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동성혼 개헌 시도는 국민 기만하는 것”

전국 대학 교수 2204명, 동성혼 합법화 반대 천명
전국 43개 대학 60개 단체 소속 대학생들도 연대 결성


국회 개헌특위 제1소위원회의 동성혼 합법화 시도에 대학교수들이 강력히 비판하고 나섰다.

동성애동성혼개헌반대전국교수연합은 10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 평등 항목 신설 개헌안은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며 반대의 목소리를 피력했다. 남과 여를 규정한 양성평등과 달리 성 평등은 마음이 선택한 성으로 남성, 여성, 무성, 간성 등 50개 이상의 성평등을 의미하며, 이는 동성애와 동성결혼의 합법화를 위한 전초전이라는 것이다.


전국 223개 대학 2204명의 교수들이 함께하고 있는 교수연합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개정 헌법에 성 평등항목이 신설된다면 동성결혼과 동성애 등 온갖 결합과 관계를 헌법으로 보장하게 된다이로 인해 건강한 사회의 기초가 되는 한 남자와 한 여자로 이뤄진 가정은 파괴되는 것은 물론, 에이즈가 더욱 확산돼 심각한 사회적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문제는 에이즈 확산만이 아니다.

교수연합은 지금 이대로 개헌안이 통과된다면 동성결혼과 동성애를 반대하는 많은 국민들의 양심과 표현, 학문과 종교의 자유가 심각한 침해를 받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교수연합은 국회 개헌특위가 신설하려는 성평등은 동성애자와 트랜스젠더 등을 포함한 평등이라는 점을 주지시키며 국민들에게 그러한 평등을 강요하는 것을 명백한 기만이며 대한민국 국회가 해서는 안되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교수연합은 개정 헌법에 현행 헌법처럼 혼인을 양성 평등에 기초해 한 남자와 한 여자의 결합으로 분명히 나타낼 것 평등 및 사유를 을 통해 포괄적으로 규정하지 말고, 현행 헌법에 규정된 성별, 종교 또는 사회적 신분외에 국민적 합의가 된 것만 한정적으로 열거할 것 등을 국회 개헌특위에 촉구했다.

한편 교수연합은 기자회견이 끝난 후 국민의당 조배숙 의원을 시작으로 국회의원들을 대상으로 동성혼 합법화를 막기 위한 설득에 들어갔다. 이외에도 단식 및 1인 시위 등을 통해 동성혼 합법화를 막기 위한 투쟁에 들어갔다. 대학교수 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동성혼 합법화에 반대하고 나섰다.





동성혼합법화허용개헌반대대학청년연대는 지난 87일부터 국회 앞에서 동성혼 개헌 반대 1인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청년연대는 침신대 Holy prayer, 총신대 카도쉬, 동신대 노토리어스, 백석대 오르, 한동대 아름다운결혼과가정을꿈꾸는청년모임 등 전국 43개 대학 60개 단체가 함께하고 있다. 1인 시위에 나선 청년연대 김석현 씨(숭실대 대학원)동성혼 합법화로 동성애 반대 목소리를 내는 것만으로도 형사 처벌을 받도록 국회가 개헌안을 날치기로 통과시키려 한다며 국회의 동성혼 합법화 시도를 성토했다.


김 씨는 국회의원들은 동성애 합법화가 세계적인 추세고, 노년층을 제외한 청년들은 동성애에 찬성할 것이라고 생각하나본데 실제적으로는 그렇지 않다청년들조차 이런 자세한 사항과 차별금지법 통과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면 대부분 반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청년연대 측은 17일까지 1인 시위를 지속하는 한편, 동성애 관련 포럼과 일간지 전면광고 등을 통해 동성혼 합법화가 초래할 사회적 혼란을 국민들에게 알릴 예정이다.

범영수 기자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