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사)한국교회연합과 CBS, 몽골 복음화 위한

“몽골 게르교회 건축 프로젝트“ 공동 진행

 

 

()한국교회연합(한교연, 대표회장 박위근 목사)CBS 기독교방송(사장 이재천)이 몽골 복음화를 위한 뜻 깊은 사역을 공동으로 펼쳐 화제를 모으고 있다. 그 것은 지난 1017일부터 3주간, 매주 목요일 CBS TV 미션2013, 주여 나를 보내소서시간에 방영되는 몽골 게르교회 건축 프로젝트이다.

 

몽골복음주의협의회(MEA)도 함께 참여한 이번 프로젝트는, 몽골 현지인에게 가장 익숙한 게르(이동형 천막)교회를 통해, 2020년까지 전체 인구의 10%를 전도하겠다는 몽골 2010’ 비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기획됐다.

 

지난 9월초 한교연 선교교육국장 최귀수 목사와 CBS 제작진이 1주일에 걸쳐 몽골 현지를 취재했고, 실질적으로 게르교회가 필요한 다양한 지역의 사연을 시청자들에게 소개해 기도와 건축후원을 이끌어 낼 예정이다.

 

아시아에서 6번째로 넓은 몽골은 인구는 약 290만 명에 불과하다. 그 중에서도 성인 크리스찬의 비율은 겨우 3%정도. 게다가 대부분의 교회들이 수도인 울란바토르 지역에만 모여 있기 때문에 지방의 경우는 교회가 없어 예배공간이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점점 현대식 건물이 늘어가는 추세의 몽골이지만 약 40%의 사람들이 여전히 몽골 전통가옥인 게르(Ger)에서 생활하고 있다. 나무로 엮은 벽에 양털과 천을 씌워 만드는 텐트와도 같은 게르는 몽골인들에게 가장 익숙한 생활공간이다.

 

몽골복음주의협의회 자문위원으로 사역하는 이경준 선교사(몽골 NGO ‘진실한 손대표)게르는 몽골 현지인들에게 익숙하고, 적은 비용으로 건축할 수 있다. 난방비 등 유지비도 적게 들뿐더러, 아직도 유목민의 특성을 간직하고 있는 몽골인의 전도에 게르교회가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그는 복음의 씨앗조차 뿌려지지 않은 몽골 지방의 경우, 게르교회 건축이 선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CBS 제작진은 수도 울란바타르 외곽의 성근 하이르항지역에서 제작진은 게르교회 사역을 통해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는 바상더르치 전도사를 만났다.

 

먹을 것이 없어서 부모들이 쓰레기장에 버려진 먹다 남은 빵, 그리고 썩어진 사과 등을 주워 가지고 자식들에게 가져다줍니다. 또 어린 아이들이 쓰레기를 줍기 위해 쓰레기를 실은 차에 올라갔다가 떨어져 차에 깔려 죽는 일도 다반사입니다. 참 마음 아픈 일이 많은 곳입니다.”

 

가난한 이들을 위해 이곳에 게르교회를 세워 쓰레기장 빈민촌 아이들에게 식사를 대접하고 복음을 전해온 바상더르치 전도사. 만성간염으로 당장 치료가 필요하지만 빈민촌 아이들을 두고 치료하러 떠날 수가 없기에 남아서 사역을 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1017일부터 방송을 시작한 몽골 게르교회 건축 프로젝트는 복음에 빚진 한국교회가 그 빚진 마음을 갚을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 될 것이다. 방송을 통해 모아진 후원금은 전액 몽골복음주의협의회로 전달돼, 현지 게르교회 건축에 사용될 예정이다.

 



총회

더보기
이욥 총회장 직무정지 가처분 2심도 기각
김OO 목사, 차OO 목사, 김OO 목사 3인이 이욥 총회장을 상대로 제기한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이 항고심에서도 기각 판정을 받았다. 서울고등법원 제25-1 민사부는 지난 3월 25일 사건번호 2025라2147 직무집행정지가처분에 대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은 보전할 권리와 그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소명이 부족해 이유 없다. 그뿐만 아니라 가처분 채무자의 적격을 그르쳐 부적법하다고 보아야 한다. 이와 결론을 같이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을 기각한 1심 결정은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채권자의 항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모두 기각하며, 항고비용은 패소한 채권자들이 부담하기로 한다”고 판결했다. 채권자 3인은 법원에 1심 결정을 취소하고 총회장 선출결의 무효확인 사건의 본안판결 확정시까지 이욥 총회장의 직무를 정지시켜달라고 재차 요구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원은 “이 법원도 채권자의 가처분명령신청은 그 피보전권리에 대한 소명이 부족하고, 보전의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도 없다고 판단한다”며 판결 이유를 설명했다. 채권자들이 항고 이유로 들고 있는 주장들이 1심에서 내세운 주장과 실질적으로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법원은 “대표자의 선임 결의 효력에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