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남침례교 조직신학자들의 중생교리-(3)

근광현 교수
침신대 신학과
(조직신학)

중생과 칭의의 동시성 개념은 하나님이 사람들에게 새로운 신분을 제공하여 의롭게 만드는 칭의와 새 생명 곧 새로운 본성을 부여하는 중생이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는 뜻이다(롬5:18; 요5:24). 이처럼 카너는 ‘의롭게 만드는’ 칭의의 경험적 측면을 통해 중생과의 관계를 설명했다. 반면에 무디는 중생의 당연한 결과로서 칭의가 발생하지만, 이는 서로 분리되지 않는 관계라고 간략하게 표명했다.


2. 중생과 성화와의 관계
대그는 중생을 성화와 연결하여 설명하기를 선호했다. 이는 그가 중생과 성화의 행위가 지속적인 과정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그 이유는 바울이 중생한 자들에게서 일어나고 있는 성령과 육신의 소욕 사이의 지속적인 적대행위를 증언하기 때문이라고 한다(갈5:17). 그래서 대그는 중생과 성화의 시작을 동시적인 것으로 파악했다(빌2:13).


보이스는 대그와 달리 중생이 성화보다 선행한 것으로 간주했다. 그가 중생을 성화보다 앞선 것으로 보는 이유는 사람이 중생을 통해 새로운 본성을 획득해야만 거룩함을 추구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중생과 성화가 본성적으로 하나의 변화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같은 강조는 중생과 성화 모두가 시작부터 지속적인 변화의 특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강조한 것이었다.


이와 달리 멀린스는 중생이 성화를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중생이 성화를 내포한다는 말은 중생과 성화가 아주 밀접한 관계 속에서 성화의 삶으로 나아가도록 촉진한다는 뜻이다. 물론 이 말은 중생이 성화보다 선행한다는 말이 결코 아니다. 성화는 이미 시작부터 거룩한 용도로 분리된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성화된 사람은 실제적으로도 거룩하게 되어야 하기 때문에, 성화는 점진적으로 그리스도의 형상으로 변형되어가는 중생과 밀접한 관련을 맺을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멀린스는 씨앗의 비유를 통해 이를 뒷받침했다. 즉 성화는 중생에서 심겨진 새 생명의 씨앗의 발현이기에 중생과도 관련된다는 것이다. 달리 말해 중생과 성화 그리고 칭의는 동시에 발생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믿음이 이 모두의 조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멀린스는 구원의 선물인 중생과 성화와 칭의가 동시에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어졌을 때 지속적으로 육체와 싸워야 하는데, 그 과제를 풀어나가는 구원의 용어가 바로 성화라고 주장했다. 이는 바로 그리스도인 생활의 시작은 중생과 칭의와 성화이지만, 그리스도인 생활의 계속은 성화가 주도한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카너는 칭의와 중생과 성화의 관계를 ‘구원의 법률적이고 생동적인 국면’으로 묘사했다. 예컨대, 하나님은 칭의 곧 죄인들을 의롭게 여기시는 새로운 신분부여에 멈추지 않으시고 중생 안에서 새 생명을 제공하시는데, 바로 이 새 생명은 충만하게 성장해 가는 성화와 함께 흘러나온 것이라는 묘사이다(고전1:30; 6:11). 그는 이를 가리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과의 교제 속으로 이끄는 다양한 의미의 놀라운 거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카너는 개신교인들이 그리스도인 생활에서 근본적인 변화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간과한 칭의와 중생 대신에, 성화만을 따로 떼어 이를 지속적인 행위로 강조한다고 비판했다.


무디는 중생의 결과로서 주어지는 성화와 칭의가 서로 불가분리적인 관계라는 사실을 강조했다(고전1:2, 30; 6:11; 벧전1:16; 2:5, 9). 그러나 무디는 이와 달리 루터주의가 칭의를 강조했고, 칼빈주의는 중생을 강조했으며, 감리교는 성화를 강조했다고 비판했다.


3. 중생과 양자와의 관계
대그는 중생을 성령께서 구원받은 신자 안에 제공하신 거룩한 도덕적 변화이자 하나님께로부터 난 것으로 이해했다(요일4:7). 그리고 그는 양자를 사람들이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가족 안으로 들어간 것”으로 이해했다. 하나님의 가족이 되었다는 말은 하나님의 자녀로서 확보한 특권인 아버지 하나님의 사랑(시103:13; 마6:32; 7:11; 롬8:15; 요20:17; 마6:9)과 하나님의 유업(롬8:17; 고전3:22; 계21:7) 그리고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상속을 일컫는 말이다(눅12:32; 마25:34). 이처럼 대그는 하나님께로부터 남과 하나님의 가족에 들어감을 의미하는 중생과 양자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제시했다.


보이스는 중생과 양자가 아닌 칭의와 양자의 관계를 언급했다. 양자는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은 자들이 하나님의 가족과 하나님의 자녀로 편입되어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과 공동 상속인이 되는 것이었다(롬8:17). 그런데 이 양자는 칭의나 중생으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었다. 이는 오직 그리스도의 공로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아들과 연합한 사람들에게 제공된 하나님의 사랑의 선물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보이스는 중생이 먼저 발생한다는 칼빈주의 성향으로 인해 중생과 양자를 서로 연결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멀린스는 대그와 보이스보다 더 구체적으로 중생과 양자의 관계를 설명했다. 중생과 양자는 서로 구별되면서 관계적이다. 양자는 중생의 내적 행위에 해당하는 하나님의 외적인 행위이다. 또한 양자는 하나님의 성품에 해당하는 부계적 측면인 아들들로서의 중생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래서 멀린스는 이 양자를 “자녀권”과 서로 연결하여 중생의 필요성을 거부하는 사람들을 비판했다.


소위 “자녀권”은 모든 사람들이 본래적으로 하나님의 자녀라고 말하는 만인구원론의 견해이다. 그래서 멀린스는 만인구원론과 다른 각도에서 중생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즉 하나님은 모든 사람들이 하나님을 향해 자녀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이 하나님의 아들이 되기를 원하신다. 그러나 하나님은 오직 중생을 통해서 그것이 실질적인 것이 되기를 원하신다는 것이다. 이처럼 멀린스는 중생을 필요로 하는 자녀권 설정으로 양자를 설명했다.



총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