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복음 전파에 한계… 그리고 새로운 희망!

해외선교회 임영훈-김혜경 선교사(세네갈)

복음을 듣고 있는 사람들

Y는 제가 살고 있는 마을에서 가장 오랜 시간 사귄 가장입니다. 복음을 전할 때 남보다 가족이 더 어색한 것처럼, 너무 익숙한 사이가 되었습니다. 의미 없는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 같아 금요일 오전마다 방문하던 일을 그만 두었었습니다. 몇 달이 그렇게 지났고, 마지막으로 한 번 더 기회를 주기로 했습니다. 복음을 전해온 도구인 라울 빼왈을 가지고 가서 적어도 한 페이지씩을 읽고 있는 중입니다.


그는 매번 코란을 들고 와 읽다가, 제가 라울 빼왈을 읽고 말을 걸어야 응답합니다.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 우정을 쌓는 것은 중요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버리면 오히려 복음을 전하기가 어려워집니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빨리 복음 전할 기회를 만들고 지속적으로 복음을 전해야 합니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어떤 상황이라도 상관하지 말고 자신의 임무를 다 하라고 했습니다(딤후4:2). 항상 전도자로 서 있을 수 있도록 기도해 주십시오. D는 핑계인지 일 때문인지 만남을 피해왔던 한 가장인데, 결국 다른 마을에서 1년간 풀라어 문자를 교육하러 떠났습니다.


대신 강 쪽, 어부 마을에서 다른 사람을 찾기 위해 갔습니다. 마을 사람들에게 물어 촌장의 집을 방문해, 언어 조력자를 한 명 소개해 달라고 했습니다. 촌장과 하면 좋겠다고 했으나 그는 시간이 없다며, 다른 사람을 소개했습니다. 처음부터 그는 가르치는 일보다, 다른 것에 더 관심이 있는 듯 했습니다. 그 다음 주 다시 방문하니, 지나가던 사람마다 들러서 간섭을 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한 코란 교사는 상당히 비우호적인 태도로 계속해서 질문을 해 대는 바람에, 집중할 수가 없었고, 준비된 사람이 아니라는 판단이 들어서 만남을 중단했습니다. 준비된 사람을 만날 수 있도록 기도해 주십시오. 한 마을의 촌장인 A는 지난주에 아픈 아들을 데리고 다카에 다녀왔습니다.


호흡 문제에 대해서는 처방을 받고 약을 사왔지만, 머리 문제는 대학 병원으로 가보라고 해 그냥 왔다고 합니다. 형편이 나아지면 다시 가보겠다고 합니다. 그와는 예수님을 누구라고 생각하느냐라는 공격적인 질문을 던지며 결단을 촉구하는 부분까지 했습니다. 이제 기회가 많지 않다는 생각에, 질문들에 대해 집요하게 대화를 시도했습니다. 1년 여 동안 긴 여정을 함께 해 왔고, 이제 나머지 한 번을 남겨 놓고 있습니다. 주님의 은혜가 함께 하길 기도합니다. B마을의 W에게 라울 빼왈과 복음을 전하는 영상이 들어있는 스마트폰을 2주째 빌려 주고 있습니다.


한국의 한 단체에서 기증 받은 기기를 활용 중 입니다. 복음의 메시지를 같이 공부하며 그는 자신이 이해한 대로 열심히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아브라함이 이삭을 제물로 드리는 장면을 이 사람처럼 실감나게 표현하는 것을 저는 아직까지 보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60여 평생 살아오면서 형성된 세계관의 안경으로 복음을 바라보며 해석하는 것일 뿐입니다. 저는 그가 우호적으로 말하는 바로 그 말 속에서 그의 속이 드러나는 것을 봅니다. 철저히 자신의 것(이슬람)으로 무장한 모습을 말입니다. 복음의 능력으로 그가 변화되길 기도합니다.

