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하늘 붓 가는데로> 두 세 마리 동물에 관한 우화

 

어떤 소 이야기 :

어떤 소가 이 세상 살다가 하늘나라에 갔다.

천사가 세상에서 어떻게 살다가 왔느냐고 물으니

牛公曰 맨탕 풀만 먹고 합숙(合宿)만 하다가 왔습니다. 그런데 노동은 하지 않았습니다. 그 놈의 농기계란 놈들이 등장해서 우리들의 일거리를 다 빼앗아간 거죠 뒤죽뒤죽 살만 찌고 있었는데 어느 날 추럭이 오더니 우리를 싣고 서울 구경시켜 준다기에 앗따, 그거 참 좋구나 하는 사이 나도 모르게 여기까지 왔네요理性的牛公(이성적우공)

 

어떤 누렁개 이야기 :

수개와 암개가 한참 사랑 交尾놀이를 하던 중

암개 여보, 숫개양반 지금 우리가 뭣하고 있는지요

수개 사랑놀이하고 있지 않소

암개 사랑놀이 그칩시다, 사랑은 달지만 그 열매는 쓰답니다. 우리새끼 낳아 보았자

사람들의 몸보신 재료 밖에 무엇 한답니까.“

수개 그렇군요

그들은 사랑놀이를 그쳤다.<理性的犬公(이성적견공)

 

어떤 암탉 이야기 :

김씨네 암탉이 동 우리에 알 한 개를 빠져 놓고 온 동네 떠나갈 새라 꼬꼬댁 꼬꼬, 내가 알 한 개를 낳았답니다하는지라 옆집 박씨네 암탉이 말했다.

이 암탉 여편네야, 제발 방정스럽게 떠들지 마소. 사람들이 곧바로 그 알을 끄내어 깨어먹지 않게소.”

김씨네 암탉 듣고 보니 그렇군요理性的鷄公(이성적계공)

 

또 어떤 땅개 이야기 :

주인의 사랑을 자식만큼이나 받는 아주 작은 땅개가 목줄을 달고 주인 따라 산보를 나왔는데. 산보 도중 전봇대나 가로수나 담벽을 만나면 다리를 버쩍 쳐들고 방뇨를 하는 것이다.

왜 그러느냐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학설이 있단다. 귀가할 때 길을 잃지 않기 위해 자기 오줌냄새를 맡겠다는 안전귀가설이 있고. 또 하나의 학설은 영토를 확장하기 위한 영역확장설이다.

주인의 손에 이끌려 오는 주제에 안전 귀가설은 설득력이 없고, 주인집 한 기둥이 개집이 온통 자기 영역 전부인 즉 영역확장설도 설득력이 없기는 매한가지. 本能(본능) 따라 사는 犬公(견공)

 

水流(수류) 권혁봉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