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낙태죄, 폐지 51.9% vs 유지 36.2%



국민 절반 이상이 낙태죄를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낙태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조사한 결과,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답이 절반을 넘는 51.9%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36.2%)보다 오차범위 밖인 15.7%p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잘 모름’은 11.9%이다.
한편 2010년 2월에 리얼미터가 실시한 낙태 허용 여부 조사에서는 낙태를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응답이 53.1%로,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33.6%)보다 19.5%p 더 높은 것으로 집계된 바 있는데, 이는 이번 조사와는 반대의 결과이다.


먼저 성별로는 여성에서는 ‘낙태죄 폐지’ 응답이 10명 중 6명의 대다수인 반면, 남성에서는 폐지와 유지 응답이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하게 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낙태죄 폐지 61.0% vs 유지 32.1%), 대구·경북(56.0% vs 31.4%), 광주·전라(54.2% vs 42.2%), 서울(53.8% vs 34.6%), 경기·인천(51.5% vs 35.9%) 등의 순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낙태죄 폐지’ 응답이 절반을 넘는 다수로 집계됐다. 한편 부산·경남·울산(낙태죄 폐지 40.9% vs 유지 40.2%)에서는 폐지와 유지 양 응답이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했다.


연령별로는 20대(낙태죄 폐지 62.1% vs 유지 30.8%)와 30대(60.7% vs 28.3%) 청년층에서는 ‘낙태죄 폐지’ 응답이 60%를 넘었고, 40대(56.8% vs 33.7%)에서도 절반 이상의 다수가 폐지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대(낙태죄 폐지 46.1% vs 유지 41.6%)에서도 폐지 응답이 다소 우세했다. 반면 60대 이상(낙태죄 폐지 39.0% vs 유지 43.5%)에서는 유지 응답이 우세한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진보층(낙태죄 폐지 54.7% vs 유지 35.9%)과 중도층(51.3% vs 38.0%), 보수층(50.7% vs 38.6%) 등 모든 이념성향에서 ‘낙태죄 폐지’ 응답이 절반을 넘는 다수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11월 1일에 전국 19세 이상 성인 7562명에게 접촉해 최종 516명이 응답을 완료, 6.8%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통계보정은 지난 8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3%p이다.


범영수 기자



총회

더보기
114차 총회, KT·금융결제원과 손잡고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
우리교단 114차 총회(총회장 이욥)는 지난 6월 19일 여의도총회빌딩에서 KT(대표 김영섭), 금융결제원(원장 박종석)과 함께 ‘스마트 목회 환경 구축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지털 기술과 신앙이 결합된 새로운 목회·선교 생태계 조성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전국 3750개 침례교회와 산하 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헌금 키오스크 △침례교 전용 플랫폼 △스마트 카페 복합공간 등을 도입해 디지털 기반의 목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MZ세대와의 소통, 기부 문화의 신뢰성 제고, 친환경 사회 공헌 확대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맡는다. 총회는 교회 및 기관의 스마트 인프라 도입을 위한 행정 지원과 참여 기반을 조성하고, KT는 통신 및 디지털 전환(DX)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 개발과 키오스크 설치, 유지보수를 책임진다. 금융결제원은 결제서비스 및 기부 시스템 연동 등 금융 인프라를 제공해, 신도들이 손쉽게 스마트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욥 총회장은 “이번 협약은 복음 전파 방식의 혁신