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의 오랜 전통은 주일저녁시간에 예배를 드리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마을 단위 영농문화에서 자연스런 형태였을 것입니다. 오늘날 24시간을 다양하게 일하며 살아가는 산업사회 구조 속에서 이제는 예배도 시대의 흐름을 반영해야 할 것입니다.
교회를 오고가는 시간 낭비가 많고, 자녀들과 함께 식사라도 할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 주일저녁이라는 설명을 들었습니다.
주일 저녁 유명한 강사님을 초대해 놓고 참석률이 너무 적어서 죄송한 마음이 한두 번이 아니어서 이제는 어떤 방법으로든 개선책을 마련해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어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주일 오후 2시로 변경하자는 의견이 61% 예전방식대로 저녁에 모이자는 의견이 31%로 변경하자는 의견이 배나 많았습니다. 오후 2시로 변경할 경우 어떤 형태로 모임을 원하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예배 32%, 제자훈련 44%, 기도회 12%, 찬양예배 5%, 목장모임 2%, 기타 4%였습니다. 예배와 제자훈련의 혼합된 형태로 드려지는 지혜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엔 제자훈련은 1년에 봄, 가을을 학기제로 운영하고 한 여름과 추운 겨울에는 다양한 예배 형태를 취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현대사회는 시간과의 싸움이 치열합니다. 새벽부터 늦은 저녁시간까지 차분히 앉아 식사할 겨를조차도 없이 몸과 마음은 바쁘게 돌아가는 시대입니다. 담임목사로서 저는 가능한 성도님들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번 교회 와서 많은 것들을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오후 예배로 전환 시 문제점을 찾아 보완했다가 가을학기부터 시작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어떻게 하면 보다 성숙한 제자의 삶을 살아갈 수 있을까? 관객이 아닌 참여자로서의 신앙인으로 세상에 영향력 있는 성도가 될 수 있을지 좋은 의견을 주시기 바랍니다.
김용혁 목사 / 대전노은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