 

뇨토베 일기

재봉틀을 가르치기 시작하고 한 달 남짓, 전쟁(?) 중입니다. 한국에 갔을 때, 벼르던 재봉틀을 사왔고 그것을 뇨토베(바느질쟁이)에 공개했는데, 그룹을 나누고도 대여섯 명이 하나를 사용해야하니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쑤까베(젊은 아이들)랑 자기들을 따로 오게 해 달라고, 마리가 사납게 내뱉기 전까지, 좀 둔한 나는 그 다툼을 감지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아이다는 재봉틀 옆에 붙어 움직일 줄을 모릅니다. 잘못 박아진 것을 뜯어내는 동안 다른 사람을 위해 자리를 비켜주면 좋을텐데, 재봉틀을 끼고 앉아 버렸습니다. 마리는 결국 그 탓을 나한테 돌렸습니다. ‘재봉틀을 하나 더 사야 한다는 것입니다다. 물론 그럴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재봉틀을 사려고 벼렀던 날들이 후회스러웠습니다. 다 빠져나가고 나면, 아무데나 버려진 실밥과 천 조각들, 발에 묻어 온 모래를 쓸어내는 것도 나라는 사실이 짜증스러워졌습니다. 수업 하느라 바쁘기만 하고, 도전적으로 복음 전할 타이밍을 못 찾고 있는 것이 왠지 억울하게 여겨집니다. 그런데도 새로운 사람들은 자꾸만 오고 있습니다.

 

꾸르 드 앙글래

몇 년 만에 집에 놀러 온 아이가 중학생이 되어 있었습니다. ‘학교에서 이제 영어 배우기 시작했겠구나물어 봤다가, 그 애를 중심으로 마을 아이들 영어 공부를 도와주기 시작한 지 두 달이 되어갑니다. 푸타는 어른이나 아이들이나 여자들은 밥 짓는 일에 매여, 시간을 맞추기가 쉽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토요일 오후에만 하려고, 3 아이들로 한정짓고 시작했지만, 고등학생까지 4개 그룹이 됐습니다. 주제별로 쉬운 표현들을 반복할 수 있는 영어 노래를 가르쳐 주는 것과 어린이 영어 성경을 읽어 가는 것, 2가지 방법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아이들이 영어로 진행을 하려하면 무슨 말인지 잘못 알아들어서, 영어(물론 노래도) 잘 못하는데도 가르칠 수가 있었습니다.

그렇더라도 배우러 오는 아이들을 돌려보내지 않도록, 이 일을 따로 맡아 아이들과 호흡할 수 있는 젊은 사역자가 오면 좋겠다 싶습니다. 조금씩 자세히 읽어가는 성경이 아이들에게 도전이 되도록 기도를 부탁드립니다.

 

푸타에서 임영훈, 김혜경 드림

임영훈-김혜경 선교사 지정 후원 계좌

외환 : 181-0401157-148 예금주 임영훈



총회

더보기
더 큰 믿음으로 도약하는 ‘라이즈 업 뱁티스트’
3500여 침례교회가 함께하는 2025 전국침례교회 연합기도회 ‘라이즈 업 뱁티스트’가 지난 6월 1일 저녁 7시 30분, 대전은포교회(이욥 목사)에서 시작됐다. 이번 기도회는 6월 13일까지(6월 7일 제외) 전국 12개 교회에서 열리며, 기독교한국침례회 총회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되고 있다. ‘더 큰 믿음으로 도약하라!’란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연합기도회는 대전은포교회에서 첫 문을 열었다. 대전은포교회 찬양팀의 찬양으로 시작된 예배는 대전침례교연합회 회장 임헌규 목사(자성)의 기도, 다음세대캠프 홍보 영상 상영으로 이어졌다. 총회 전도부장 이황규 목사(주우리)의 인사에 이어 총회장 이욥 목사가 환영사를, 총회 총무 김일엽 목사가 광고를 전했다. 이욥 총회장은 “올해로 5년 차를 맞은 라이즈 업 뱁티스트가 어느 때보다 말씀과 기도를 사모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며 “3500여 교회 목회자들이 함께하면서 성령의 역사, 치유, 영혼 구원의 역사가 펼쳐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헌금 시간에는 찬양팀 ‘더 웨이’가 특별찬양을 했고, 참석자들이 함께 공동기도문을 낭독했다. 공동기도문에는 △나라와 민족 △라이즈 업 뱁티스트 △다음세대를 위한 기도 제목이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