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동네 구두수선공의 경제철학

하늘붓가는대로 -76

내가 이 동네 구두수선공을 알게 된 것은 20여년 전으로 돌아간다. 유명회사의 (브랜드)가 있는 가방 끈을 고쳐달라고 내밀었더니 자기 전공분야기 아니라 하면서 일언지하에 수선거절을 당한 사건으로 인해 그를 알게 되었다. 자기는 구두수선공이지 가방수선공은 아니라서 가방을 잘못 고치면 어쩌나 생각하는 직업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까짓 대강 고쳐주고 수수료 받으면 될 것 같은데 그게 아니었다. 구두수선에도 전공 버전공이 있다는 철학이었다.


이번에는 등산용 막가방의 손잡이가 떨어졌기에 이것을 큰 바늘로 쿡쿡 박아달라 했더니 아무 말도 없이 튼튼히 박아 주는 것이었다. 마침 신고 갔던 구두도 닦아 주겠다고 하기에 그러라고 했다. 보통 때 그는 나의 구두를 광내주고도 일체 수수료를 한사코 사양해 왔다. 그러나 오늘은 짐짓 내 마음이 꼭 수수료를 주고 싶어서 지갑을 꺼내자 그는 목사님과 자기 사이엔 돈이 오고가면 안 되는 관계라고 극구 또 거절했다. 할 수 없이 나는 지갑을 다시 주어 넣었다. 멍하니 좁은 구두방 박스 안에 앉아 있노라니 어떤 청년이 구두가 발을 조이며 불편하니 구두의 좌우를 좀 넓혀 달라는 주문을 해 왔다.


그러면서 이 청년은 그게 아버지 구두인데 아버지가 자기에게 준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두수선공은 청년에게 그 구두를 신어보라고 한 뒤 이리저리 만져보더니 그냥 가지고 가라고 했다. 청년은 수선비는 얼마든지 드릴 테니 거의 사정하다 싶이 고쳐 달라고 했는데도 이 수선공은 수선을 거절했다. 그리고 그 청년에게 말했다 : 이 구두는 고쳐야 할 구두가 아니라는 것. 다시 손을 보면 이 좋은 고가의 구두를 망친다는 것. 고치지 않고 편하게 신는 방법은 두꺼운 양말을 신은 채 이 구두를 2,3일만 신고 다니면 저절로 광이 넓어지고 편한 신이 된다는 것. 구두수선공은 굳이 마다하고 청년을 그의 구두를 든 채 내보내었다.


청년이 뒤돌아간 뒤 구두수선공이 툭 뱉는 한마디 말이 내 가슴을 찡하고 울렸다. “내 돈이 따로 있어요지금 청년의 구두를 억지로 고쳐주고 받는 돈은 일종의 사기 친 돈이라고 했다. 안 고치고도 잘 신을 수 있는 신을 왜 돈 들여 고치느냐는 것이었다. 따지고 보면 구두수선공에게는 한 푼이라도 수입될 것을 짐짓 거절한 것이었다. 그의 말속에는 정당한 돈이 아니면 자기 돈이 아니라는 것이었다. 내 돈은 내가 정당히 수고하고 취득한 것이라는 것이다. 내 돈을 취하지 않고 남의 돈을 취하는 것은 도적이라고 했다. 지금 나라 안에는 자기 돈이 아닌 남의 돈을 먹다가 고관들이 추풍낙엽처럼 떨어지는 가을 풍경을 우리는 보고 있다.


전직 총리였던 이완구씨, 유명한 모래시계 검사와 도지사인 홍준표씨가 세상을 시끄럽게 하고 있는 현재라 더더욱 동네구두수선공 (홍씨)내 돈이 따로 있다는 말은 금언중의 금언 같았다. 남의 돈을 왜 먹지? 자기 돈이나 먹지. 막말이 터져 나오는 순간이었다. 구두수선공의 경제철학을 모두 좀 배웠으면 얼마나 좋을까.

/권혁봉 목사



총회

더보기
이욥 총회장 직무정지 가처분 2심도 기각
김OO 목사, 차OO 목사, 김OO 목사 3인이 이욥 총회장을 상대로 제기한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이 항고심에서도 기각 판정을 받았다. 서울고등법원 제25-1 민사부는 지난 3월 25일 사건번호 2025라2147 직무집행정지가처분에 대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은 보전할 권리와 그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소명이 부족해 이유 없다. 그뿐만 아니라 가처분 채무자의 적격을 그르쳐 부적법하다고 보아야 한다. 이와 결론을 같이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을 기각한 1심 결정은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채권자의 항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모두 기각하며, 항고비용은 패소한 채권자들이 부담하기로 한다”고 판결했다. 채권자 3인은 법원에 1심 결정을 취소하고 총회장 선출결의 무효확인 사건의 본안판결 확정시까지 이욥 총회장의 직무를 정지시켜달라고 재차 요구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원은 “이 법원도 채권자의 가처분명령신청은 그 피보전권리에 대한 소명이 부족하고, 보전의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도 없다고 판단한다”며 판결 이유를 설명했다. 채권자들이 항고 이유로 들고 있는 주장들이 1심에서 내세운 주장과 실질적으로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법원은 “대표자의 선임 결의 효력에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