데, 인도의 캘커타가 122명, 뉴욕 맨해튼이 100 명인 것과 비교해 보면 엄청나게 붐볐음을 알 수 있다.

 

높은 인구 밀도는 심각한 위생 문제와 전염병의 확산을 야기했다. 키프리아누스 역병’으로 불린 두 번째 전염병은 249년에서 262년까지 지속됐는데,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도시민의 2/3를 죽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교회는 급성전염병에 잘 대처해 로마제국의 지배적인 종교로 부상하게 됐다. 당시 알렉산드리아 교회의 담임목사 디오니시우스는 그리스도인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아픈 자를 도맡아 그리 스도 안에서 모든 필요를 공급하고 섬겼습니다. 그리고 병자들과 함께 평안과 기쁨 속에 생을 마감했습니다.” 라고 증언했다.

 

즉 기독교인들은 영원한 생명의 소망에 기초해 환자들을 돌보았고, 그런 과정에서 본인이 감염되어 죽게 되면 기쁨으로 죽음을 받아 들였다. 디오니시우스는 “이교도는 정반대로 행동했습니다. 그들은 질병이 처음 발생하자 아픈 자들을 내쫓았고 가장 가까운 자부터 도망쳤으며 병자가 죽기도 전에 거리에 내다버리고 매장하지 않은 시신을 흙처럼 취급했습니다. 그들은 이렇게 함으로써 치명적인 질병의 확산과 전염을 피하고자 했으나 이내 아무리 몸부림쳐도 도망치기 어려움을 깨달았습니다.”라고 말했다.

 

반면에 기독교 신자들은 가난한 사람들이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하며 죽을 수 있도록 장례를 치러줬다. 3세기 신학자 락탄티우스는 “우리는 결코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들이 야수들에게 던져지거나, 새들에게 먹히는 것을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 이들은 원래 나왔던 땅으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교회는 역병으로 죽은 교우의 장례를 정성껏 치렀고, 이런 모습에 신선한 충격을 받았던 이교도들은 교회에 마음을 열기 시작했다.

 

급성전염병의 대처에 있어 기독교와 이교가 현격한 차이를 보인 것은 상이한 교리에 기인한다. 이교에서 신과 인간의 관계는 이해득실에 근거한 거래 관계였지, 인격적인 교제라는 개념이 없었다. 제사를 지내면 신은 나에게 무엇을 해줄 수 있는가가 핵심 관심사였다. 반면에 기독교는 하나님이 인간을 사랑하셨기, 인간들도 서로 사랑해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다고 믿었다. 하나님의 사랑을 본받아 서로 사랑해야 한다는 기독교 믿음은 이교도들에게는 혁명적인 사상이었다. 신앙관의 차이가 역병의 상황에서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이게 만든 것이다.

 

종교사회학자 로드니 스타크는 급성전염병 기간에 희생적 섬김으로 사망률을 현저히 낮춘 기독교와 환자를 방치해 높은 사망률을 기록한 이교의 인구변화 추이를 추정했다. 역병 발병 직전인 160년에 인구 1만 명의 도시를 가정해보면, 당시 로마제국의 기독교 인구 비율이 0.4%였으므로 40명의 기독교인과 9,960명의 이교도가 있게 되며, 비율로는 1:249가 된다. 사망률 30%의 역병이 돌았다고 가정할 때, 성실한 간호만으로 사망률을 3분의 2로 낮출 수 있다고 보면, 170년에 36명의 기독교인과 6,972명의 이교도가 존재할 것이며, 기독교-이교 인구비율은 1:197이 된다.

 

당시 이교도의 기독교 평균 개종률을 합산해 계산하면, 100년이 지난 260년에는 기독교-이교 비율이 1:8로 바뀌게 된다. 기독교가 역병을 잘 대처해 로마제국의 지배적 종교가 됐다는 스타크의 가설은 초기 기독교 주교 키프리아누스와 디오니시우스, 그리도 당시 기독교 역사가 유세비우스의 한결같은 증언 즉, 역병의 시기에 교회는 오히려 확장됐다는 증언에 비추어 볼 때, 상당한 개연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초기 교회는 급성전염병에 대해 두 가지로 대처했다. 첫째,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는 데 중점을 뒀다. 하나님의 아들이 대신 죽어 구원받게 되었다는 감격은 죽어가는 환자를 자발적으로 돌보게 했다. 둘째, 천국 소망에 대한 확고한 신앙으로 죽음의 공포를 이겨냈다.

 

유한한 육체의 생명 너머 하나님 나라에서의 영원한 삶을 믿고, 그 믿음으로 죽음도 불사하며 역병으로 죽어가는 사람들을 살리는 일에 뛰어들었다. 역병의 시기 초기 교회는 확고한 믿음과 사랑의 실천으로 로마제국을 기독교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김용국 교수 / 한국침신대 신학과(역사신학)



총회

더보기
“예수 다시 사셨습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나님을 찬송하리로다 그의 많으신 긍휼대로 예수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게 하심으로 말미암아 우리를 거듭나게 하사 산 소망이 있게 하시며” (벧전 1:3) 2024년 부활절을 맞이하여 3500침례교회와 목회 동역자. 성도들 위에 그리스도의 부활의 생명과 기쁨과 회복의 은총이 충만하시기를 축원합니다. 예수님의 부활은 우리가 죄인으로 영원한 심판을 받을 수밖에 없는 존재에서 예수님의 죽으심과 다시 살아나심으로 영원한 생명으로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역사적인 순간입니다. 이 부활의 기쁨과 감격이 없다면 우리는 아무것도 아닌 존재입니다. 이 땅의 창조주이신 하나님께서 우리의 삶에 직접 주관하시고 인도하시며 이제는 구원의 완성으로 진정한 하나님 나라의 백성을 몸소 가르치시고 보여주시기 위해 그의 아들을 보내주신 사실을 믿고 기억해야 합니다. 그 분은 이 땅에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셨고 가르치셨으며 가난한 자, 병든 자, 소외된 자, 고난 받는 자를 치유하시고 회복시키셨습니다. 그 회복을 통해 우리는 이 땅에 믿음의 공동체를 세웠습니다. 그 공동체의 핵심은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과 부활의 놀라운 소식입니다. 이 소식이 복음의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