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월드비전 ‘2020 베이직 포 걸스’ 캠페인 진행


국제구호개발 NGO인 월드비전(회장 양호승)은 오는 12월 24일까지 아프리카 지역의 여아들에게 면 생리대를 지원하는 ‘2020 베이직 포 걸스(2020 Basic For Girls)’ 캠페인을 진행한다. 캠페인 참여를 희망하는 시민들은 월드비전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2020 베이직 포 걸스’는 면 생리대를 직접 만드는 과정을 통해 아프리카 여아들이 월경과 관련해 겪는 어려움에 공감할 수 있도록 기획된 시민 참여형 캠페인이다. 아프리카의 여아 10명 중 1명은 생리로 인한 결석을 하고 적절한 생리대를 공급받지 못해 헝겊, 매트리스 등으로 생리대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월드비전은 이번 캠페인을 통해 아프리카 여아들을 위해 위생적인 생리대를 지원하고 학교 내 여아 친화적인 화장실을 설치할 예정이다. 또한 월경위생교육과 인권기반 성교육, 그리고 생활기술교육을 진행하고, 지역사회 내 여아 인권 신장을 위한 옹호활동을 진행하는 등 아프리카 지역의 여아역량을 강화하는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2020 베이직 포 걸스’ 캠페인의 면 생리대 DIY 키트는 면 생리대와 방수패드, 실바늘세트, 그리고 퀵가이드로 구성됐다. 홈페이지를 통해 키트를 신청한 개인 참여자는 ‘베이직 포 걸스’ 로고가 새겨진 리본박스와 일러스트 작가 ‘리피(Leapii, 본명 민주)’가 함께 제작한 스티커도 제공된다.


캠페인 참여를 원하는 시민들은 월드비전 홈페이지를 통해 면 생리대 DIY 키트를 신청하고 면 생리대를 완성한 후 여의도에 소재한 월드비전 본부로 전달하면 된다. 가격은 개인용 키트 2만 원, 단체 참여용 베이직 키트는 1만 5000원이다. 학교에서 참여 시 1만 원으로 참여 가능하다. 수익금 전액은 케냐, 탄자니아, 잠비아, 네팔의 여아들을 위한 여자 화장실 설치, 생리대 지원 및 제작 교육, 성교육 등에 활용된다.


한편, 월드비전은 ‘2020 베이직 포 걸스’ 캠페인 론칭을 기념하고 시민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카카오 AI 스피커 ‘카카오 미니’ 증정 이벤트를 6월 27일까지 진행한다. 월드비전 홈페이지에서 면 생리대 DIY 키트 신청과 캠페인 소식 신청하기를 누르면 자동으로 응모가 완료되며, 추첨을 통해 총 80명을 선정해 증정한다.


이 외에도 5월부터 10월까지 인기 인스타툰 작가 ‘텨다(Tyeodya, 본명 최설아)’ 등과 함께 전세계 여아들이 겪고 있는 생리대, 화장실 부족, 조혼, 성인식교육, 교육 기회 차별 등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캠페인 참여를 독려할 예정이다.


월드비전 양호승 회장은 “아프리카 지역의 여아들은 기본적인 생리위생교육 등을 받지 못하고, 적절한 생리대의 공급 부족과 비위생적인 화장실 환경 등 여아를 위한 기본 권리조차 누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라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아프리카 여아들이 최소한의 위생을 지키며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베이직 포 걸스(Basic For Girls)’는 월드비전이 지난 2015년부터 가난과 문화적 관습으로 인해 생리, 조혼, 원치 않은 임신 등 기본적인 권리조차 누리지 못하는 여아들을 위해 진행해온 캠페인이다. 지난 2019년까지 총 4만 6727 명의 시민들이 개발도상국 여아들의 권리를 지키는데 동참했다. 지난 해는 이화여자대학교 김은미 대학원장을 자문위원장으로 위촉하고 개발도상국 여아들의 보건,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범영수 차장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