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은산책 (73) 애양원(愛養院)

 

애양원의 아름다운 역사는 1904년 미국 남장로교 선교활동으로부터 시작됐다. 목사이며 의사였던 오웬 선교사가 선교활동에 전념하다 급성폐렴으로 사경을 헤멘다는 소식을 듣고 목포에서 활동하던 의사 포사이트가 급히 광주로 오던 중, 길가에 버려진 여자 나병환자를 발견하고 선한 사마리아인(누가복음 10:25~37)같은 사랑과 자비의 정신으로 그녀를 말에 태우고 걸어서 광주까지 와서 한 움막에서부터 시작된 나환자 요양원이다.

 

당시 하늘의 저주(天刑)로 생각됐던 나병(문둥병) 환자들에게 천국의 소망을 가르쳐주고 노래하게 했던 선교사님들의 가르침대로 여수 애양원 교회를 담임하셨던 손양원 목사님은 그들을 위해 일생을 바쳤고, 일제에 항거하다 옥고를 치르기도 했으며,

 

19481021일 여순반란사건 때 공산당원에게 두 아들 동인, 동신을 처참하게 살해한 원수를 양자로 삼아 사랑의 원자탄이라 불리운 손 목사님은 결국 6.25전쟁 당시 신앙을 지키며 공산군에 대항하다 1950928일 애양원 환자들과 함께 순교하셨다.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나라가 오로지 그들의 것이니.”

 

벌써 16번째 애양원을 방문했다. 제자 훈련반을 졸업한 성도들과 함께 예수님을 따라가는 제자의 삶이 무엇인지를 한눈에 보여줄 수 있는 살아있는 교육 현장이기 때문이다. 금년 여름도 우리는 빚진자의 심정으로 필리핀과 중국 곤명에 단기 선교팀을 보낸다. “목사님! 민박집에 빈대가 있고 벼룩이 있다면서요?”

 

120여년 전 미국과 같이 살기 좋은 나라에서 최고 명문 의대를 졸업한 의료선교사들이 어떻게 이 무지와 가난에 찌든 조선 땅에 수개월간 배를 타고 온 가족을 데리고 건너와 고귀한 생명을 바칠 수 있었을까 그들의 숭고한 삶에 고개가 절로 숙여진다.

 

어린 청소년들이라면 꿈과 희망이라도 심어주어 재기의 삶을 살게 할 수나 있지. 어떻게 아무런 소망도 없이 죽어가는 나환자들을 위해 자기의 삶을 드릴 수 있단 말인가?

 

십자가의 길을 걸어가신 주님이 계신 천국이 답()이다.



총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