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절 날 교회 모든 행사를 끝내고 느긋한 마음으로 KBS TV 9시 뉴스를 켰다. 놀랍게도 우리가 그렇게 소중하게 생각하는 성탄절 날 매스컴이 전하는 반응은 너무나 차갑고 냉정하고 비정하기까지 했다. 대한민국 국민 18.4%만이 한국교회를 신뢰하고, 48.3%는 아예 신뢰하지 않는다고 보도하고 있었다. 저 잣대로 절간을 들이댄다면 어떨까? 항변하고 싶은 마음도 있었지만 마음은 참 서글펐다.
왜 이렇게 됐을까? 우리는 예수님의 3대 사역(말씀, 교육, 치유)은 잘 아는데 그 사역 못지않게 많은 시간과 마음을 두신 육신의 배고픔을 해결해 주는 ‘떡 사역’은 잘 모르는 것 같다.
마가복음 6장에 5병2어로 5,000명, 8장에 7병2어로 4,000명을 두 번이나 먹이셨다. 마지막 때 양과 염소를 가르는 심판의 기준은 뜻밖에도 얼마나 예배 많이 드렸냐? 얼마나 기도 많이 했냐가 아니라 “내가 주릴 때, 목마를 때, 나그네 되었을 때, 헐벗었을 때, 병들었을 때, 옥에 갇혔을 때 나를 찾아 도왔느냐?”고 물으신다.
예수를 믿음으로 죄 사함 받았으면 되었지 행위구원을 강조하는 것이냐?는 반론이 있겠으나 예수님의 동생 야고보는 진정한 믿음은 삶으로 증명되지 않으면 가짜라고 질책한다. “내 형제들아 만일 사람이 믿음이 있노라 하고 행함이 없으면 무슨 유익이 있으리요 그 믿음이 능히 자기를 구원하겠느냐?…행함이 없는 믿음은 그 자체가 죽은 것이라.”(약2:14~18)
말로만 하나님을 믿는다고 한다면 귀신수준의 신앙이라 했다.오늘날 한국 교회가 이렇게 참혹한 평가를 받는 이유는 이신칭의 교리만 강조하고 삶으로 하나님의 본질인 사랑을 증명해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온 교회가 이제라도 착한 마음으로 세상을 보듬고 그들의 아픈 상처를 품어내야 한다. 세상에서 버림받은 거대한 예배당의 결말이 어떤지는 유럽을 여행해 보면 금방 알 수 있다.
예수님이 말씀하신다. “너희가 먹을 것을 주어라.”
김용혁 목사 / 대전노은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