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다음 세대를 위한 준비

한국교회에서 가장 큰 위기가 무엇이냐고 전문가들에게 질문하면 주저 없이 미래의 주역들이 부재하다고 이구동성으로 대답한다. 1990년대 정점을 찍으며 성장했던 교회학교가 2000년을 전후로 해서 계속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대도시 중심가나 주택 밀집지역에 있는 작은 교회들은 주일학교를 찾아보기 힘들다. 요즘 학생들은 학원이나 가족과 함께 여가 보내기, 개인적인 취미 등의 이유로 교회에 나오지 않고 있다.
물론 불신자들은 말할 것도 없지만 많은 그리스도인들의 자녀들 역시 대학 진학을 위해 신앙생활 보다는 학업을 핑계로 교회학교는 잠시 ‘개점휴업’을 해도 괜찮다고 보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냉혹한 현실 속에서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 순복음 등 교단적 차원에서 다음 세대를 육성하고 다음 세대가 복음의 빛을 잃지 않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와 대안들을 내놓고 있다.


우리 교단에서도 겨울이 되면 다음세대를 위한 프로그램들이 가동된다. 목회자자녀영어연수나, 목회자녀 영성캠프, 개 교회 또는 지방회 연합 부흥성회 등 다음세대를 키우고 다음세대에게 우리 미래의 교단을 맡기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한 교단 인재 육성을 위해 신학교에서도 교단 소속교회 학생들이 신학교에 진학시키기 위해 학생 유치를 진행하고 장학혜택도 확대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혜택을 받는 대상이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고 한정돼 있다는 지적이다. 목회자 자녀 중심의 행사나 다른 겨울 프로그램에서도 200여 명이 채 되지 않는 학생들이 모이는 경우가 허다하다. 더욱이 이런 일회성 행사에 참여했다고 해서 개교회의 일꾼으로 정착하거나 성장하는 사례도 드물다고 한다.


이에 대한 대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한국교회와 침례교회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라도 더 늦기 전에 중장기적인 다음세대를 위한 특별위원회 신설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교단의 교회학교 실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찾기가 힘들다. 이제는 다음세대 준비를 위해서 총회와 기관이 협력해야 할 때다. 다음세대를 위해 준비한 만큼 10~20년 이후 우리교단의 교세로 열매 맺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다음세대를 위한 준비 및 환경조성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통해 교회 상황별로 교회학교 운영 전략, 전도 프로그램, 양육 프로그램 등 교회학교 교육의 양과 질을 한층 더 끌어 올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전문적인 다음세대 사역자들의 양성도 필요하다. 총회와 신학교, 교회진흥원 등 총회기관들이 협력해서 전문 사역자 양성훈련을 진행해야 한다.


대부분의 교회는 교회학교 사역자들을 세우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교회 70~80% 이상이 다음세대 준비는커녕 전문 일꾼을 세울 여건과 환경도 되지 않고 있다. 학생, 청년층이 거의 교회에 출석하지 않는 이유가 주된 이유다. 신앙인들의 자녀들이 먼저 교회로 돌아올 수 있도록 준비하고 기도해야 한다. 신앙의 부모들이 죽기 전에 ‘내 아이들이 나오겠지’라는 수동적인 태도를 취한다면 결국 하나님의 자녀가 세상의 자녀가 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다.
다음세대에 대한 골든타임은 이제 시작이다. 내가 먼저 한 영혼이라도 구원해 하나님 나라의 일꾼으로 삼아 주 안에서 진정한 기쁨과 행복, 세상과 싸워 이길 수 있는 영적 능력을 지금의 교회가 품어야 할 사명임을 한시라도 잊지 않았으면 한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