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리우올림픽을 보며

리우올림픽이 막을 내렸다. 리우올림픽이 지카 바이러스와 치안 문제 등으로 여러 문제를 드러내며 진행되는 동안 크고 작은 문제를 드러내기도 했다. 그렇지만 지난 822일 오전(한국시간) 브라질 특유의 카니발 형태로 개막식과 마찬가지로 폐막식을 무난하게 치렀다는 전 세계인들의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리우올림픽은 개회식에서 강조됐던 친환경과 환경 보호에 대한 메시지가 폐막식에서도 담기면서도 축제의 장으로 열린 하계올림픽으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2년 뒤인 2018년에는 강원도 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리며 2020년 하계올림픽은 일본 도쿄에서 치러진다. 우리나라 강원도 평창에서 다시 만날 전 세계인들의 축제 또한 친환경 동계올림픽으로 치러지기를 기대한다. 31회 리우올림픽에 선수로 출전한 한국 대표팀을 위하여 모든 한국인들은 폭염 속에서도 선수들의 선전을 응원하며 웃기도하고 울기도 했다. 대한민국을 주야로 외친 국민들은 올림픽 종합순위 8위라는 성적에 희비하기보다는 리우의 폐막식처럼 올림픽은 축제이고 축제는 즐기는 것이라는 인식에 크게 동감해 성숙된 응원 문화를 이뤄냈다.


골프여제 박인비 선수가 몸에 남은 에너지가 하나도 없는 기분이라는 말처럼 모든 에너지를 쏟아 부은 우리의 국가대표이기에 아낌없는 박수를 보냈다. 이번 올림픽은 칭찬을 받을 만한 국가대표가 적지 않다.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며 양궁대표 팀의 전 종목 석권을 비롯해 불가능한 점수 차이를 극복하고 할 수 있다는 신조어를 만들며 우승한 펜싱의 박상영 선수나 자신의 주 종목에서의 패배 충격을 딛고 금메달을 따낸 사격 진종오 선수가 그랬다. 아쉽게 패해 금메달을 놓치고도 거꾸로 상대편을 칭찬한 이대훈(태권도) 선수를 우리는 보았다. 또한 리듬체조에서 아깝게 4위를 한 손연재 선수나 8강에서 분패한 여자 배구 선수들도 최선을 다해 한계를 극복하려는 모습은 승패를 떠나 아름답기까지 했다. “메달을 따지 못하면 큰 일 날 것 같았다그러나 내 점수에 스스로 100점을 주고 싶다고 울어버린 손연재 선수와 금메달을 따지 못한 선수들이 하나같이 죄송하다는 말에 힘내라잘했다고 국민들은 그들에게 박수를 보냈고,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온 힘을 다한 국가대표들의 노력에 대한 안타까움을 함께 했다.


특별히 4년마다 열리는 올림픽은 선수들에게는 땀과 눈물을 보상받는 시간이기도 하다. 인터뷰 때 여자 양궁의 장혜진 선수는 크리스천임을 당당하게 밝히며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 한국교회의 뜨거운 응원의 박수를 받기도 했다. 여기에 펜싱(에페)의 박상영, 유도의 안바울, 정보경 선수 등 기독 메달리스트들의 선전 뒤에는 크리스천 지도자들의 세심한 지도와 간절한 기도가 있었다는 후문이다. 펜싱 대표팀을 이끈 조희제 감독은 선수들이 부상당하지 않고, 경기장에서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해 하나님께 영광을 올릴 수 있게 해달라고 간절히 기도로 시작해서 기도로 마쳤다고 한다. 이밖에도 유도 대표팀의 서정복 총감독, 여자 유도대표팀 이원희 코치도 금식기도를 하면서 기독 국가대표들의 선전을 통한 그리스도의 복음 확산을 간구했다고 한다.

우리는 브라질 리우올림픽에서 선전하고 있는 크리스천 선수들의 선전 뒤에는 크리스천 지도자들의 뜨거운 기도와 헌신이 있었음을 오랫동안 기억할 것이다.


어쨌든 우리는 이번 리우올림픽에서 모든 국가대표 선수들이 흘린 땀방울과 눈물의 가치가 메달 획득 여부로 달라지진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오히려 최선을 다해 준비한 실력을 후회 없이 쏟아내는 선수들 덕분에 유례없는 폭염이 조금은 가시는 것 같아 기분마저 좋다. 우리교단 106차 총회가 다가오고 있다. 우리는 리우올림픽에서 보여 준 축제의 장이 정기총회에서도 똑같이 재연돼 서로를 격려하고 기쁨의 만남이 되기를 바란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