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장관 이준식)는 총신대 재단이사 선임이 계속 늦어지고 있는 것과 관련 학교와 개인에게 계고장을 발송한 상태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 총신대는 법인이사가 전원 임기 만료나 사임을 한 상태이기 때문에 재적이사는 한 명도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만일 12월 말일까지 후임이사를 선임해서 교육부에 신청하지 않으면 임원승인취소 절차에 들어가게 된다.”면서 “임원승인취소 처분이 내려지면 사립학교법에 따라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그 결과에 따라 교육부에서 임시이사를 승인하게 된다”고 말했다.
특히 “임시이사는 종교와 상관없이 선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교육부가 임시이사 파견을 위해서 임시이사를 할만한 인사를 접촉하고 있다는 설에 대해서는 “임원승인취소 처분도 내려지지 않은 상태인데 임시이사 후보를 물색하겠는가.”라면서 한마디로 일축했다.
총신대 내부에서는 교육부가 제시한 12월 안에 재단이사 선임이 되지 않아 임시이사체제가 들어설 경우 학교가 대학구조 개혁으로 인한 학생수 감축과 재원 축소 등 큰 불이익을 당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총신대의 한 관계자는 “총회가 김영우 총장과 타협을 하든지, 아니면 재단이사들을 선임해서 해임을 하든지, 어떤 방식으로라도 타협을 해서 학교가 어려운 상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김영우 총장 한 사람을 잡으려다가 자칫 초가삼간을 태우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아야 한다”며 답답함을 나타냈다.
/ 제휴=뉴스파워 김철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