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사람은 왜 넘어지는가(1)

김종훈 목사의 목회이야기 84

멀쩡하게 잘 나가던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넘어지는 경우가 있다. 대중의 존경을 한 몸에 받다가도 어느 한 순간, 사람도 지위도 다 잃는다. 과연 어쩌다가 그렇게 된 것일까? 이유는 뭘까?

이에 나를 포함한 우리 모든 목회자들이 새겨볼 성경적 교훈들이 여기 있다.


첫째, 선줄로 생각해서이다. “그런즉 선줄로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고전10:12)고 성경도 분명히 말했다. 마치 모든 것을 이미 다 이룬 양 자만하거나, 이제는 모든 게 다 자기중심으로만 돌아갈 거라 착각하여, 겸손일랑은 아예 없고 교만하기만 하여 안하무인(眼下無人)인 사람은 언젠가는 그렇게 된다는 말씀이다.

그러니 내 각본대로 일이 너무 잘 돌아갈 때 조심하자. 나를 향한 말들이 칭찬일색일 때 더 낮추자. ‘교만은 패망의 선봉이요 거만한 마음은 넘어짐의 앞잡이’(16:18)임은 만고불변(萬古不變)의 진리이다.


둘째, 경고를 잘 듣지 않아서이다. 아담과 하와도 그래서 넘어졌다(3:2-6). 하나님 말씀은 무시하더니 사탄의 꼬임에는 잘도 넘어갔다. “죽는다는 경고도 대수롭잖게 여기더니, “먹지말라하시는 건 기어이 먹었다. 결국 그 일로 그 아름답고 풍요로운 곳에서도 쫓겨나버렸다. 오고 오는 인류 역사에 씻을 수 없는 오점(汚點)만 남겼다. 모두가 다 듣지 않음의 결과이다. 그러니 제발 들으라. 예배를 통해 위로도 지혜도 소망도 용기도 얻어야겠지만, 경고도 얻어야한다. 한 말씀도 농담으로 여기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산다. 목회자 역시 외치기만 하는 설교자가 되지 말자. 자기가 전한 말, 자기도 들어야 한다.


물론, 이에는 아담과 하와 두 사람이 서로에게 경고를 주지 못했음도 크다. 그들은 불순종하는 일에는 짝짜꿍이었으나, “그래선 안된다는 견제구는 날리지 못했다. 아담이든 하와든 누구 하나라도 그랬어야 했는데.

그러니 누군가 경고해주는 사람이 있다는 건 고마운 일이다. 나를 다시 정신 차리게 해주니까. 그러니 자기 판단을 너무 믿지도 말자. 그러면 자기도 모르게 자기 생각에 갇힌다. 끊임없이 눈을 열어 나를 살피고, 남의 말에도 귀 열어 들으라.


셋째, 길 아닌 길을 가고자 해서이다(18;15). ()에 있을 때 중대장 하나가 길 아닌 곳을 들어갔다가 지뢰를 밟는 바람에 다리가 절단된 걸 본적이 있다. 그러니 길 아닌 곳은 정말로 주의해야 한다.

하나님이 이정표를 주시지 않는 길 역시 가면 안된다. 목회자에겐 목회자의 길이 있고, 성도에겐 성도의 길이 있다. 출애굽 한 이스라엘 백성들을 왜 가깝고 편한 길을 놔두고 광야 길로 돌아가게 하셨는지 생각해보라. 그 길은 가야 할 길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러니 편한 길이라고, 빠른 길이라고 무턱대고 들어서지 말아라. 돌아가는 길이 더 안전하고 복된 길일 수도 있다.


넷째, 회개가 없어서이다. 그러면 결국엔 자신의 그 악함으로 인해 넘어지리라(11:5/59:1~10). 따라서 사람이 넘어지는 건 실수나 잘못 때문만은 아니다. 인정하지 않고, 회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잘못은 얼마든지 용서받을 수 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망한 것도 그랬다. 조금도 회개하지 않아서였다. 그래서 선지자들이 외쳤다. “너희가 회개하지 않으면 멸망하리라. 회개하면 심판을 거두시리라.” 그러니 제발 하나님 무서운 줄 알아라. 하나님은 친히 구원도 하시지만, 심판도 행하시는 분이다(8:13~15).


김종훈 목사 / 오산교회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