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0미터 전력질주

김종훈 목사의 목회 이야기-94

김종훈 목사
오산교회

얼마 전 있었던 우리 교회 전교인체육대회. 그 대회의 마지막 경기는 계주 경기였는데, 담임목사도 무조건 뛰어야 한다 해서 무심코 뛰었다가 아주 혼쭐만 났던 이야기를 잠깐 하련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난 그날 오후, 아직 밝은 대낮에 별을 다 봤다. 하늘의 별이 아닌 내 눈앞의 별. 비록 짧은 시간이긴 했으나 참 유난히도 야속하게 그 별은 반짝반짝 빛났다. 게다가 하얀 분이라도 바른 듯 얼굴마저 하얘지고, 자리에 털썩 주저앉아서는 한동안 말할 힘마저도 없이 화끈거리는 얼굴에 숨만 가쁘게 몰아쉬었다.

담임목사가 흰 팬티 걸쳐 입고 온 성도들 앞에서 내달리는 수모(?)는 차라리 괜찮다. 나로 인해 모두가 즐거울 수 있다면 그보다 더한 것도 해야 하니까. 그 창피 줄여주려 일부러 더 큰 함성으로 아이들부터 어른까지 함성과 함께 박수로 응원해주신 성도들이 있으니 그거야 괜찮다.


문제는 그 200미터가 내겐 죽을 것 같은 고통이어서 그렇다. 아니 다른 사람들은 다 반 바퀴씩만 뛰게 하더니 마지막 주자인 내게만 한 바퀴를 뛰게 하다니, 아무튼 이 주최 측 농간(?)에 담임목사만 혼났다. 나만 그런 줄 알았더니 함께 뛴 다른 목사도 체력의 한계로 스텝이 꼬여 그만 마지막 순간에 운동장에 넘어졌다.
그 덕에 내가 이기긴 했으나, 한동안 정신마저 멍한 건 막을 수 없었다.

아. 내가 왜 이럴까? 그까짓 200미터 달리기로 이렇게 기진맥진하다니…. 어느새 급격히 저하된 내 체력에 괜히 씁쓸해지기도 했다. 아닌 게 아니라 나의 3년 전, 5년 전 뛰던 모습을 기억하시는 한 집사님은 “확실히 목사님이 예전 같지 않아 보이셨다” 했다. 나 또한 그리 느끼니 어쩌면 좋으랴!


물론 이유야 있다. 예전에야 운동장에서 아예 주일예배까지도 드렸으니 설교 사역으로 체력이 소진될 일은 없었다. 하지만 그날은 4번의 주일설교까지 사력을 다해 한 다음 치른 경기였고, 다수의 성도들이 교회 도시락이 모자라 급히 김밥으로만 때우게 했단 보고에 너무 마음이 안 좋아 나 또한 먹는 둥 마는 둥했던 결과이다. 또 말이야 바른말이지 200미터 전력질주는 사실 1년에 단 한 번도 뛸 일이 없다. 해봤자 건강달리기 정도 수준이니 그럴 만도 했다.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그렇게까지 힘들어했던 내 모습은 큰 충격이다.


어떻게든 평소에 꾸준히 체력 관리를 더 잘해야겠단 생각이 그래서 다시 들었다.
하지만 그 ‘전력질주 후유증’(?)은 뜻밖에 다음의 생각도 떠올렸다. 바로 우리 성도들이다.
오늘도 그렇게 전력질주하며 세상을 살아가고 있을 우리 성도들. 이리 뛰고 저리 뛰며 가족 부양하고, 경쟁사회의 일원으로 도태되지 않으려 몸부림치며 사력을 다하고 있을 성도들. 그들의 땀, 그들의 눈물, 그들의 상처, 지친 그들의 마음이 보였다. 그들의 삶이 어쩌면 내 사역보다 더 곤할 수 있음도 느껴졌다. 나의 주일 사역이 아무리 힘들었어도 그날 오후 200미터 전력질주만큼은 아니기 때문이다. 조금 머리 아플 정도야 되지만 머리가 멍해질 정도까진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 힘들기로 치면 뜀박질이 더 힘들지. 숨차기로 쳐도 뜀박질이 더 벅차지. 넘어지기로 쳐도 뜀박질이 더 잘 넘어지지. 다치는 걸로 쳐도 뜀박질에서 더 다치지. 그러니 더 큰 응원이 필요한 이들은 바로 저들이지’
이상이 그날 나의 전력질주 체험을 통해 지금도 남아있는 깨달음이다.
그러니 오늘도 여전히 세상에서 전력질주하는 우리 성도들에게 위로를 드린다. 주께서 힘주시기를 중보한다.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