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팬데믹 종식을 꿈꾸며

곧 끝날 것 같던 코로나 팬데믹이 2023년 새해에도 이어지고 있다. 종식되리라는 희망을 품으며 2022년 ‘위드 코로나’를 보낸 한국교회는 새로운 2023년 회복과 새로운 소망을 품으며 1월 1일 주일예배를 신년예배로 드리며 새해 첫날을 열었다. 하지만 한국사회의 현실은 코로나 팬데믹 이외에도 기후와 재정위기 등 안팎으로 어려움이 산적해 있다.


매일 6만여 명의 코로나 신규 확진자들이 계속 나오고 있고, 주변국가의 코로나 상황도 심상치 않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실내 마스크 착용을 해제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이 또한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의 끝자락을 기대하며 교회는 준비하고 있었는데 다시 집단감염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모처럼 활력을 되찾아 가고 있는 한국교회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코로나 이전의 상황으로 많은 교회들이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목회데이터연구소가 조사한 거리두기 전면 해제 이후 주일 현장 예배 참석율에 대한 조사에서 장년의 경우는 73%가 교회학교는 43%밖에 현장으로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2022년 6월 14일 발표). 물론 현장예배가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도 높지만 우리에게 현장 예배의 회복은 아직도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현재 대다수 한국교회는 대면 예배와 온라인 예배를 병행하며 예배 회복에 집중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엄중한 시기에 코로나가 사실상 재 확산되고 있다. 그런만큼 조심스럽게 교회발 거리두기가 필요하지 않느냐는 목소리도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교회가 코로나 확산의 진원지가 되지 않도록 대면 모임시 감염 확산을 방지하고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세워서 이를 꼼꼼하게 지켜나가는 것은 당연하고 필요한 일일 것이다. 여기에 교회가 끊임없이 방역 체계를 확립하고 교회 내 코로나 확진자에 대해 관리하고 이들의 고통과 아픔을 위로하고 격려해 주기를 바란다.


교단적 행사도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다시 활발해 지고 있다. 총회를 비롯해 기관의 여러 행사들이 비대면으로 열리고 있고 적잖은 목회자와 성도들이 모임을 지속적으로 준비하며 열고 있다. 올해는 특별히 목회자부부영적성장대회를 비롯해 교단을 대표하는 행사들이 준비되고 있는 상황이기에 총회 차원에서의 코로나 방역 대책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관계당국과 원활하게 소통하고 협조를 받을 수 있는 체계를 세워야 할 것이다. 전염병의 두려움과 공포는 인간의 역사와 함께 지속돼 왔다. 이 역사 속에서 교회는 솔선수범에 병자들을 돌보고 아픈 이들을 위로하며 네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는 주님의 말씀을 실천해 왔다. 아직도 코로나 팬데믹은 진행 중이다. 새로운 변이와 새로운 형태의 바이러스가 우리의 삶을 침노하고 있지만 우리의 교회는 새 희망과 소망을 부르짖으며 코로나를 극복하고 교회의 회복을 위해 간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코로나로 인해 실의와 고통에 빠져 있는 이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며 이웃을 섬기고 나누는 일에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초대교회는 나눔을 실천한 공동체였다. 자신들이 쓸 것을 공동체와 함께 사용하고 또 아낌없이 나누고 베풀었다. 오늘도 수많은 교회들이 나눔과 사랑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아무튼 2023년은 부디 코로나 팬데믹이 종식될 수 있도록 합심으로 기도하며 준비하기를 기대해본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