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신약교회를 근거로 종교개혁사를 다시 본다!”

종교개혁의 또 다른 이면을 들여다 보는 소중한 기회

‘신약교회 사관에 의한 종교개혁사’
지은이 정수영┃쿰란출판사┃25,000원


지금까지 학자들은 옛날 혁명적인 종교개혁들에 대해 분분한 의견을 내놓았으며 현재까지 학자들사이에서 논의되고 있는 뜨거운 감자다. 허나 많은 평신도들은 종교개혁에 대해 성서에 근거한 완벽한 혁명이라고 생각한다.


분명 종교개혁으로 인해 개신교가 태어나게 됐고 그로인해 현재 우리가 예수님로부터의 구원을 믿으며 비뚫어진 성서 해석을 바로 잡을 수 있었기에 잘못된 부분만을 지적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허나 불완전한 사람이 하는 모든 일이 그러하듯 우리가 하는 일들은 혹은 그 이야기가 내려오는 과정에서는 많은 오해와 과오가 생길수가 있다.


이번에 소개 할 ‘신약교회 사관에 의한 종교개혁사’는 이 책을 쓴 정수영 목사의 뚜렷한 신약교회 사관이 그대로 드러나있어 지금까지 화제가 됐던 종교개혁의 좋은점이 아닌 종교개혁의 또 다른 이면을 들여다 보며 신약교회 사관에 근거해 어떤 때는 신랄한 비판을 어떤 때는 감추어진 사람에 대한 소개와 찬사를 어떤 때는 개혁을 이루어낸 개혁자들의 희생과 공적을 사실 그대로 전한다.


“필자는 기존의 종교개혁자들의 역사를 그대로 인정한다. 동시에 저들의 과오와 잘못도 함께 서술하였다. 기존 종교개혁자들은 종교개혁을 완성하기 위해서 세속정치와 타협을 하였다. 루터는 선제후 프리드리히의 도움으로 생명이 유지됐고 막강한 정치가 필립헤세의 도움으로 개혁을 완성할 수 있었다. 칼빈은 제네바 의회를 통해 교회가 해야 할 치리권을 행사하게 함으로써 공포속에서 개혁을 완성시켜 나갔다”


성경에 근거한 가장 성경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로 접근하는 것이다. 그 사실이 불편한 진실일지라도 우리의 안목과 생각 폭을 깊고 넓게 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신약교회 사관에 의한 종교개혁사’에서는 역사속에서 종교개혁자들에 탄압받고 500여년동안 왜곡 돼온 재침례교도들의 종교개혁에 대해 다룬다.

 

이런 재침례교도들에 대해 정수영 목사는 이렇게 말했다.
“과거 종교개혁 시기에 다 똑같이 종교개혁을 전개한 무리들이 있다. 그들은 유럽 여러 곳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된 재침례교도들이다. 이들은 정치와 타협하지 않고 순수한 신앙운동만 전개하였다. 이들은 정치와 타협하지 않고 순수한 신앙운동만 전개 하였다.

 

그렇게 하다보니까 정치가들에게 탄압하고 희생되며 종교개혁운동의 성공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런데 안타까운 것은 신앙으로 탄압받은 재침례교도들에게 격려는커녕 정치세력과 야합한 종교개혁자들이 그들을 탄압하고 무시했다... 재침례교도들이 완전하지 못했으나 성서적 기준에 볼 때 훨씬 성서적이고 순수했다”


정수영 목사는 이들 또한 종교개혁 역사의 주인공으로 기술돼야 한다고 믿고 이들의 불명예가 회복되길 바란다.
우리는 보통 이러한 역사책 혹은 신학책에 대해 많은 거부감을 가지고 어려운 것이라 미리부터 포기해버리고 만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지 않은 사실 혹은 역사속에서 왜곡 된 사람들의 이야기는 우리가 공부하지 않으면 결코 알 수 없는 이야기다.


이 책을 통해 교회안에서 말씀공부를 가르치는 선생님이나 목회자, 사역자, 신학생들에게 그들의 지식과 시야를 넓힐 수 있는 귀한 기회가 평신도들에게는 깊이있는 신앙을 위한 소중한 기회가 제공되길 소망한다.



총회

더보기
이욥 총회장 직무정지 가처분 2심도 기각
김OO 목사, 차OO 목사, 김OO 목사 3인이 이욥 총회장을 상대로 제기한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이 항고심에서도 기각 판정을 받았다. 서울고등법원 제25-1 민사부는 지난 3월 25일 사건번호 2025라2147 직무집행정지가처분에 대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은 보전할 권리와 그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소명이 부족해 이유 없다. 그뿐만 아니라 가처분 채무자의 적격을 그르쳐 부적법하다고 보아야 한다. 이와 결론을 같이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을 기각한 1심 결정은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채권자의 항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모두 기각하며, 항고비용은 패소한 채권자들이 부담하기로 한다”고 판결했다. 채권자 3인은 법원에 1심 결정을 취소하고 총회장 선출결의 무효확인 사건의 본안판결 확정시까지 이욥 총회장의 직무를 정지시켜달라고 재차 요구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원은 “이 법원도 채권자의 가처분명령신청은 그 피보전권리에 대한 소명이 부족하고, 보전의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도 없다고 판단한다”며 판결 이유를 설명했다. 채권자들이 항고 이유로 들고 있는 주장들이 1심에서 내세운 주장과 실질적으로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법원은 “대표자의 선임 결의 효력에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