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성장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이다. 하나님은 한국교회를 축복하셔서 놀라운 성장을 주셨고 부흥케 하셨다. 하나님은 그의 몸된 교회를 사랑하시며 구원의 기관으로 교회를 세우셨다(마 16:18).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고백한 사람들을 통하여 하나님은 영광을 받으신다. 교회들이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을 섬기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때에 교회의 부흥은 온다. 교회는 하나님의 영원한 목적 한복판에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한국교회를 축복하셨고 성장한 이후 1970년대와 1980년대까지 교회성장의 추세는 지속됐으나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교회성장이 둔화되기 시작했다. 한국교회는 1990년 중반부터 성장의 침체 현상이 시작되고 2000년부터 정체가 계속되고 있고 2002년 이후로 정체 현상을 통계로 볼 수 있다. 성령의 역사로 부흥하던 한국교회는 최근 20년 가까이 고원현상을 유지하고 있고 잘못하면 장기적인 침체기에 들어갈 수 있는 상황에 있다.
정부의 통계는 그리스도인의 인구분포가 줄어든 실정이다. 그러나 한국인구의 43%는 아직도 종교가 없는 사람들이다. 아직도 전도할 대상자들이 많은데 한국교회들이 미국교회가 쇠퇴하던 시기를 닮아 벌써 현상유지에 급급하고 있다. 피터 왜그너는 1965년부터 시작한 미국교회의 감소 현상이 20년간 지속 되고 있을 때에 그 원인을 두 가지 제도적인 원인으로 들고 있다.
첫째가 자유주의 신학이 이어 받은 것이고, 둘째가 목회자들이 교회의 우선순위를 교회의 현상유지에 두고 전도를 뒤로 미루고 영혼 구령을 등한 시 한 경우이다. 어려운 환경 가운데서도 한국교회 중에서 계속적으로 성장하는 교단은 장기적인 교단 계획을 가지고 있다.
한국교회는 부흥을 경험하지 못한 다음세대가 교회를 이끌고 갈 시점에 와있다. 건강한 교회의 특징은 목사, 성도, 교회의 크기, 교회의 조직과 기능, 전도의 방법과 우선순위를 들고 있다. 한국교회 성장에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환경에 기인한 상황적 요인들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교회의 성장 둔화기에는 교회적 요인이 높아지는 시기이다.
21세기 한국교회는 교회 자체의 활동이 성장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는 시대가 됐고, 교회의 연합과 협력이 교회부흥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시점에 와있다. 대부분의 교회들에게는 새로운 접근법, 새로운 철학, 새로운 열정이 필요하다.
기독교한국침례교회는 2009년 2,761개 교회와 801.437명의 성도를 가진 교단이다. 우리 교단은 90년대 중반부터 정체기에 와 있다.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한국교회의 침체가 한 세대가 되는 30년 이상 계속되게 된다. 침례교회 전체교회가 총체적인 역량을 다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
지속적이고 조직적인 기독교 한국침례교회 200만성도와 5천교회 운동은 시대적인 요청이고 사명이다. 한국교회는 성장과정에서 문화적 요인, 상황적 요인, 교회적 요인들을 통해 성장해왔고 교회성장의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다. 한국교회의 성숙기는 교회적 요인이 다른 요인들보다 교회성장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시기이다.
1990년 이전 까지는 한국교회 성장에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환경에 기인한 상황적 요인들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쳤다면, 1990년 이후 교회의 성장 둔화기에는 교회적 요인이 높아지는 시기이다. 한국교회의 재도약을 위한 교회성장을 위해서 교회외부의 상황적 요인에 의해 교회가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았던 단계에서 교회내부의 교회적 요인을 개발하여 교회가 능동적으로 교회내부의 문제뿐만 아니라 교회의 외부 문제까지 이끌어갈 상황에 서있다.
기독교 인구는 한국 통계청의 발표대로 약 20%에 가깝고, 아무 종교도 없는 비종교인이 인구의 약 43%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교회들은 최소한 종교 없는 사람들에 대한 장기적인 관심과 전략을 가져야 한다. 교회단체의 발표를 따르면 타종교까지 포함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최소한 75%가 구원 받아야 할 사람들이고, 전도 대상자들이다.
본 논문의 1차 목적은 기독교 한국침례교회가 200만성도와 5천교회 운동의 전도 이론과 전략에 대한 이해와 실행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고, 침례교단 전체가 참여하여 다음세대를 준비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2차목적은 기독교 한국침례교회가 200만성도 운동과 5천 교회 운동의 전략에 대한 이해와 실천 자료를 제공하고, 다음세대를 준비하고 교단의 비전을 심어주는데 목적이 있다.
교단별 경쟁력 부분은 교회성장연구소가 11개 교단의 경쟁력을 분석한 한국교회 경쟁력 보고서 2006년 판을 사용하고 있다. 침례교단은 172교회를 조사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전도 설문 통계자료는 교회성장 연구소가 한국 개럽에 의뢰해서 조사한 내용을 인용했고, 필자가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한국교회의 침체 원인들과 부흥방향은 소집단에 대한 조사로 한계가 있기에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하다.
I. 200만 성도와 5천 교회 운동에 대한 이해
기독교한국침례교회의 200만 성도운동과 5천 교회 운동(일명 2030 전도 프로젝트)은 교인의 숫자를 늘리는 운동이 아니다. 침례교단의 성장과 성숙을 위한 2030년까지 20년 장기간의 전도계획이다.
향후 20년에 걸쳐 침례교회의 모든 재원과 인력을 함께 하여 작은 교회를 살리고 신학교에서 인재를 키우고 도시교회의 협력을 이끌어 내고 침례교 특징들을 살려 내는 장기적인 계획으로, 5년 마다 중기계획과 함께 매년의 계획이 필요하다. 매년마다 계획서를 수정하면서 향후 20년을 매년 계획하는 전략 프로그램이며, 이 계획을 일명 2030 전도 프로젝트라고 부른다. 필자는 교수 논문집 「복음과 실천」 46집에서 침례교단의 100만 성도를 위한 5년 전도 계획을 세운바 있다.
한국교회는 1990년 중반부터 성장의 침체 현상이 시작되고 2000년부터 정체가 계속되고 있고 2002년 이후로 정체 현상을 통계로 볼 수 있다. 기독교한국침례교회는 2009년 2,761개 교회와 801.437명의 성도를 가진 교단이다.
우리 교단은 90년대 중반부터 정체기에 와 있다.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한국교회와 침례교단의 침체가 한 세대이상 계속되게 된다. 침례교회 전체교회가 총체적인 역량을 다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 주님이 세우신 교회의 목적과 성령의 인도에 따라 필자는 기독교 한국침례교회 200만성도와 5천 교회 운동은 시대적인 요청이고 사명이라고 생각한다.
한국교회는 교회자체 뿐만 아니라 전세계교회가 인정하듯이 교회성장의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다. 교회의 성숙기는 교회자체 동력 요인이 다른 요인들보다 교회성장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시기이다. 90년대 이전 까지는 한국교회 성장에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환경에 기인한 상황적 요인들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쳤다. 90년대 이후 한국교회가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교회성장이 둔화되고 침체하는 시기가 시작되었다.
교회자체가 노력하고 연합하는 교회적 요인이 높아지는 시기이다. 한국교회의 재도약을 위해 교회가 상황적 요인에 의해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았던 단계에서 교회내부의 교회적 요인을 개발하여 교회가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교회의 외부 문제까지 선도해 나가야할 상황에 서있다.
최현수 교수
침신대(교회성장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