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침신대 해법 없나

‘진리’ ‘중생’ ‘자유’를 핵심가치로 내세운 한국침례신학대학교(총장 피영민)가 또 다시 위기에 빠졌다. 지난 3월 3일부로 학교법인 한국침례신학원의 이사들의 임기가 만료됐고, 새로운 임기를 이어받을 이사가 없다는 사실 때문이다.


지난 2020년 관선이사체제를 마무리하고 이사화를 정상화시킨지 불과 4년만의 일이다. 4년 동안 신학교는 때 아닌 위기와 고난의 길을 걸어왔다. 전임 총장의 연임 문제가 불거졌고 이후 이사회 내에서 의견을 모으지 못한 채 결국 신임 총장을 선출했다. 학교의 신입생 충원율은 이번에 100%를 채우긴 했지만 교원채용은 아직 턱 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학령인구의 감소와 지방대학이란 한계를 인정하더라도 느껴지는 자괴감과 백년대계는 고사하고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침례교단 교육의 현실은 참담하다.


지난 4년 동안 검증되지 못한 의견과 주장으로 한국침신대를 사랑하고 아끼는 3500교회 동역자들은 학교에 대한 우려와 걱정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제 임기가 만료되고 긴급처리권의 권한만 행사할 수 있는 학교법인 이사회를 우리는 어떤 눈으로 바라봐야 할지 답이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학교법인 이사회에 대해 대의원들도 최근 몇 년 동안 정기총회를 통해 보고를 받으며 ‘과연 학교 정상화가 이뤄졌는가’에 대해 모두가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시간이 흘러갈수록 우리 스스로 이 문제를 키워왔다는 사실에 우리는 철저히 반성하고 그래서 학교에 대한 관심을 더욱 가져야 할 때이다.


한국침신대 문제와 관련해 학교당국이나 학교의 생각과 다른 반대를 제기하는 측에서도 모두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고 서로의 주장을 존중하며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했는지 묻고 싶다. 모두가 모교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모교가 오명을 뒤집어쓰지 않기 위해 호소하고 전하는 내용들이라 믿고 싶다. 하지만 정치적 계산이나 내 사람 챙기기 등 파벌싸움은 없었는지 묻고 싶다. 그렇기에 침례교회 동역자들이 나서서 학교에 더 관심을 가지고 학교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할지 지혜를 모아주기를 바란다.


또한 총회가 파송한 이사에 대해서도 이사회가 충분히 논의해 이사 선임 문제를 마무리 지어야 할 것이다. 또 다시 교육부에서 파송한 이사를 받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다면 이것 또한 교단 신학교의 수치이며 안타까운 현실일 뿐이다.


누구의 잘못으로, 누구의 탓으로 돌리는 마음보다 나의 주장과 나의 의견을 내려놓고 상대방의 의견을 들으며 대화로 풀어내며 합의점들을 만들어내는 노력이 필요한 시기다. 무엇보다 침례교회 전체가 신학교를 위해 기도하고 신학교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응원하고 격려해주기를 바란다. 현재 유독 신학교에 문제에 대해 ‘내 말이 법이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는 개인이나 세력들이 존재하는 것 같다. 정말 신학교에 위기가 찾아왔다. 이 위기를 극복하고 이겨낼 수 있는 해법도 결국 대의원들에게 있는 만큼 힘과 지혜를 모아 먼저 총회에 힘을 실어주기를 바란다.



총회

더보기
115차 정기총회 목사 인준 대상자 교육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 목사)는 지난 6월 30일과 7월 1일 양일간 한국침례신학대학교(총장 피영민) 페트라홀에서 각 지방회가 목사 청원한 124명의 예비 목회자가 참석한 가운데 115차 정기총회 목사인준대상자 교육을 진행했다. 개회예배는 총회 교육부장 김성렬 목사(만남의)의 사회로 한국침신대 피영민 총장이 대표로 기도한 뒤, 이욥 총회장이 “베드로가 스카웃 받은 비결”(눅 5:3~11)이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욥 목사는 설교를 통해, “베드로는 부족함이 많은 사람 중 하나였지만 예수님께서 사용하셨던 크신 뜻이 있었기에 귀한 일꾼으로 사용받았다”며 “하나님은 외모나 성격, 학력과는 무관하게 하나님께서 택하신 뜻대로 사용하셨다. 이번 인준 교육을 받는 이들에게도 하나님의 부르심의 귀한 여정을 감당하며 놀라운 인도하심을 경험하기를 원한다”고 전한 뒤, 축도로 개회예배를 마쳤다. 이어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가 이번 교육 일정에 대해 설명하며 “목사 인준자 교육은 우리 교단 목회자로 인증을 받는 첫걸음이기에 침례교회의 사명감을 품으며 1박 2일 동안 다시금 사명을 재점검하고 확인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격려하며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했다. 첫 강의는 해외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